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국내뉴스
고치지 마세요! 개성 있는 사투리를 시그니처로 만든 배우들

사투리가 비전문적인 인상을 준다는 건 옛말이다. 간혹 드물게 사투리를 지적하는 오지라퍼들의 목격담이 들려오곤 하지만 과거와는 인식이 크게 달라진 것이 사실. 이젠 남의 말씨에 도 넘은 잔소리 얹었다간 꼰대 소리 듣기 딱 좋은 시대가 됐다. 매끈한 서울 말씨로 구태여 나의 정체성을 가려내지 않아도 괜찮다. 경상도 출신 기자가 더 강력한 개성으로 무장한 지방 출신 배우들을 응원코자 준비했다. 사투리를 본인만의 시그니처로 만들어버린 배우들이다.

<보안관>

배정남 ​부산광역시

배우의 세계에서 사투리는 꽤나 복병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배정남의 등장은 시기를 잘 탄 결과이거나, 판도를 바꾼 사람의 몫일 것이다. 과묵한 모델 시절 뭇 남성들의 워너비였던 배정남이 예능/연기 무대에 진입하자 많은 이들이 놀랐다. 부산에서 나고 자란 그의 부산 사투리가 '날것 그대로' 전파를 탔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의 거친 사투리는 단점이 아닌 매력으로 작용했다. 경직된 방송계에 신선함을 몰고 온 그는 이제 수더분한 경상도 배우로 어엿한 자리매김을 했다. 일단 영화 속에 그의 모습이 등장하기라도 하면 밋밋했던 캐릭터는 '부산 출신'이라는 레이어를 입고 활기기를 갖춘다. 서툰 표준어보다 자연스러운 사투리가 낫다는 증거다.

<타짜>

김윤석 부산광역시

아야 슬~슬 오함마 준비해야 쓰것다(<타짜>), 니 그게 농담인 줄 아니?(<황해>), 추리닝 무릎 나오잖여~(<거북이 달린다>), 내래 빨갱이 잡는 거 방해하는 간나들은 무조건 빨갱이로 간주하갔어!(<1987>) 전라도, 경상도는 물론 38선 너머 각종 사투리까지 모두 섭렵한 배우 김윤석의 출신지는 어디일까? 그는 충북 단양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주로 부산을 터전으로 살아와선지 출신지는 부산으로 통용되는 편. 순식간에 관객을 몰입하게 만드는 연기 스타일로 우리는 그의 부산 사투리를 종종 잊곤 한다. 하지만 예민한 귀를 가진 관객들, 특히 경상도 출신이라면 어투에 밴 부산의 흔적을 놓칠 리 없다. <암수살인>과 같은 부산 배경의 영화에서 가장 자유로워 보일 법도 한데, 어떤 지역 출신을 연기하든 특유의 자연스러움은 한결같다. 개인적으론 그의 낮고 공격적인 음성이 표준말과 부산 억양을 오갈 때가 가장 무섭다.

<넘버 3>

송강호 경남 김해

경남 김해를 고향으로 둔 송강호 역시 사투리를 구사하는 배우 하면 어김없이 떠오르는 배우다. 그의 지난 필모그래피 중 <공동경비구역 JSA>의 북한 병사 역할을 했을 때처럼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스크린 속의 송강호는 언제나 경상도 남자였다. 데뷔 초 <넘버 3>에서 흥분하면 말을 더듬는 불량배를 맡은 당시도 그랬거니와 <사도> 같은 사극 영화에서나 서울 택시 기사로 출연한 <택시운전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미세하게 밴 경상도 억양은 송강호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었다. 곱씹을수록 새삼 놀라운 점은 핸디캡이 되기 충분했던 사투리조차 송강호에게는 배우의 역량에 흠으로 남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를 거쳐간 무수한 캐릭터들은 놀라울 만큼 모두 다른 모습으로 살아 있었다.

<방자전>

송새벽 ​전북 군산

송새벽에게는 자신만이 감지하는 어떤 호흡이 있다. 그 특유의 느린 호흡으로 신을 장악하는 탓에 그를 충청도 사람으로 오해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송새벽의 진짜 고향은 전라북도 군산이다. 데뷔는 봉준호 감독의 <마더>에서였다. 겁먹은 도준(원빈)을 몰아붙이는 일명 '세팍타크로 형사'. 낯선 호흡과 리듬으로 해당 장면을 완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버리던 기묘한 감각의 배우가 등장했다. 그렇게 눈에 띈 송새벽은 곧바로 <방자전>의 잊을 수 없는 변학도가 되어 웃음을 이끌었고 <부당거래>에서는 황정민의 매제로 활약해 신스틸러로서 입지를 다졌다. 곧 <기생충>의 히로인 박소담과 함께 한 작품 <특송>에서 그를 만날 수 있다. 송새벽의 느릿한 전매특허 사투리를 오래도록 스크린에서 만날 수 있길.

<택시운전사>

유해진 충북 청주

아무래도 충청도와 전라도 사투리는 어느정도 호환이 가능한 영역인 것 같다. 전라도 출신 송새벽이 충청 사투리를 쓴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처럼 충청북도 청주 출신 배우 유해진은 영화 속에서 전라도와 충청도 캐릭터를 오갔다. 그의 몸에 밴 충청도 사투리는 언제나 문제없었지만 전라도 출신 캐릭터를 연기할 땐 '제대로' 소화하기 위해 각별히 공을 들였다고. "아따" "혀요" "당께요"를 애용하던 <공공의 적> 시리즈의 칼잡이 용만, 독일 기자에게 갓김치를 권하던 <택시운전사>의 광주 택시 기사 황태술이 전라도 버전의 유해진이다. 한편 부산 토박이 곽경택 감독의 <극비수사> 때는 파격적이게도 부산 사투리에 도전했다. 하지만 사투리도 써본 사람이 더 예민한 법. 네이티브와 견줄 수 없다고 생각한 유해진은 결국 캐릭터를 충청도 출신으로 수정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