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클로저> 감독 마이크 니콜스 [2] - 자타공인 걸작 베스트 5
박은영 2005-02-01

배우들의 마음을 열게하는 그만의 연출 방식

<버드케이지>

<프라이머리 컬러스>

마이크 니콜스는 배우 복이 많은 편이다. 심지어 <울프>나 <너 어느 별에서 왔니?>처럼 ‘감독님, 왜 이런 영화를 만드셨나요?’라고 묻고 싶어지는 영화들도 출연진은 화려했다. 40년 가까이 영화를 만들어오면서, 니콜스와 특별한 인연을 맺은 배우들도 있다. 잭 니콜슨, 메릴 스트립, 에마 톰슨 등은 다양한 작품에서 그에게 힘을 보탠 충성스런 배우들. 잭 니콜슨처럼 까다롭기로 유명한 배우도 “당신이 부른다면 언제든지”라며 달려오곤 한다. 그가 배우 조련에 비상한 능력이 있다는 것은 결과로도 입증됐다.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의 엘리자베스 테일러, <애정과 욕망>의 앤 마거릿, <워킹걸>의 멜라니 그리피스, <버드 케이지>의 네이선 레인 등 ‘연기파’로 공인된 적 없던 배우들이 그를 통해 ‘일생일대’의 연기를 펼쳐 보일 수 있었다. <클로저>의 네 배우들도 마찬가지다. “그는 자기 배우들을 진심으로 사랑한다. 자신을 믿고 사랑하는 감독에게, 배우는 최선을 다해 보답하게 마련이다.” <프라이머리 컬러스> <위트> <엔젤스 인 아메리카>에서 함께한 에마 톰슨의 증언이다.

배우들과의 교감이 저절로 이뤄진 건 아니다. 그는 촬영에 들어가기 전에, “테라피 세션”(빌리 밥 손튼)으로 불리는 특별한 리허설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클로저>의 경우도 주연배우 넷을 모아놓고 4주간 토론과 훈련을 시켰다고 하는데, 줄리아 로버츠에 따르면, “그의 리허설은 인간 행태에 관한 수업 같다”는 것이다. “배우들이 마음을 열게 만드는 게 좋다. 마음을 열어도 좋다고, 그렇게 느끼게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캐릭터와 배우에 남다른 공을 들이는 그의 연출 방식이, 연극무대에서 출발한 그의 노하우와 철학에서 비롯된 것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40년 부침의 세월을 건너 다시 전진한다

<클로저>

미국의 쇼비즈니스를 좌우하는 상이 네개 있다. 영화의 오스카, 연극의 토니, TV의 에미, 그리고 음악(공연)의 그래미. 마이크 니콜스는 이 네 가지 상을 모두 받았다. 그와 더불어 ‘4관왕’의 고지에 오른 이는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와 멜 브룩스 정도다. 니콜스는 그런 의미에서, 누구보다도 성공한 ‘예능인’이지만, 적어도 영화감독으로서는, 몇번의 심각한 슬럼프를 겪어야 했다.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졸업> 등의 초기작에서 보여줬던 패기가, <캐치-22>나 <애정과 욕망> 같은 다소 과격한 실험으로 전이됐고, 이어진 작품들의 실패로 8년간 할리우드를 떠나 있던 것이 첫 번째 위기. “다시 현장에 돌아왔을 때, 다음 신을 어떻게 찍어야 할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던 전과 달리, 무의식적으로 촬영을 진행하고 있는 나를 발견했다. 영화의 전공정을 즐기게 된 건 이때부터다.” 83년 <실크우드>로 돌아온 그는 오스카 감독상 후보에 오르는 환대를 받았지만, 수면제로 처방받은 약물 부작용으로, 가진 돈을 모두 잃었다는 망상,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았다는 죄의식에 시달리는 등 힘든 시간을 보냈다. 약물 부작용에서 헤어나고, 훗날 네 번째 아내가 된 <ABC> 방송의 저널리스트 다이앤 소여를 만나면서, 전보다 밝고 가벼워진 코미디 <워킹걸>을 선보인 것이 1988년. 이어진 니콜스의 90년대 필모는 <헨리 이야기> <울프> <버드 케이지>등 좀더 대중적인 영화들로 채워졌다.

또다시 <프라이머리 컬러스>가 미국 밖에서 별다른 반응을 얻지 못하고, <너 어느 별에서 왔니?>는 흥행과 비평에서 모두 실패했지만, 니콜스는 좌절하지 않았다. “실패가 나쁜 것만은 아니다. 통찰력이 생기고, 마음이 편안해진다. 오스카상을 타는 건, 자정 무렵 텅 빈 베벌리힐스 호텔에 들어가는 것 같은 기분이다. 반면 실패하게 되면, 행복이 바로 내 곁에, 내 집에 있다고 느끼게 된다.” 그는 편집 보조로 일하던 시절, 빌리 와일더가 들려준 이야기를 되새겼는지도 모른다. “매순간을 보석으로 만들려 하지 말아라. 진주를 꿸 줄을 만들 시간도 필요하다”는. 누구도 칠순에 접어든 그의 재기를 믿지 않았지만, 그는 여유롭게 연극을 보았고, 희곡을 읽었고, 그중 몇을 연달아 브라운관과 스크린에 쏟아냈다. 다시금 초심으로 돌아와, 자신의 장기를 발휘하고 있는 니콜스의 작품들은, 지금 그 어느 때보다도 ‘거칠고 뜨겁다’.

