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씨네클래식
이장호 [49] - 성공과 실패의 희비곡선, <이장호의 외인구단>
2000-04-04

주식회사 판영화를 차리고 <이장호의 외인구단>을 찍다

(‘공포’가 대중에게 혐오감을 준다는 이유로 <공포의 외인구단>은 <이장호의 외인구단>으로 개명되었다.)

1985년 영화법 개정으로 극영화 제작은 누구나 신고만 하면 자유롭게 영화를 만들 수 있게 되어 우후죽순처럼 영화제작사들이 등장했다. 24개의 영화사만이 영화제작을 할 수 있었던 과거 독과점시대는 이미 지나간 것이다. 이태원 사장의 도움과 배려로 태흥영화사에서 일했던 이두용 감독과 나는 비슷 한 시기에 각기 독립하여 프로덕션을 만들었다. 한국 영화제작의 가장 큰 특징은 영화산업이 대기업화하지 않았다는 것이어서 새로 등장한 군소 프로덕션들도 기존의 독과점의 위세를 떨쳤던 영화제작사들과 그 모습이 전혀 다를 바 없었다. 모두 사무실 중심의 독립 프로덕션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그뒤 몇년이 지나 영화제작에 손을 뻗친 대기업들의 전위대 앞에서 영화판이 맥없이 그 오랜 전통을 무너뜨리는 모습은 아주 당연한 결과였다. 어쨌던 <공포의 외인구단>은 이미 태흥영화사에서 기획했고 또 대대적으로 신인배우까지 공모하여 신인 군단으로 교육까지 시켰지만 이태원 사장은 그 모든 여건을 주식회사 판영화의 첫 제작의 축하선물로 나에게 선뜻 내주었다. ‘주식회사 판영화’는 순수한 한글로 진짜 한국영화를 만들어보자는 뜻에서 내가 지은 이름이다. 판소리, 마당극처럼 순전히 자생적인 우리의 문화를 영화에서도 또 하나 만들어보자는 뜻이었다.

모든 것이 순조로웠다. 연이은 히트로 지방의 흥행사들은 나의 영화제작에 호의적이었고 회사법인을 만들고 제작비를 구하는 일까지 쉽게 이루어졌다. <무릎과 무릎 사이>와 <어우동>을 만들 때 태흥영화사와 이장호 워크숍을 중개하는 데 큰 역할을 맡아 주었던 영화평론가 이명원 선생이 사사건건 자문을 해주었고 회장 직책을 맡아주었다. 그외에 이은수 감독, 촬영의 박승배씨, 조명의 김강일씨 등이 나의 독립 제작에 적극 힘이 되었다. 그러나 영화제작은 자유롭게 되었어도 아직 시나리오를 사전에 심의하는 나쁜 제도는 사라지지 않았다.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 원래의 만화 제목인 <공포의 외인구단>은 영화제작 신고에서 ‘공포’라는 단어가 대중에게 혐오감을 준다는 이유로 사용하지 말라는 공연윤리위원회의 지시를 받고 반려되었다. 영화 <어우동>이 상영 도중에 다시 재심의를 받은 뒤, 공연윤리위원회는 새로운 위원장 체제로 바뀌면서 그 횡포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별수없이 나는 영화 제목을 <이장호의 외인구단>으로 바꾸어 다시 신고를 했고 통과되었다. 제작 자유화와 함께 나는 또 하나의 전성기를 장밋빛으로 연다고 안심했다. 그러나 그걸 행운의 찬스로 엮어 가지 못했다. 물론 <…외인구단>도 크게 성공하여 <무릎과 무릎 사이> <어우동>에 이어 계속된 세편의 히트는 영화판에서의 나의 입지를 탄탄하게 만들어놓았다. 그러나 그것이 오히려 장애가 되어 내 앞길은 험난해졌다. 나의 영화적 자신감은 그야말로 오만하기 그지없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멋대로였다. 이전에 이미 실패를 여러 번 겪어 성공 뒤에는 반드시 겸손해야만 한다는 걸 알았지만 어느새 암세포처럼 교만이 내 속에서 무럭무럭 자라고 있음을 전혀 눈치채지 못하고 있었다.

처음의 ‘판영화’는 많은 직원이 있었고 회의도 자주 했지만 나는 회의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했다. 회의는 단순히 내 의견을 피력하고 주장하는 자리로만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 나는 회의에서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나 의견을 경청하질 못했다. 그런 탓에 이명원 선생이 늘 이렇게 말했다. “이장호는 어차피 원맨쇼를 하는 사람이다. 그 원맨쇼를 봉쇄하느니 이장호의 원맨쇼를 옆에서 돕는 편이 오히려 효과적이다.” 나는 그때 가당치 않게도 신상옥 감독의 신필름을 감히 꿈꾸었던 게 아닐까? 그렇게 어처구니없는 희망을 가졌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한국에서 실패한 모델이었다. 나는 불행하게도 즉흥적인 아이디어로 이 땅에서 대기업을 일으키려고 했던 실패한 모델을 이상으로 꿈꾸고 있었던 모양이다. 나는 여전히 즉흥적이었고 직감에 사로잡혀 판단하고 선택했다. 스스로 감탄하면서 그런 직감을 영감이나 예감처럼 받아들였다. 그리고 내 의견과 주장에 주위 사람들이 그저 순종하기만 바랐다. 그렇게 원맨쇼로 만든 영화들, 그리고 도중에 중단된 원맨쇼의 기획들이 적잖고 그때마다 아까운 돈이 낭비되었다.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에고 내 새끼> <와이의 체험> <깜동> <숲 속의 방> <외인구단2> <미스 코뿔소 미스타 코란도>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 <핸드백 속 이야기>…. 신통한 것은 <…외인구단> 이후엔 어느 하나도 흥행에 성공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모두 철저하게 실패했다. 그래서 제작 자유화가 나에게 준 것은 횡재가 아니라 은행 빚이었고, 깨달은 것은 자유가 곧 책임이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아주 오랜 시간이 지나서 실패는 또 하나의 감사의 기회라는 걸 비로소 알게 되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