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끝나지 않을 열정의 천일야화, <나쁜 교육>

장르의 대중성과 예술의 고결함을 마음대로 주무를 줄 아는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이종 장르 예술 영화.

만사형통의 변론을 위해 여기저기 불려다니다가 아예 상투의 시장바닥에 내동댕이쳐진 말, ‘욕망’. 그것에 대해 내용과 형식의 조화를 이루어 소중하게 그려내는 희귀한 예가 바로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영화이다. <나쁜 교육>은 그 욕망의 관계들을 자신만의 영화적 구조로 완전하게 집도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알모도바르의 신작이다.

촉망받는 영화감독 엔리케(펠레 마르티네즈)는 새 영화를 구상 중이던 어느 날, 누군가의 갑작스런 방문을 받는다. 지금은 앙겔(가엘 가르시아 베르날)이라는 이름으로 배우 생활을 하고 있지만 예전에는 이그나시오로 불렸던 엔리케의 첫사랑. 새 영화에서 배역을 맡고 싶다며 찾아온 앙겔은 엔리케에게 시나리오 한편을 건네준다. 엔리케는 그것을 읽어내려가며 상상과 기억 속으로 빠져든다. 가톨릭 기숙사에서 엔리케와 이그나시오가 보냈던 혹독한 어린 시절, 그곳의 교장이었던 마놀로 신부와의 사건들이 그 안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시나리오에 매혹되어 영화를 만들어가던 중에 엔리케는 앙겔에 얽힌 놀랄 만한 비밀들을 차례로 접하게 된다.

실제로 자신의 유년 시절을 바탕으로 짧은 글 한편을 써두었던 페드로 알모도바르는 오랫동안 서랍에서 잠자던 그것을 다시 꺼내 영화로 만들었다. 그러나 <나쁜 교육>은 제목의 느낌과는 다르게 무언가를 고발하는 폭로극은 아니다. 또한 경험에 충실한 자서전을 펼치지도 않는다. 대신, 고단수의 이야기꾼답게 언뜻 보면 쉬워 보이는 형식 안에서 끝이 없을 듯한 내용의 연쇄를 지어낸다. 그것들은 하나라도 따로 떼어놓고 말하기 어려울 만큼 꼼꼼한 관련을 맺고 있다. 영화 속 영화 안으로 들어갈 때 화면비율을 조정하는 정도는 아주 작은 예다(엔리케가 시나리오를 읽기 시작할 때 스크린의 양편은 미세하게 좁아지고, 다시 거기에서 빠져나올 때는 넓어진다). 또, 종종 그래왔던 것처럼, <이중배상> <테레즈 라캥> <인간야수> 등 몇편의 다른 영화들을 후면에 언급하면서 이해의 통로를 트는 것도 부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나쁜 교육>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방문’이다. 앙겔이 엔리케에게 건네주어 영화 속 영화가 되는 시나리오의 제목이 ‘방문객’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나쁜 교육>은 더욱 흥미진진한 영화가 될 것이다. 이 영화에서 비밀은 반드시 누군가가 어딘가를 방문하면서 밝혀진다. 혹은 그 방문을 통해 사건은 완전히 다른 국면을 맞는다. 엔리케의 사무실로 앙겔이 찾아오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앙겔이 엔리케의 집을 나가는 장면으로 영화가 끝나는 것은 그냥 맞아떨어진 아귀가 아니다. 영화 속 영화에서 자하라가 마놀라 신부를 방문할 때, 엔리케가 이그나시오의 시골집을 방문할 때, 베렝게로 이름을 바꾼 마놀로 신부가 이그나시오의 집을 방문할 때, 다시 베렝게가 엔리케의 영화 촬영장을 방문할 때, 욕망은 반드시 고개를 들고, 사건을 몰고 오며, 비밀을 터뜨린다. 그 순간 욕망의 파장들이 일어난다. 과거에서 현재로, 기억에서 상상으로 들고나는 ‘출입’의 형식구조 역시 그 방문의 개념에 따른 것이다. 그런데 알모도바르는 이 탁월한 영화적 배치들을 천연덕스럽게 숨길 수 있을 만큼 자기의 영화를 손쉽게 다루고 있다. 둔탁하게 강조하는 것보다 예리하게 배어나는 것이 더 어렵다는 점에서 <나쁜 교육>은 진정 진귀한 영화이다.

