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만난 사람들⑮] <로맨틱 코미디> 엘리자베스 생키 감독 - 로맨틱 코미디의 여성 혐오에 대해
임수연 사진 박종덕 2019-07-17

“로맨틱 코미디가 그리는 남녀 관계가 진짜라고 믿었다. 결혼하고 나서 그게 아니란 걸 깨달았다.” <로맨틱 코미디>는 오랫동안 사랑했던 장르가 “남성 시선에서 이상화된” 여성상을 강요해왔다는 것을 깨달은 엘리자베스 생키 감독의 에세이적 다큐멘터리다. 역대 로맨틱 코미디 영화 클립만으로 구성된 이 작품의 제작비는 1만8천파운드(약 2700만원).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지난 10년간 밴드 및 성우 활동을 하며 번 돈을 투자해 일군 성과다. 영화의 BGM도 모두 엘리자베스 생키 감독이 작사했으며 제레미 웜슬리 프로듀서(감독의 남편이다.-편집자)가 작곡했다. 장르를 총체적으로 분석하면서 주류 로맨스영화가 백인 이성애자 중심으로 편협한 세계만 재현했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그는 “<로맨틱 코미디>를 만들면서 오히려 이 장르를 더 좋아하게 됐다”고 한다. “여전히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1989)는 남녀 관점을 밸런스 있게 다뤄서 좋아하지만, <500일의 썸머>(2009)는 강력한 여성 혐오가 느껴져서 더이상 볼 수 없게 된” 것처럼, 장르 팬으로서 지나간 작품을 소비하는 나름의 방식도 찾았다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수동적인 여성상이 요구되기 이전에는 진취적인 여성상이 나오는 영화도 많았다. <그의 연인 프라이데이>(1940)의 힐디(로절린드 러셀), <뜨거운 것이 좋아>(1959)의 슈가(마릴린 먼로) 같은 캐릭터를 좋아한다.” 특히 섹슈얼한 에너지가 충만한 배우로 기억되는 마릴린 먼로가 강한 여성상으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엘리자베스 생키 감독이 생각하는 이 장르의 미래는 비관적이지 않다. “<세이빙 페이스>(2004)의 여성 캐릭터들이나 최근 <롱샷>(2019)의 미 최연소 국무장관 샬롯 필드(샤를리즈 테론)”를 좋은 예로 꼽으며, “<빅 식>(2017),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2018)의 대중적 성공 이후 보다 다양한 형태의 로맨스를 다룬 작품도 나올 것”이라며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차기작은 극영화나 TV시리즈 형태로 로맨틱 코미디를 생각하고 있다고. “백인 이성애자가 아닌 캐릭터가 나오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