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영화읽기 > 영화비평
[김지미의 영화비평] 따뜻한 방식으로 탈출하기

누구나 가지고 있는 내밀한 치부와 마주하는 법

<룸>

<>은 납치, 감금, 성폭행, 출산과 양육이라는 단어들로 구성된 끔찍한 실화에서 모티브를 차용한 에마 도노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소설은 소재가 안고 있는 폭력의 선정성을 서사의 동력으로 활용하는 대신 비극을 이겨내고 삶을 온전히 긍정하게 되는 치유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잭의 시점에서 서술이 이루어지는 원작의 특색을 살리기 위해 <>은 잭의 시점숏과 내레이션을 적극 도입했다. 그런데 이제 막 다섯살 생일을 맞은 잭의 내레이션은 ‘무지한 서술자’였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의 ‘옥희’의 그것과 달리 통찰력 있는 성자의 언술처럼 다가온다. 강인한 엄마와 상처받은 여성 그리고 혼란스러운 딸의 역할까지 아우르는 브리 라슨은 흡사 이 세상에 속한 아이가 아닌 듯 신비로운 잭을 보여준 제이콥 트렘블레이의 모습과 함께 영화를 이끌어나가는 가장 큰 힘이다(그녀의 연기에 화답하듯 골든글로브와 아카데미는 여우주연상을 선사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영화는 세상과 유리되어 오롯이 둘만의 세계를 꾸려나가야 하는 그들의 이야기로 대부분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조이는 잠자리에서 잭에게 <몬테크리스토 백작>을 읽어준다. ‘몬테크리스토 백작’은 억울하게 감금되어 세상으로부터 유리된 채 오랜 세월을 보낸다는 상황적 유사성뿐 아니라 ‘시신’으로 가장해 탈출한다는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영화의 주요한 모티브 중 하나이다. 몬테크리스토 백작의 탈출이 ‘복수’와 ‘지위 회복’을 목표로 했던 것과 달리 조이와 잭의 탈출은 오로지 ‘생존’을 위한 것이었다. 조이가 세상으로 나가려는 의지를 실천하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된 것은 자신보다 잭 때문이었다. 감금자 닉의 눈을 피해 잭을 가둬두기에 옷장은 너무 비좁았고, 잭은 몸과 마음이 쑥쑥 자라나고 있었기 때문이다. 언젠가는 잭에게 가해질 직접적인 폭력의 가능성을 보게 된 조이는 더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음을 깨닫게 된다.

창문, 균형과 소통의 매개체

이 영화에서 잭과 조이가 세상과 관계 맺는 방식을 가장 잘 함축하고 있는 소재는 유리창이다. 그들이 감금되어 있던 당시 그들에게 허락된 창은 천장에 있는 ‘빛구멍’뿐이었다. 그곳엔 하늘 외에 아무것도 없었다. 비가 오고, 눈이 내리는 것으로 계절의 변화를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잭이 옷장 밖으로 나왔다가 닉에게 걸려 조이가 극렬하게 저항한 대가로, 전력 공급이 차단된 이후 조이는 잭에게 창 밖의 세상에 대해 제대로 알려주기로 결심한다. 세상에 대한 호기심이 아이를 해칠까봐 두려워 ‘거짓’ 세계를 꾸며냈던 조이는 스스로 그 세계를 부수고 아이에게 새로운 ‘진짜’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기 시작한다. 하지만 엄마를 완벽하게 독점하고 아직도 그녀의 젖가슴을 물어야 잠들 수 있는 잭에게 그 이야기는 완벽했던 균형을 무너뜨리는 무서운 결별/분리의 선언으로 오인된다. 잭은 저항하고, 비난하고, 거부한다. 그리고 자신이 그토록 환희에 차 축하했던 다섯살 생일까지 철회한다.

탈출의 장애가 닉이라고 생각했던 조이는 예상치 못했던 잭의 거부에 상처를 받고 자포자기한다. 아들의 접근에도 무반응으로 일관한다. 혼자 남겨진 잭은 ‘빛구멍’으로 들어온 햇빛과 어우러져 유희한다. 천창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이 그에게 거부할 수 없는 외부 세계의 존재를 스스로 깨우치도록 만든다. 그 이후 잭은 다시 일어난 조이에게 처음으로 진짜를 구별하는 질문을 한다. “엄마, 거북이는 진짜야?” 이 질문 이전까지 조이와 잭에게 TV만이 세상과 그들을 연결하는 창문의 역할을 해왔다고 할 수 있다. TV는 가짜 세계를 잭에게 일방향적으로 전송했고, 잭은 그 안에서 ‘진짜’와 ‘가짜’를 구별할 필요가 없었다. 도라와 스펀지밥과 자연다큐 속 거북이는 질적 차이가 없는 것들이었다. 비로소 잭은 ‘진짜’와 ‘가짜’를 구별해야 하는 ‘진짜’ 세계의 존재를 조금씩 받아들이게 되었다.

