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편집장이독자에게
우아한 우주

어느 겨울, 동료들과 함께 늦은 대화를 마치고 카페 문을 나설 때였다. 느닷없이 내린 눈발이 나지막한 담장 위에 고스란히 쌓여 있었는데, 새끼손톱만한 크기의 눈송이들이 녹거나 흐트러지지 않고 서로 몸을 기댄 채 가로등 빛을 받아 일제히 반짝였다. 허리를 굽혀 오래도록 들여다보았다. 눈의 결정체들은 어느 것 하나 서로 같지 않았고, 어느 것 하나 아름답지 않은 것이 없었다. 눈송이 하나도 이러할진대 천지간의 우주는 어떻겠느냐는 어느 책 한 구절을 감동적으로 회상했다.

우주물리학은 나에게 접근을 허락지 않는 어려운 세계이지만 그래도 쉽고 아름답게 쓰여진 대중서를 통해 간혹 그쪽 세상을 구경하곤 한다. 최초의 경험은 <우주의 역사>라는 책이었는데, 20세기의 인류가 겨우 도달한 우주에 관한 지식을 정리하면서 그 한계를 이렇게 요약했다. 고대 동양의 어떤 민족은 우주가 거북이 열몇 마리를 엎어놓은 것처럼 생겼다고 믿었다,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동그랗고 평평한 우주 모델이 거북이 모델보다 더 나은 것이라고 단정할 근거가 없다.

최근에 읽은 <엘리건트 유니버스>는 거대 우주를 설명하는 상대성 이론과 미시 세계를 해명하는 양자역학이 드디어 행복하게 화합할 수 있는 계기를 찾았으며 그 실마리는 초끈 이론이라고, 감격에 겨운 소식을 전해준다. 우주물리학자들은 우주가 4차원이 아닌 열몇개의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증명하면서 여러 겹으로 주름잡힌 공간 모델도 제시했다. 들뢰즈가 이 세상은 주름잡혀 있다고 말했을 때 그것은 형이상학적인 비유가 아니라 가장 생생한 실제였던 것이다. 거북이 모델의 한판승!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혼돈이라고 여기는 우주가 실제로는 심오하고 완벽한 디자인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 아름다움은 그러나, 작은 순간들의 휘어짐을 무수히 내포하는 채로의 완벽성이다. 예측하지 못했던 특이점에 마주칠 때마다 우리는 휘어지고 알 수 없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그 어질어질한 순간에도 우리의 우주는, 나의 우주는, 거대 디자인의 측면에서 자신의 심오하고 우아한 본성을 변함없이 구현하고 있을 것이다.

이런 믿음은 삶의 무한한 역동성과 변함없는 하나의 원리를 통합해서 생각할 수 있는 지지대가 되어준다. 이 에디토리얼을 채우게 될 사람을 기다리는 동안 가져본 생각이다. 김소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