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헤모글로빈의 시인’ 쿠엔틴 타란티노의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 시뻘건 할리우드의 석양을 추억하다
김현수 2019-09-26

10편의 영화를 연출하면 은퇴하겠다고 공언한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9번째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가 도착했다. 올해 칸국제영화제 경쟁부문 진출작이기도 한 이 영화는 그의 전작들이 종종 그랬듯, 각종 논란에 휩싸이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그중 대중과 평단이 가장 궁금해한 점은 영화가 소재로 삼고 있는 비극적인 실화, 맨슨 패밀리의 샤론 테이트 살인사건을 과연 어떤 관점에서 다룰 것인지의 여부였다. 뿐만 아니라 쿠엔틴 타란티노의 모든 영화를 배급했던 제작자 하비 웨인스타인의 성추문 스캔들 이후 그가 배급하지 않는 첫 영화라는 점도 관심사였다.

가장 먼저 논란을 야기시킨 건 극중 이소룡 캐릭터 묘사에 관한 거였다. 이는 비평적으로는 데뷔작 <저수지의 개들>(1992)에서부터 줄곧 지적됐던 인종, 여성, 성소수자 혐오와 차별 논란 등 그의 모든 영화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이번 영화도 여전히 공유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물론 이러한 논란만으로 그의 영화를 판단할 수는 없다. 실존했던 인물이 실명 그대로 등장하고, 범죄 실화를 바탕으로 이야기가 펼쳐지지만 이 영화는 감독이 설계한 뒤틀린 허구의 세계를 다루고 있으며 영화적 폭력이 자아내는 서스펜스의 쾌감으로 뒤덮여 있기 때문이다.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를 둘러싼 각종 논란을 먼저 언급한 이유는 이 영화가 할리우드에서 가장 성공한 어느 B급 영화광 감독이 바라보는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 같았기 때문이다. 그가 창조해낸 영화란 언제나 시끄럽고 괴팍하고 불친절하고 제멋대로인 모습이었다. 이번 영화 역시 끝까지 단 한컷도 타협하거나 에둘러 묘사하지 않는다. 쿠엔틴 타란티노는 늘 자신이 고수했던 방식 그대로, 다시 돌아오지 않을 고전 할리우드의 마지막 황금기인 1960년대와 타란티노 월드라는 영화 세계를 다시 한번 되짚는 영화 만들기에 관한 영화를 완성했다.

타란티노가 관객에게 던지는 질문

1969년 2월 8일 토요일, LA에서 시작하는 영화는 왕년의 TV시리즈 액션 스타 릭 달튼(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과 그의 절친이자 매니저 겸 스턴트 대역인 클리프 부스(브래드 피트)가 앞으로의 미래를 고민하는 데에서 시작한다. 당대 할리우드의 대표 카우보이 스타였던 릭이 업계에서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는 가운데, 이탈리아 진출 제의가 들어오자 크게 고민한다. 별다른 인생의 목표도 계획도 없는 클리프의 미래는 사실상 릭의 손에 달려 있다. 과거 스티브 매퀸과 그의 스턴트 전문 대역이자 친구였던 버드 애킨스, 그리고 버트 레이놀즈와 스턴트맨 겸 감독 할 니드햄의 관계를 연상시키는 두 사람의 끈끈한 우정과 비즈니스 관계가 위기를 맞이하자, 이제 막 기회의 땅 할리우드에 입성한 신인배우 샤론 테이트(마고 로비)와 대단한 예술적 성공을 거두고 있던 로만 폴란스키 감독 부부의 모습이 눈에 띄기 시작한다. 그리고 또 한편에서는 맨슨 패밀리를 앞세워 할리우드를 비롯한 상류층을 서서히 잠식해오던 히피문화가 릭과 클리프, 샤론 테이트의 일상을 위협해오기 시작한다.

이 영화는 샤론 테이트와 로만 폴란스키 감독에게 벌어졌던 비극적 실화를 전면에 내세운 영화가 아님과 동시에 어쩌면 그에 관한 영화가 맞기도 하다. 무슨 말인가 하면, <펄프 픽션>(1994) 개봉 당시 <뉴요커>의 앤서니 레인이 지적했던 “타란티노식 플롯은 메인플롯마저 서브플롯으로 느껴지게 만든다”는 특징이 이번 영화에서도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서서히 붕괴되던 할리우드 고전 스타 시스템과 자유와 사랑을 부르짖던 히피문화의 충돌이란 비극은 이 영화의 가상세계 안에서 어떻게 구현되는가. 영화가 묘사하는 그 순간은 현실에서 샤론 테이트에게 일어났던 비극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쿠엔틴 타란티노가 무섭도록 밀어붙여 묘사하는 처참한 폭력의 현장은 현실과 닮은 듯 다른 듯 교묘하게 줄타기하며 찬란했던 과거의 한때를 추억하게 만듦과 동시에 관객에게 온갖 질문을 던지게 만든다. 앞서 언급했던 이소룡에 관한 불편한 묘사, 이탈리아와 히피문화를 동시에 혐오하는 발언을 쏟아내는 릭의 불편한 대사, 별다른 대사 없이 등장하는 내내 웃음과 미모로 중무장한 샤론 테이트의 불편한 묘사 등은 모두 뒤틀릴 대로 뒤틀려 터져버릴 수밖에 없었던 그때 그 시절의 어떤 비극을 작동시키는 요소들이다. 그래서 이 영화는 끝내 할리우드와 영화의 미래를 비관하는가. 그건 잘 모르겠지만 우린 맨슨 패밀리 살인사건이 아메리칸 뉴시네마의 태동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는 잘 알고 있다. 그리고 지금의 할리우드가 스타 파워의 부재와 마블 영화의 독식과 스트리밍 서비스의 잠식으로 인해 애를 먹고 있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이러나저러나 쿠엔틴 타란티노의 신작을 이제 단 한편밖에 볼 수 없다는 사실은 참 쓸쓸하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