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Culture > 초이스 > 도서
쾌락의 급소 찾기 34 - 가장 미련 많은 귀신은?
2001-07-05

제발 이곳을 떠나줘!

“내 눈엔 죽은 사람이 보여요.”(I See Dead People) <식스 센스>의 꼬마는 몹시도 주저하며 어렵게 어렵게 고백을 해냈다. 엄마라도 그의 말을 믿어주지 않을 게 뻔했고, 거짓말을 한다고 야단치거나 정신병원에 보낼 수도 있을 테니까. 하지만 그 꼬마가 동양의 영화나 만화를 볼 기회가 많았다면 훨씬 쉽게 마음을 터놓을 수 있지 않았을까? 왜냐면 거기에선 ‘죽은 사람을 보는 능력’은 너무나 일상적인 것이고, 퇴마사나 영능력자가 아니더라도 죽은 영혼을 만나는 일이 비일비재하니까 말이다. 게다가 만화잡지의 여름 시즌이 되면 호러 장르와는 전혀 상관없는 연재만화의 주인공들까지 앞다투어 귀신을 만났다는 고백을 쏟아내지 않는가?

죽은 자들과 소통하다

<식스 센스>의 귀신들은 죽은 그 순간의 모습으로 사방을 떠돌아다닌다. 교통사고로 죽은 사람은 머리가 부서져 있고, 화재로 죽은 여자는 몸의 절반이 구워져 있고, 약물로 죽은 소녀는 계속 구토를 한다. 당연히 그런 귀신들은 끔찍한 모습 때문에라도 보는 사람을 질겁하게 하는데, 가와구치 마도카의 만화 <죽음과 그녀와 나>의 여주인공 역시 똑같은 고통으로 괴로워한다. 어렸을 때 의사로부터 죽음을 선고받고도 기적적으로 ‘이쪽으로 돌아온’ 그녀의 눈에는 죽은 사람의 모습이 고스란히 보인다. 정글짐에서 떨어져 죽은 소년은 다른 아이를 친구로 삼고자 누군가의 발을 걸어보려고 하고, 빌딩 옥상에서 자살한 사람은 자신이 죽은 줄도 모르고 계속해서 빌딩에 올라가 뛰어내린다. 어떤 녀석들은 악념으로만 똘똘 뭉쳐 집요하게 사람들의 약한 마음속에 들어가 죽음을 충동질하고, 자신의 존재를 아는 주인공들을 파멸시키려 한다. ‘죽은 자’들만큼이나 외로운 것이 ‘죽은 자를 볼 수 있는 사람’. 그녀의 곁에 비슷한 능력을 지닌 소년이 찾아온 것은 그나마 다행한 일이다. 누구보다 죽음에 가까운 이들 남녀는 병, 고통, 죽음이라는 것들을 냉정히 들여다보며, 인간의 절망과 죽음에 대해 좀더 깊이 고민하게 된다.

한번 죽을 뻔했다가 살아난 뒤 죽은 이들이 보인다는 설정은 동양의 만화나 영화, 드라마 등에서는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는 <죽음과 그녀와 나>처럼 극단적인 비극의 분위기가 나는 작품들도 있지만, 이시키 마코토의 <하나다 소년사>(花田少年史)처럼 밝고 쾌활한 분위기의 작품들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하나다 소년사>의 주인공은 시골마을의 못 말리는 개구쟁이. 소년은 어느날 죽을 뻔하다가 살아난 뒤 죽은 자들의 소리를 듣게 된다. 그 존재들은 그를 따라다니며 이런저런 일을 처리해달라고 하는데, 소년은 처음에는 그 부탁을 귀찮게만 여기지만 점차 자신에게 부여된 ‘임무’를 알고 그를 통해 성장해간다. 그래서 이 만화는 섬뜩한 귀신야담이라기보다는 소년의 성장드라마로만 여겨진다.

그들이 이승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

이승의 생을 마감한 영혼이 쉽게 이곳을 떠나지 못하게 하는 힘은 ‘원한’이라는 마이너스적인 에너지뿐만 아니라 ‘사랑’이라는 플러스적인 에너지에 기인할 때도 많다. 야가미 겐의 <은밀한 귀환>에서 후배 여교사와 사랑하다가 불의의 사고로 목숨을 잃게 된 주인공은 같은 날 죽은 다른 소년의 몸에 들어가 그녀와의 사랑을 이어가보고자 한다. 죽음을 넘어 사랑을 이루고자 하는 남녀. 영화 <사랑과 영혼>류의 로맨스와 흡사한 분위기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겉으로는 남학생과 여선생의 불륜, 속으로는 죽은 자와 산 자의 사랑, 양쪽으로 어려워보이는 이 로맨스는 과연 어떤 결과를 가져올까?

‘장가도 못 가본’ 총각귀신은 예로부터 이승을 쉽게 떠나지 못하는 존재로 잘 알려져왔다. 종족보존의 욕망이든 단순한 성욕이든, 남자들의 동정 콤플렉스는 그만큼 집요한가 보다. 고바야시 마코토의 여주인공 <미스 헬로>가 긴자의 여자가 되는 결정적인 계기도 이 동정귀신 때문이다. 부푼 꿈을 안고 대학의 여기숙사에 들어간 하루오, 하지만 밤마다 총각귀신이 찾아와 ‘한번만 하게 해달라’고 졸라댄다. 그래도 무시하며 잠을 청하지만, 결국은 울면서 그곳을 도망나오고 만다. 총각귀신이 일이 안 이루어지자 그녀 앞에서 자위행위를 하며 시위를 벌인 것. 귀신이 되더라도 최소한의 예의와 체면은 지켜야 하는 것이 아닐까?

죽은 자를 두려워하는 이유는 어쩐지 살아 있는 사람들의 폐쇄적인 자기 안위의 욕망 때문으로 보인다. 살아 있는 자는 대부분 죽음으로 통하는 문을 닫아두려고 한다. 언젠가 자신도 그곳으로 들어가야만 하지만, 가급적 그 순간을 늦추고자 하는 본능적인 생존 욕구에 매달린다. 동양에서 제사를 지내고 귀신에게 식사를 차려주는 것도, 살아 있는 우리들만은 당신의 곁으로 데리고가지 말아달라는 청원이 아닌가? 그렇게 굴종하기보다는 죽은 귀신들이 지닌 초자연적인 능력을 먼저 얻어내는 것이 낫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토미에, 공포의 끝없는 재생

많은 만화들이 귀신을 친구로 만들어주고 있지만, 그래도 상식 속에서 ‘죽은 자는 곧 공포’다. 그리고 죽은 자의 모습이 눈앞에 등장할 때 가장 끔찍하게 여길 사람이 있다. 당연히 그를 죽인 살인자. 이토 준지의 <토미에>는 바로 이 죽은 자의 재생이 가져다주는 공포를 극으로 밀고간다. 얼마 전에 토막살인당한 시체로 발견된 토미에. 학급의 교사와 친구들은 그녀의 죽음을 몹시도 애도한다. “아무리 슬퍼해도 토미에는 우리 곁에 돌아오지 않아.” 그런데 토미에가 돌아왔다. 언제나와 같은 모습으로. 그런데 아무도 기뻐하지 못한다. 왜냐고? 모두가 그녀의 살인에 가담했고, 합심하여 그녀의 시체를 조각조각 내었으니까. 그 조각들이 번식하여 수억의 토미에를, 수억의 살인충동을 만들어낸다.

이명석/ 프로젝트 사탕발림 운영중 www.sugarspr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