-
유니버설 발매
아직도 록음악은 국내 대중음악의 주류가 아니다. 홍익대 앞 등 클럽에서 부흥했던 인디음악도 아직 확고하게 자리를 잡지 못했다. 한국의
대중음악은 지금도 댄스와 발라드 일변도이고, 아직 지지부진이다. 하지만 여전히 희망은 남아 있다. 그 희망의 한 증거로, <`HERO愛ROCK`>이
있다. <`HERO愛ROCK`>에는 80년대 중반 한국 록음악을 이끌었던 시나위, 부활, 블랙신드롬 등과 90년대 인디록의 전사들인 크라잉
너트, 델리 스파이스, 닥터코어 911, 힙포켓, 마루 등과 독특한 위치에서 활동하는 노바소닉 등이 한데 모여 있다. <`HERO愛ROCK`>은
음반 출시 이전에 인터넷에 신곡을 공개하여 대중의 모니터링을 거친 뒤 불독맨션의 <사과>, 델리 스파이스의 <한길>, 신대철의 <잊어버려>
등 15곡을 담았다.
음반 - <`HERO愛ROCK`>
-
박진배 지음/ 디자인 하우스 펴냄/ 1만5천원
영화 속 장면을 구성하는 디자인 요소들을 끄집어내, 그것들이 각 영화에서 의미하는 바를 밝히는 책. 저자는 ‘영화야말로 디자인의
모든 것을 담는 그릇이며 디자인이란 영화의 숨은 뜻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이자 절대적인 수단’이라고 본다. <영화 디자인으로
보기>는 2권으로 나뉘어 있는데, 이번에 나온 1권은 영화에 등장하는 디자인의 ‘기본 프레임’을 보여준다. 1장 ‘스크린이 전하는 시대,
시대의 디자인’은 고대 그리스 로마 문화에서부터 시작하여 현대 하이테크와 미니멀리즘에 이르는 시대별 예술과 디자인의 특색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그 밖에 빛과 색 등 시각 예술과 디자인의 기본 요소들이 영화 속에서 만들어내는 심상과 미술작품이 영화에 직접적인 영감으로 작용한
예도 살펴본다.
책 - <영화 디자인으로 보기-1>
-
타키타 세이이치로 지음/ 게임문화 펴냄/ 1만원
21세기의 게임은 단순한 여흥거리가 아니다. 이제 게임은 영화 못지않게, 다양한 장르로 확산되어 엄청난 부가가치를 올리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핵심으로 자리잡기에 이르렀다. <게임왕국 일본을 건설한 거인들>은 게임왕국 일본이 탄생하기까지의 다이내믹한 흥망사와 수많은 영웅들의
야망과 혈투를 광범위한 취재를 통해 그려내고 있다. 저자는 <전뇌의 사무라이들> <손정의 인터넷 재벌경영> 등 최첨단 비즈니스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주로 써온 르포라이터. 비디오용 게임 <블록 격파>에서 출발하여 마니아 출신의 크리에이터들이 등장하고, 마침내
미야모토 시게루가 닌텐도 왕국을 건설하기까지, 그리고 <드래곤 퀘스트> <파이널 판타지>의 신화와 플레이스테이션 등등 생생한 역사가 담겨
있다.