<나쁜 교육>이 서로 상이한 초점의 에피소드로 건너다니면서도 불편한 이음새를 보이지 않고 어느 순간 완벽한 한편의 영화로 안착할 수 있는 이유는 인물들의 욕망을 존중하기 때문이다. <그녀에게>처럼 그 욕망은 인물들 사이에서 끝없이 ‘엇갈린다’. <그녀에게>의 인물들이 엇갈림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게 되는 것이라면, <나쁜 교육>의 인물들은 어두운 일면을 갖게 된다. 알모도바르는 그 욕망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말하기 이전에 그것을 부지런히 쫓아다니는 사람들의 행태를 먼저 그려낸다. 그러다보면 해피엔딩일 수도 있고, 비극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건 중요하지 않다. 추구한다는 것 자체를 중요하게 보여준다. 이번 영화에서 알모도바르는 그 의미를 ‘열정’이라는 말에 담아 전한다. 그래서 실제로 이 영화의 마지막에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은 화면 가득히 크게 클로즈업되는 ‘열정’이라는 문자이다. 주인공은 네명이지만, 그들이 불리는 이름은 그 숫자 이상이라는 점에 이 영화의 숨은 주제가 있다. 그것은 곧 욕망은 추구할 수 있는 것이지, 언제나 원하는 만큼의 크기로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의 방증이다. <천일야화다.

:: <나쁜교육>속에 인용된 필름 누아르

알모도바르의 좋은 교육?

영화를 통해 영화를 ‘교육’받은 감독들 중에 페드로 알모도바르처럼 어색하지 않게 그 유용한 티를 낼 줄 아는 감독도 많지 않다. <하이힐>에서는 잉마르 베리만의 <가을 소나타>의 한 장면을, <라이브 플래쉬>에서는 루이스 브뉘엘의 <범죄의 리허설>의 한 장면을 재치있게 인용하고, <내 어머니의 모든 것>의 제목은 아예 조셉 맨케비츠의 <이브의 모든 것>에서 가져오기까지 한다. 이번 영화 <나쁜 교육>에서도 그런 재치있는 방식들은 여전하다. 오프닝 크레딧은 히치콕의 <사이코> 오프닝을 즐겁게 베끼고, 그 화면을 채우는 낙서 중 하나로는 <범죄의 리허설>의 마네킹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번영화 <나쁜 교육>이 재치있게 끌어들이는 영화의 형제들은 필름 누아르이다.

영화 속에서 앙겔과 베렝거는 범죄를 저지르고 난 뒤, 시간을 때우기 위해 극장으로 들어간다. 그 극장에는 ‘필름 누아르 주간’이라는 간판이 걸려 있다.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베렝거는 “완전히 우리 얘기” 같다고 말한다. 그들이 빠져나간 자리, 극장 벽면에는 빌리 와일더의 <이중배상>, 장 르누아르의 <인간야수>, 마르셀 카르네의 <테레즈 라캥> 포스터가 나란히 붙어 있다. 정확히 누아르라고 부르기는 어렵지만, 어쨌거나 범죄에 얽혀 있는 주인공들의 심리를 대변하고 있는 셈이다.

말하자면, 알모도바르는 이렇게 <나쁜 교육>을 소개하기도 한다. “이 영화는 누아르다. 필름 누아르는 경찰이나 총이나 물리적인 폭력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지만, 반드시 거짓말과 불행, 이른바 팜므파탈이라 불리는 한 여자가 등장한다. 그 팜므파탈은 상대를 유혹하고 긴장하게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는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쉽게 물러서지 않고, 양심의 가책을 버린 채 그것을 되찾으려 하지도 않는 인물이다. <나쁜 교육>에서의 팜므파탈인 가엘 가르시아 베르날의 연기는 그간 팜므파탈들이 보여준 악행들을 정확하게 뒤쫓고 있다.” 덧붙여, 그는 앙겔 역의 가엘 가르시아 베르날이 “패트리시아 하이스미스의 <태양은 가득히>의 주인공 리플리를 연상시키는 인물”이며, “그 영화에서 알랭 들롱이 보여준 유혹적인 매력을 연상”시킨다고도 말한다.

페드로 알모도바르는 이렇게 영화에 영화를 끌어들이는 것이 단순히 인용으로 그치는 것을 바라지는 않는다. “인물들의 상황에 대한 반영”이라는 말과 같이 서로 융화하여 새로운 차원을 만들어내길 시도한다. 그래서 이렇게 말한다. “나는 영화란 일정 측면에서 관객의 존재를 반영하는 것일 뿐 아니라, 일종의 전조적인 능력을 갖고 있다고 확신한다. 이 영화는 내가 영화 덕분에 대안적인 교육을 받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화가 바로 좋은 교육이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