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미래를 바라보는 회의어린 시선, <아일랜드>

나랑 똑같은 인간을 만들어 장기나 피부를 이식받고 인간은 폐기한다. 그런데 제조품이 생각하는 상품이 되면서 주문자의 세계를 위협한다면?

스티브 매퀸과 알리 맥그로의 도주는 관능적이었다. 조직과 경찰 양쪽의 추격을 피해 달아나며 풍기는 범죄적 남녀의 땀내음이나, 도시에서 황량한 국경지대로 바뀌는 도주로 자체가 그랬다. 도주하는 그들 사이에서 느껴지는 미묘한 틈조차 끈적거렸다. 샘 페킨파의 <겟어웨이>(1972)가 빚어낸 도주의 관능을 킴 베이싱어와 알렉 볼드윈의 <겟어웨이>(1994)가 부활시키려는 건 역시 무모한 시도였다. 배우의 느낌으로 치자면 <아일랜드>의 이완 맥그리거와 스칼렛 요한슨이 좀더 근접해 보이나 이번에는 감독의 세공이 걸린다. 배타적인 아메리칸 시네마의 기수 마이클 베이는 사막에서 도시로 탈출 경로를 뒤바꾸고, 금지됐던 섹스의 분출을 최대한 지연시키며, 남녀를 쫓는 악당과 경찰의 무장력을 한층 높였지만 그냥 모듬상을 차린 듯하다.

모듬은 눈을 유혹하지만 신선도를 의심받곤 한다. <아일랜드>가 <겟어웨이>의 리메이크는 아니지만 <겟어웨이>의 자장 안에 머문다. 이완 맥그리거의 악몽으로 시작되는 침실장면은 재기발랄하나 <그랑 블루>를 닮았고, 복제인간을 배양시키고 복제인간에게 가짜 기억을 이식하는 음침하고 거대한 공장이나 고속도로 추격신은 거대하지만 <매트릭스>의 울타리를 넘지 못한다.

그렇지만 마이클 베이는 여전히 운이 좋다. 영화 제작 중에 세상을 놀라게 한 배아줄기세포의 복제 성공 소식은 <아일랜드>의 SF 근미래를 가시거리로 끌어와 리얼리티 한 가닥을 심어줬다. 그리고 일갈한다. 몇 십년의 생명 연장을 위해 당신과 닮은 인간을 돈주고 제조할 의향이 정말로 있냐고? 만약이라도 그것이 ‘뉴아메리칸 드림’이 된다면 곤란한 거 아니냐고.

<아마겟돈> <진주만> <나쁜 녀석들2>로 이어지는 마이클 베이의 탄착점이 늘 위대한 미국의 깃발이었다는 점에서 15년 뒤의 미래를 바라보는 회의어린 시선은 좀 뜻밖이다. 인색하게 말하면, 이건 도덕을 볼모로 삼은 상업주의다. 복제인간을 보호하기 위해 셀 수 없이 많은 인간에게 총을 난사하고 차로 짓뭉개는 자가당착이나 냉혹하기 그지없던 용병 대장의 급작스런 회개로 논리의 완결성을 스스로 파괴하는 짓을 태연히 벌인다. 또 갓 태어난 아기처럼 손가락을 빨고 있는 미국 대통령의 복제품 탄생을 제법 오래 응시하고, 백만장자들을 고객삼아 불법으로 인간복제를 해대는 메릭 바이오테크사가 국방성과 모종의 거래를 트고 있다고 거듭 힌트를 던져주고는 매듭을 짓지 않는다. 혹시 마이클 베이는 모종의 세력이 복제인간으로 자신의 위대한 대통령을 갈아치울지 모른다는 데에 근본적인 불안이 있었던 건 아닐까. 복제에 관한 지식이나 신념을 놓고 메릭 바이오테크사를 움직이는 메릭 박사(숀 빈)와 황우석 박사를 비교한다면 <아일랜드>는 순식간에 농담이 될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아일랜드>에서 유일하게 농담이 등장하는 대목이 가장 ‘인간적’이다.