시체로 가장해 탈출하기 위해 말려 있던 카펫의 틈 사이로 잭은 진짜 세상을 본다. 너무나 많은 것들이 일시에 몰려와 정신적 혼란을 겪는 한편 진짜 땅을 밟고 뛰어본 적이 없던 그의 연약한 다리는 힘없이 쓰러진다. 잭이 처한 정신적 공황은 그를 구조한 경찰차 안에서 누워서 바라보는 차창을 통해 표현된다. 어둠과 빛들이 빗물이 흐르는 차창으로 왜곡되어 투영된다. 세상은 괴기스럽고 공포스럽다. 그리고 그 차창을 통해 그는 엄마 조이가 구출되는 광경을 지켜본다. ‘룸’에서 강인하고 절대적이던 엄마 조이가 감격과 당황이 섞인 표정으로 뛰다시피 걸어온다. 이 장면을 통해 그들의 위치와 관계에 초래될 변화들이 암시된다. 모자간의 완벽했던 균형이 깨지고 말 것임을.

조이와 잭 모자가 입원한 병실의 외벽은 모두 유리창으로 되어 있다. 잭이 병실에서 처음으로 눈을 떠 바라본 풍경은 화이트 아웃됨으로써 빛의 과도함을 보여준다. 그토록 갈망했던 외부 세계는 동시에 과도하게 그들에게 다가온다. 담당 의사는 수많은 치료와 검사를 권유하고, 기자들의 플래시 세례와 이웃의 관심이 사방에서 피할 수 없는 햇빛처럼 쏟아진다. 담당의가 건네준 선글라스처럼 그들을 막아줄 정신적 보호막이 필요하지만 조이는 서둘러 ‘정상’이 되는 것에 집착한다. 그래서 자신과 잭을 보고 당황한 아버지에게 공격적으로 반응하고, 젖가슴으로 파고드는 잭을 밀어내고, 어머니의 평상심을 비난한다. ‘룸’에 있을 때는 나가기만 하면 회복될 줄 알았던 ‘정상성’은 그녀가 잃어버린 세월처럼 결코 회복할 수 없는 그 무엇처럼 여겨지기 시작한다.

조이와 잭이 머무는 어머니 집의 창문은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기 위한 커튼이 늘 드리워져 있다. 한번도 외부 세상에 노출되지 못했던 잭이 비정상이 될까 두려워했던 조이는, 적응하겠다는 의욕 과잉 때문에 수락한 인터뷰의 여파로 자살을 기도할 정도로 실의에 빠져버린다. 조이의 초조함과 달리 잭은 느리지만 서서히 외부 세계에 적응해가기 시작한다. 천천히 커튼 뒤 세상을 구경하고, 조이에게만 속삭였던 작은 목소리로 할머니, 할아버지와 조근조근 대화할 수 있게 되고 이웃 아주머니에게도 소리 질러 답변할 수 있는 힘이 생긴다. 엄마에게 자신의 ‘힘샘’인 머리카락을 잘라 선물로 보낸 뒤 누군가가 그의 창문을 톡톡 두드린다. 새로운 친구, 이제 조이에게 창문은 세상과 그를 유리시키는 가림판이 아니라 열고 닫으며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된 것이다. 그리고 그 창문을 열며 엄마 조이도 돌아온다.

안과 밖, 정상과 비정상의 무의미함

조이와 잭은 비로소 세상으로 들어선다. 잭은 엄마를 남겨두고 혼자 친구와 놀기 시작하고, 창문 너머로 들여다보기만 하던 해먹에 직접 누워 ‘빛구멍’ 없이 하늘을 감상한다. 그들이 햄버거 가게에 앉아 있는 장면은 그런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창문 뒤에서 세상을 훔쳐보던 그들의 시선을 대변하던 카메라가 창문 맞은편에 앉아 그들을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이 이제 일상의 풍경 중 하나가 되어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감독은 일상성을 바로 ‘정상성’과 접합시키지 않는다. 전작 <프랭크>에서 보여준 것처럼 레니 에이브러햄슨 감독은 사회가 규정한 ‘정상/비정상’의 경계에 집착하고 타인의 시선을 자기 내면의 규율로 삼을 때 초래되는 강박이 어떤 파국을 초래하는지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은 다시 ‘룸’에 돌아간 잭의 입을 통해 담고 싶었던 메시지를 선명하게 전한다. “여긴 예전과 달라졌어요. 문이 열려 있으면 더이상 ‘룸’이 아니거든요.” 각자의 마음속에 있는 상처를 응시하되 그로 인해 세상과 연결된 문을 닫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감독이 감금자 닉을 낯설고 기괴한 존재가 아니라 다소 무력해 보이는 평범한 남성으로 묘사한 것은 그런 이유일 것이다. 타인을 감금한 폭력성은 단죄되어야 하지만 폭력을 필요 이상 기괴한(uncanny)한 것으로 신비화할 필요는 없다. 그로 인해 고통받는 것은 괴물이 된 가해자가 아니라, 괴물의 그림자가 되는 피해자이기 때문이다. 누구에게나 조이와 잭이 거쳤던 각자의 ‘룸’이 있다. 그것을 극복하는 최선의 방법은 잊어버리거나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따뜻하게 바라보며 ‘작별 인사’를 나누는 것일지도 모른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