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INTERVIEW
[인터뷰] 넷플릭스 '정이' 연상호 감독, “인간과 AI의 경계를 묻다”
김수영 사진 오계옥 2023-01-26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폐허가 된 지구에서 벗어나 이주한 셸터에서 끊임없이 전쟁이 벌어지고, 사람들은 전쟁을 끝내기 위해 전설적인 용병 ‘정이’의 뇌를 복제한다. 최고의 전투 AI를 개발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인 <정이>는 ‘딸이 복제된 엄마를 리셋해서 해방시킨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작품마다 새로운 세계관을 선보이는 연상호 감독의 SF영화라는 점에서 기대감이 높지만 무엇보다 <정이>는 고 강수연 배우가 오랜만에 주연으로 출연한, 그러나 그의 마지막이 된 영화라는 점에 더 주목하게 한다.

- 전투용병의 이름이 ‘정이’다. 굳이 친근한 이름을 붙인 까닭이 있나.

=정이(김현주)는 영웅, 용병, 엄마 등 여러 시선에서 보여진다. 한 인물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이야기라 처음부터 제목은 인물의 이름이어야 했다. 해방되는 존재이니만큼 원래의 윤정이(김현주)와는 다른 이름이되 단순하고 한국적이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외국 사람들도 이 영화를 한국 이름으로 부를 거잖나. 그 점도 재미있을 것 같았다.

- <정이> 속 미래 도시 풍경과 열차 이미지는 친숙하면서도 클래식하다. 어떤 컨셉으로 배경을 디자인했나.

=사이버펑크 요소가 많은 세계를 원했다. 내가 좋아하는 사이버펑크 영화들, 이를테면 <공각기동대>라든가 <블레이드 러너> 혹은 오토모 가쓰히로의 단편에 나오는 배경들은 도시에 선이 많다. 요즘에 상상하는 미래 도시는 무선 세상에 미니멀한 디자인이지만 나는 그런 룩에 몰입이 안되더라. 내가 요청했던 것은 공장이나 기계 이미지로 꽉 찬 이미지들, 디자인보다 실용성이 강조된 옛 SF영화의 룩이었다. 한 친구는 <정이>의 배경만 봐도 감독의 연식이 나온다고 하더라. (웃음)

- 정이는 복제품이지만 고통을 느끼고 자신이 로봇이라는 걸 인식하고 괴로워하기도 한다.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로봇으로 설정한 까닭은.

=인간이 패드를 몇번 터치하는 것만으로 정이의 고통을 증대시키거나 없앤다. 정이가 완벽하게 통제 가능한 복제품이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딸 서연(강수연)은 정이에게 있는 자신의 기억을 지운다. 정이에게 딸의 기억이 존재하는지 여부는 알 수 없지만 마지막 장면에서 복제품으로 여겨졌던 정이가 자신의 존재에서 벗어나는 순간이 있다. 누구에게도 제약받지 않는 아이덴티티가 탄생하는 장면이다.

- 김현주 배우가 전투로봇과 겨루는 액션 신도 관전 포인트다.

=옛날 홍콩영화들처럼 진짜 몸으로 부딪히는 액션을 원했다. 처음에 떠올린 건 정이가 무수한 자신이 있는 공간에서 자기와 닮은 로봇들과 싸우는 장면이었다. <용쟁호투> 속 거울방 액션 같은 느낌을 내고 싶었다. 배우가 와이어를 달고 연기하거나 특정 부분은 CG로 그리는 등 파트를 세분화하여 액션팀과 CG팀, 촬영팀이 긴밀하게 작업해나갔다. 무술감독님이 생각하는 디자인을 바탕으로 CG팀이 애니메이팅하고 이를 보며 의논해가는 식이었다.

- 로봇 정이는 급기야 김현주 배우의 얼굴을 벗고 등장한다. 얼굴이 아닌 눈만으로 감정을 교감할 수 있겠다는 답은 어떻게 찾았나.

=확신이 있었다. <마담 투들리-푸들리>라는 스톱모션애니메이션이 있다. 인형에 실사 눈을 합성했다. 대사 없는 애니메이션인데도 눈의 이미지 때문에 사실적으로 다가온다. 열차 신의 정이도 김현주 배우가 직접 연기했다. 전투형 로봇에 맞춰 얼굴을 움직이지 않고 눈빛만으로 연기를 해주셔서 이걸 로봇에 어떻게 반영할지가 관건이었다. 눈동자의 크기, 눈동자 안의 반사부터 김현주 배우의 눈꺼풀의 떨림, 눈동자의 움직임을 CG팀에 전달해 제일 먼저 작업해나갔다. 핵심적인 감정 연기를 CGI에 맡기게 되어 다들 우려했지만 나는 그래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관객이 로봇 정이에게서도 감정을 느낄 수 있어야 완성되는 이야기였다.

- <부산행>과 <반도>에 이어 애착을 가진 모녀 관계가 <정이>에서도 등장한다. 엄마와 딸의 친밀감이 다른 관계보다 특별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있나.

=60년생과 2000년생이 시대에 따라 다르게 느끼는 부분이 있겠지만 한국에서 여성은 비슷한 세계를 살아간다고 생각한다. 다른 시대라 할지라도 여성들이 갖는 동질감이 존재한다. 그게 모녀 관계에서 교감할 수 있는 독특한 지점이다. <정이>의 경우, 영웅이면서 여러 가지로 억압된 존재를 떠올리다보니 자연스럽게 여성 캐릭터를 떠올렸고, 그를 모든 억압에서 해방시켜주는 존재가 있다면 그건 아들보다는 딸이 맞겠다고 생각했다.

- 아이콘이었던 존재가 해방되어 떠나간다는 점에서 마지막 장면의 정이가 세상을 떠난 강수연 배우와 겹쳐 보였다.

=인류의 명운을 건 AI전투영화처럼 홍보되고 있지만 이 영화는 윤서연의 사적인 이야기다. 촬영한 직후 편집본이 나왔을 때는 <정이>가 강수연 배우의 이야기라고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선배님이 돌아가시고 후반작업을 하는 와중에야 깨달았다. 선배님이 자신에게 하는 말이고 선배님과 같은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가 여기 담겨 있구나 느꼈다. 영화를 하면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일이었다. 강수연 선배의 마지막 영화이자 그가 주연으로 등장하는, 완전히 강수연의 영화라고 생각한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