맥코드(스티브 부세미)는 메릭 바이오테크사에 고용된 보잘것없는 엔지니어다. 소변을 보는 실시간으로 성분을 분석해 클론의 신체를 가장 신선하게 유지시키며, 추첨으로 지상낙원의 아일랜드로 갈 수 있다는 이데올로기로 클론의 정신을 지배하는 시스템과는 그다지 어울리는 인간이 아니다. 아내에게 하녀복이나 간호사복을 입혀 성인놀이를 즐기거나 근무 중 음주를 일삼는 그의 흐트러진 복무기강이 제조 3년차의 링컨6-에코(이완 맥그리거)를 친구로 삼을 수 있게 해줬다. 링컨은 늘 똑같은 흰색 운동복과 흰색 운동화, 허여멀건한 건강식, 툭하면 불러내 정신감정을 받게 하는 시스템이 못마땅하던 차에 이상한 악몽까지 되풀이한다. 의심이 생기면 맥코드를 찾아 스트레스를 해소하던 그가 드디어 시스템의 빈틈을 발견하고, 진실을 알게 된다. 아일랜드로 가는 길이 천국행이 아니라 황천길이라는 링컨의 단호한 주장을 조던2-델타(스칼렛 요한슨)는 저항없이 받아들이고 손잡고 탈출에 나선다. ‘겟어웨이’(도주)의 시작이다. 그런데 세상 밖에 나선 그들은 아직 알아야 할 것이 많다. 자신들이 장기나 피부를 공급하기 위한 복제인간이었다는 것이 첫 번째라면, 왜 자신을 제조하라고 주문한 고객에겐 자기 존재가 비밀이어야 할까? “쇠고기를 먹는다고 소를 만나진 않아.” 맥코드가 농담처럼 빗댄 소비자의 심정이야말로 복제인간의 비극성을 명쾌히 질러준다.

쫓기는 자, 농담을 받아들일 여유가 없는 터라 링컨의 표정은 대체로 굳어 있거나 심각하다. 그래서 이완 맥그리거의 매력이 살아나는 건 링컨6-에코를 주문한 진짜 링컨에서다. 자신과 똑같은 생물체를 대면했는데도 바람둥이 진짜 링컨은 인식의 혼란을 느끼기보다 가짜가 데려온 매력 만점의 조던에게 이죽거리며 수작걸기 바쁘고 자신의 출신지 스코틀랜드 억양을 리드미컬하게 들려준다. 스칼렛 요한슨? 한없이 수동적이다가 갑자기 대단히 능동적으로 바뀌는 변신 캐릭터다. 진짜 조던의 직업처럼 그냥 모델처럼 느껴지는 건 그래서일 거다.

현실 속의 복제인간

배아는 세포 덩어리인가? 생명체인가?

과학자들이 리플리를 복제하는 공상 같은 일이 현실에서 일어났다. 1997년 2월 복제양 돌리가 태어난 사건이다. 체세포를 난자에 이식하는 ‘핵치환 기술’로 만든 수정란이 다시 분화하여 생명체가 탄생했다는 사실은 발생생물학의 역사를 완전히 바꿔놓았다. 게다가 황우석 박사는 인간의 배아줄기세포 복제에 성공했다. 만일 이것이 법적으로 인정되면, 세포의 분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발생한 기형 및 암 등의 질병도 치료할 수 있게 된다. 팔이나 다리가 잘린 사람의 말단 세포에 팔과 다리 형태에 대한 정보를 넣어주면, 세포분화가 새로 이루어져 다시 팔과 다리를 얻을 수 있다는 말이다. 그야말로 획기적인 성과가 아닌가. 인간이 도마뱀의 꼬리처럼 재생된다는 사실.

그러나 기간세포를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간의 배아를 파괴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배아는 수정 2주 뒤에 탄생하며, 이 동안에 모든 장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그 기간이 인간과 세포 덩어리를 구분짓는 가장 중요한 시기다. 배아는 세포 덩어리라고 주장하는 생명공학자들과 배아도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적인 생명체로 봐야 한다는 종교·시민단체가 팽팽하게 맞서는 이유다. 게다가 유전자 복제 기술의 안정성은 아직 검증된 상태가 아니다. 돌리는 277번, 우리나라의 복제소 영롱이는 1만5천번의 실패 끝에 태어난 점을 떠올리면 더욱 그렇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