책 - <게임왕국 일본을 건설한 거인들>
-
<스타워즈> O.S.T/ BMG 발매존 윌리엄스는 20세기 후반에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클래식 작곡가의 한 사람이다. 또한 그는 할리우드에서 가장 할리우드적인 영화음악을쓰는 작곡가이기도 하다. 그는 현악기와 관악기가 최대한 어우러져 효과를 내는 오케스트라 편성을 주로, 즐겨 사용한다. 아무리 신시사이저가간단하게 한 오케스트라를 대신한다지만 여전히 오케스트라는 그 무엇도 대신할 수 없는 깊이와 매력을 지니고 있다. 풀 오케스트레이션의 자연스러운장중함은 아직도 영화음악의 가장 기본적인 편성이다. 존 윌리엄스는 그러한 기본 편성에 충실한, 그리고 그 안에서 할리우드적인 효과를 가장잘 끌어내는, 가장 대중적인 영화음악 작곡가이자 가장 정통적인 영화음악 작곡가이다.그에게는 간단하고도 명료한 테마를 구성해내는 천재적인 재주가 있다. 스필버그와 더불어 존 윌리엄스의 가장 오랜 파트너인 조지 루카스의 <스타워즈>를들으면 누구나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영화음악의 테마는
가장 할리우드적인 팡파르
-
-
<김정미>/ 지구레코드 발매재발매 문화가 아직 뿌리내리지 못한 이 땅의 음반시장 현실에서 70년대 초중반을 불우하게 수놓은 신중현 사단의 사이키델릭 보컬리스트김정미의 이번 복각판은 진지한 우리 노래의 추적자들에게 가슴 뻐근한 하나의 선물이 될 것이다.김정미의 LP 음반은 최근 2∼3년간 급격히 일기 시작한 아날로그 음반 수집 붐 이전에도 이른바 ‘컬렉터즈 아이템’으로 귀한 대접을 받아왔다. 13장에 이르는 그녀의 음반 목록 중에서 <`Now`>와 <바람> 같은 앨범은 100만원을 전후한 가격에서 거래될 정도이니(그 가격은70년대 신중현 사단의 음악을 선호하는 일본 수집가들이 대폭 올려 놓았다고들 하지만), ‘사이키델릭’이라는 한국 록 음악의 하위 장르를개척한, 그러나 펄 시스터즈나 김추자와 같은 신 사단의 여늬 보컬리스트들과는 달리 성공의 당의라곤 맛본 적도 없는 김정미는 근 30년이흘러서야 자신의 명예를 보상받고 있는 셈이다.지구레코드에서 발매한 이
가난한 시절, 선구자의 목소리
-
해마다 3월 말이면 일본 도쿄에서는 토이쇼(정확한 명칭은 ‘東京 おもちや-ショ’)라는 것이 열린다. 쉽게 말해일종의 장난감 페스티벌인데, 우리나라 코엑스 국제무역전시장을 모두 합한 것보다 더 큰 공간에서 벌어질 정도니 속된 말로 규모면에서 장난이아니다. 특히 이 행사는 단순히 완구업체들뿐만 아니라 캐릭터,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등 유관산업들의 현주소와 최근 경향을 알 수 있어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이들이 봐도 꽤 유익하다. 올해는 지난 3월21일부터 25일까지 도쿄의 하루미 국제전시장에서 열렸다. 필자 역시 다니던회사에서 눈총(?)을 받아가면서 억지로 휴가를 내서 일반 관객에게 공개를 하는 토요일 하루미 국제전시장을 갔다.지난 ‘2000 도쿄 토이쇼’만 해도 행사장은 온통 휴대전화용 게임기 같은 모바일과 관련된 상품이 홍수를 이루었다. 하지만 올해는 다음주에 ‘도쿄 게임쇼’가 열려서 그런지 몰라도 그런 제품이 자취를 감추고, 전통적인 개념의 완구들이 전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
추억의 파트라슈
-
최근 두꺼운 애니메이션 관련 도서가 연이어 출판되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씨네21> 294호에 소개된 김준양씨의 <애니메이션, 이미지의연금술>(한나래 펴냄/ 2001)에 이어 최근 한창완 교수가 강단에서 강의한 내용을 모은 <저패니메이션과 디즈니메이션의 영상전략>(한울펴냄/ 2001)을 새로 출간했다. 한창완 교수의 기존 저작이 만화와 애니메이션 산업을 <한국만화산업연구> <애니메이션 경제학> 등과 같이주로 경제적인 시각에서 접근했다면, 오랜만에 출간된 이번 저작은 애니메이션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토양을 주로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애니메이션의 개념과 제작방식에 대한 소개, 환등기와 매직랜턴 시기의 초기 영화사가 포함되어 있다. 책의 제목인 ‘저패니메이션과 디즈니메이션의영상전략’은 물론 한국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캐나다, 서부유럽, 러시아, 중국 애니메이션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도 볼 수 있다. 세계 애니메이터100명과 국내에서