자타공인 걸작 베스트 5

누가 이 영화빼고 니콜스를 논할수 있으랴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1966) 에드워드 알비의 동명 희곡이 원작으로, 스크린에 연극의 리얼리즘을 끌어들인 작품. “당시까지 만들어진 영화 중 가장 신성모독적이며 외설적인 작품”으로 꼽히기도 했다. 역사학 교수 조지와 그의 다혈질 아내 마사가 술에 취해 언쟁을 벌이고, 마침 집에 초대된 신임 강사 부부도 이들의 싸움에 휘말린다. 늦은 밤부터 새벽까지 욕설과 논쟁과 일탈의 난장판이 벌어지지만, 새벽 무렵 이들의 아들에 얽힌 비밀이 밝혀진다. 이전까지 미모만 부각됐던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술과 담배와 욕을 입에 달고 사는, 자기파괴적인 중년 여인으로 열연해, 오스카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니콜스는 역시 이 작품으로 오스카를 수상한 촬영감독 하스켈 웩슬러와 견원지간이었다고 고백하면서도, 촬영의 메커니즘을 배운 소중한 경험이었다고 밝힌다.

<졸업>(1967) 유혹과 불륜, 반역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한, ‘시대를 앞서간’ 영화. 전형적인 미국 중산층 출신으로, 수동적으로 살아온 모범생 벤자민은 로빈슨 부인과의 은밀한 관계에 탐닉하지만, 그녀의 딸 일레인을 사랑하면서 혼란에 빠진다. 둘의 관계를 알게 된 일레인이 떠나가고, 다른 남자의 아내가 되려던 날, 벤자민은 웨딩드레스 차림의 일레인을 데리고 사랑의 도주를 벌인다. 기성세대에 대한 반항의 메시지, 비전형적인 얼굴의 히어로가 내뿜던 조용한 카리스마, 사이먼 앤드 가펑클의 섬세한 음악이 풍성하게 어우러진 명작. 로빈슨 부인의 미끈한 다리 아래로 작게만 보이는 벤자민의 무력한 모습, 잠수복을 입은 채 수경 밖으로 부모를 바라보는 벤자민의 시점, 결혼식 날 도망쳐 버스에 오른 두 남녀의 조용한 미소는 영화사에 남을 명장면들이다.

<애정과 욕망>(1971) 인물의 구도에서, <클로저>와 가장 많이 닮은 영화. 이성관계에 보수적인 남자와 본능에 충실하게 관계를 시작하고 맺는 또 다른 남자가, 오랜 세월에 걸쳐 사랑과 성에 대한 다양한 탐색을 벌이는 이야기. 마이크 니콜스는 이를 자신의 작품을 통틀어 “가장 어둡고 느린 영화”로 꼽으며, 가장 큰 애착을 보인 바 있다. 노골적인 성애 묘사로 미국에서도 일부 지역에서 상영이 금지됐고, 잭 니콜슨이 연기한 방탕한 남자 캐릭터를 중심으로 여성을 비하한 작품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니콜스의 생각은 다르다. “그 시대 남자들은 ‘휴 헤프너(<플레이보이> 발행인) 세대’라고 할 수 있었다. 여자들을 대상화했고, 여자들에게 스스로 대상화하길 권했다. 이후 남녀관계에 평등이 대두된 건, 바람직한 변화라고 생각한다.”

<위트>(2001) 마거릿 에드슨의 퓰리처 수상 희곡을 영화화한 작품. 저명한 여교수가 난소암 말기 판정을 받는다. 병원에서 힘겨운 치료를 받던 그녀는 카메라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자신의 느낌을 이야기하는가 하면, 현재의 세팅에서 자신의 지난 날들을 돌아보는 판타지를 보여준다. 사무적인 의사들을 보며, 학생들에게 가혹했던 자신을 떠올리고, 용어와 화법을 깐깐하게 분석하던 자신이, 고통과 느낌을 말로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게 되자, 황망해하기도 한다. “죽음이여, 그대는 날 죽일 수 없다. 죽음은 영원하지 않다. 죽음, 그대는 죽을 것이다”라는 시구로 암전. 죽음을 통해, 거꾸로 희망을 이야기하는 이 작품은 니콜스의 ‘화려한 재기작’이 되었다. 에마 톰슨 역시 최고의 연기를 선보였다.

<엔젤스 인 아메리카>(2003) 2003년 12월 <HBO>에서 방영돼 전미를 발칵 뒤집어놓은 작품. 퓰리처상과 토니상을 수상한 극작가 토니 쿠시너의 장편 희곡을 영화화한 이 작품은, 6천만달러의 제작비와 6시간이 넘는 러닝타임을 자랑하는 대작. 레이건 시대의 뉴욕을 배경으로, 두 커플, 그리고 보스와 부모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서로 사랑하던 게이 커플은 둘 중 하나가 에이즈에 걸리면서 파경을 맞는다. 성생활이 없는 젊은 부부의 문제는 모르몬교도에 공화당원인 남편이 자신의 동성애 성향을 인정하지 않는 데 있다. 악덕 변호사인 남자의 보스 또한 에이즈에 걸렸지만, 그는 “나는 남자와 자는 헤테로이고, 암환자”라며, 현실을 직시하지 않는다. 에이즈 문제를 방치했던 레이건 시대를 고발하고, 인종과 종교와 정치와 성별과 동성애에 대한 차별이 자행되는 ‘미국의 지금’을 돌아보게 하는 이 작품은 지난해 골든글로브 5개, 에미상 11개 부문을 독식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