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투덜군 투덜양
[투덜군 투덜양] 과학이냐 예술이냐, <태풍>

투덜양, <태풍>으로 영화의 본질을 깨닫다

영화는 예술이 아니라 과학이다, 라는 깨우침을 <태풍>은 알려준다.

한국영화 흥행작이 되기로 작정하고 만들어진 <태풍>은 흥행이 검증된 작품들을 통해 도출되는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공식을 충실하게 따른다. 따라서 <태풍>이 제시하는 모든 것은 한국인들이 영화에서 누리고자 하는 모든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태풍>이 흥행작들의 치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제시한 한국인들의 영화 취향을 세 가지로 요약하면,

① 거의 모든 기사에 등장했듯 남북 대치 국면이라는 역사성을 전면에 내세운 최고의 흥행 소재다. - <쉬리> <실미도> <태극기 휘날리며>

② ‘싸나이’들의 영화이어야 하며 로맨스는 사소한 부속물로 처리하거나 차라리 없는 게 낫다. - <친구> <실미도> <태극기 휘날리며>(전세계 최고 흥행작이라지만 <타이타닉>이 어떻게 한국에서도 엄청난 흥행성공을 했나 모르겠다)

③ 감정의 최고조 상태에서 주인공 하나는 반드시 죽어야 한다. - <쉬리> <친구> <실미도> <태극기 휘날리며>, 하다못해 올해 최고 흥행작 <웰컴 투 동막골>까지 ‘신파’는 한국영화 흥행에서 가장 중요한 코드다.

그리고 이에 비하면 덜 중요하지만 <친구> <태극기 휘날리며>의 주인공을 맡았던 장동건 캐스팅부터 <태극기 휘날리며>의 홍경표 촬영감독까지 <태풍>은 어느 요소 하나, 이미 검증받지 않은 것들은 단 하나도 끌어들이지 않았다. 시나리오 작법의 교과서라고 불리는 책을 쓴 로버트 맥기의 강의를 듣고 ‘정답안’을 써내 비싼 가격에 시나리오를 팔아치운 <어댑테이션>의 찰리 카우프만 동생 도날드처럼 <태풍>은 정답안을 들고 시작된 영화다.

그리고 <태풍>은 다시 알려준다. 영화는 과학이 아니라 예술이라는 걸.

말했듯이 <태풍>에는 모든 요소가 다 있다. 한국영화의 흥행작들로 통계화된 소재와 주제, 주인공, 스펙터클 등을 고루 갖추고 있지만 마음을 움직이지는 못한다. 한 예로 클라이맥스라고 할 씬과 강세종의 대결에서 씬이 “0같은 건 당신이랑 내가 말이 통한다는 거야”라고 이야기했을 때 나는 깜짝 놀랐다. 어? 둘이 말이 통하는 사이였어? 언제부터 그렇게 됐대? 아까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누나를 데리고 떠나는 씬에게서 강세종이 총구를 거뒀을 때? 에이 설마~.

국내 최고 제작비라고는 하지만 200억원짜리 <태풍>과 2천억원이 넘는 <킹콩>을 비교하는 건 억울한 측면이 있을 것이다. 당장 비교되는 바다에서의 재난 장면 같은 건 그래서 언급하고 싶지 않다. 그러나 <킹콩>이 관객의 눈물을 쏙 빼는 건 2천억원이라는 돈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2천만원짜리 영화든, 2천억원짜리 영화든 관객의 마음을 움직이는 게 과제라는 점에서 게임은 공정한 것이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