<저패니메이션과 디즈니메이션의 영상전략> 출간
-
1955년 태어난 프랑수아 부크(Boucq)는 19살에 <르 포앵>에 정치풍자화를 게재하며 프랑스 만화계에 혜성처럼등장한 신인이다. 미술 정규교육을 받은 적도, 스승에게서 사사를 받은 적도 없는 부크는 데뷔 이후 꾸준히 단편을 발표하며 자신의 이름을서서히 알려갔다. 사람들에게 부크의 이름을 선명하게 기억시킨 작품은 1984년 발표한 <인간 모험의 개척자들>이다. 이후 부크는 <용감한자들을 위한 소실점> <거리의 교육> <알약의 보잘것없는 기포> 등을 발표하며 명성을 쌓아갔다. 무엇보다도 그를 세계적인 작가로 만든 작품은미국의 추리소설가 제롬 차린과 함께 작업한 <마술사의 아내>(La Femme Du Magicien)다. 1986년 알프레드 최고 만화상을수상하기도 한 이 작품은 부크 특유의 완벽에 가까운 드로잉과 미장센이 환상과 서스펜스를 넘나드는 스토리와 잘 어울려 세계의 만화 독자들에게깊은 인상을 남겼다. 지난 2월경
현실의 저편, 환상의 이편
-
아프로 씨앤씨 발매
폴리그램에서 프로듀서로 일하면서 반젤리스, 키타로, 장 미셸 자르 등을 발굴해온 마이클 호페의 솔로 데뷔음반 1, 2집을 하나로
묶은 음반. 플루티스트 팀 휘터의 알토 플루트와 아미클 호페의 키보드로 신비롭고도 매혹적인 선율을 들려주고 있다. 호페의 할아버지인, 20세기
전반에 활동하던 저명한 사진작가 에밀 오토 호페가 찍은 영화배우, 무용가, 작가 등의 빛바랜 사진들에서 영감을 받아 곡을 만들었다고 한다.
<`Memories in Dark`>는 브로드웨이의 뮤지컬 배우와 영화배우로 활동했던 마리온 데이비스를 위한 곡이고, <`Indigo Sunset`>은
인디언 모호크족의 마지막 추장 달리는 사슴의 손녀 흰 사슴을 위한 곡이다. 그 밖에 마를렌 디트리히, 안나 메이 등의 여배우와 발레리나
타마라 카르사바나 작가 존 메이스필드와 토머스 하디 등을 위한 곡들이 담겨 있다.
음반 - <`The Yearing & The Dreamer`>
-
EMI 발매
영화 <파리넬리>에서 보여지듯, 여성이 공개적으로 사람들 앞에서 노래를 부를 수 없었던 과거, 남자 가수들을 여성에 가까운 소리를
내도록 인위적으로 조작해 ‘카스트라토’라는 인간 악기를 만들어냈다. 카스트라토는 바로크와 고전주의 시대에 인기를 모았고 헨델, 모차르트
등도 카스트라토를 위해 곡을 썼다. 1922년 알렉산드로 모레스키가 세상을 뜬 뒤 카스트라토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고, 그 빈 자리를 카운터
테너들이 메우고 있다. 카운터 테너는 이전에도 존재했고, 팔세토 가수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이 음반에서는 제라르 레슨, 데이비드 대니얼스,
로빈 블레이즈, 데릭 리 레이긴 등 카스트라토의 영광을 재현하는 카운터 테너의 명곡이 실려 있다. 보너스 트랙은 마지막 카스트라토 모레스키가
부른 롯시니의 <십자가에서 못박히심>이다.
음반 - <`The Age of Castratos`>
-
오노 후유미 지음/ 한겨레 펴냄/ 8500원
우리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예리하면서도 경악스러운 상상력으로 풀어내는 <시귀>의 작가 오노 후유미의 장편소설. <시귀>는 주민들이
‘살아 있는 시체’로 변해가는 산간마을의 풍경과 자신의 정체성을 회의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탁월하게 그려냈다. <마성의 아이>는 어린 시절
‘가미카쿠시’(어느 날 갑자기 사라졌다가 홀연히 다시 나타나는 현상)를 당한 소년 다카사토의 주변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그린다. 다카사토에게
선의든 호의든 위해를 끼친 사람은 반드시 보복을 당하게 된다. 모두 그를 두려워하지만, 임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교생 히로세는 그와 동류의식을
느낀다. 그러나 히로세와 다카사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사건은 걷잡을 수 없이 번져가고, 발맞춰 공포도 확장된다.
책 - <마성의 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