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Culture > 초이스 > 포커스
[서울의 재발견] Never Forget, Oh My Lover, 서울

밤의 계절이 왔다. 여름은 낮이 아니라 밤의 계절이다. 낮은 밤을 위한 리허설이다. 길고 무덥고 지리한 낮은 짧고 서늘하고 강렬한 밤으로 보상받는다. 사람들은 밤에 머물 땅을 위해 낮에 길을 떠난다. 그러나 굳이 먼 길을 떠날 필요는 없다. 밤은 원래 도시의 것이다. 서울의 여름밤보다 더 짜릿한 것은 없다. 그저 집 밖으로 향하는 길만 찾으면 된다. 골목길부터 세종로까지, 남산에서 홍대까지, 서울의 길마다 여름밤이 빼곡히 차 있다. 여름밤, 서울을 깊이 느낄 수 있는 책 몇권을 소개한다.

1982년 1월5일, 명동

밤이 시작됐을 때

기념 사진을 찍는 카메라 플래시가 번쩍였다. 밤을 호흡하려는 시민들이 명동을 누볐다. 북악스카이웨이와 남산을 1시간30분 정도 돌아보는 ‘시내 야경관광’ 입간판이 거리에 나왔다. 82년 1월4일 자정, 해방 이후 37년 만에 처음으로 야간통행금지가 해제됐다.

물론 통금 시절에도 서울의 밤은 있었다. 다만 그것은 분단된 시간이었다. 밤 12시까지의 ‘숏타임’과 통금이 해제되는 새벽 4시까지의 ‘긴 밤’ 서비스는 당시 서울의 밤을 지배하는 두 장르였다. 서민들은 숏타임과 긴 밤 가운데 하나를 반드시 선택해야 했다. 그 경계를 넘나들며 자정 이후의 서울 거리를 활보할 수 있는 것은 정치인, 고급 관료, 경찰, 기자뿐이었다. “통금에 쫓겨 여관에 가면 베니어판으로 된 칸막이 옆에서 ‘이럴 거면 왜 따라왔어’ 하는 소리까지 들렸어요.” 연극연출가 정일성의 회고다.

<서울의 밤문화>(생각의나무 펴냄)는 일제강점기부터 2000년대에 이르는 서울의 밤문화 변천사를 들려준다. 가장 중대한 고비는 통금 해제다. 서민들은 이때부터 서울의 밤거리를 공식적으로 ‘접수’했다. 통금 해제 직후인 82년 2월6일, 서울극장에서 심야영화가 처음으로 선보였는데, 개봉작이 <애마부인>이었다. 첫날 밤, 1500석의 서울극장에 5천여명이 몰려들었고, 극장 유리창이 깨지는 소동 끝에 경찰이 출동했다. “통금 해제는 서울 밤의 색깔과 공기를 바꿔놓았다”고 지은이 김명환이 적었다.

서울 밤문화의 원형질은 아무래도 1909년 문을 연 ‘명월관’이다. 그때까지 집 밖에서 먹고 노는 ‘외식 문화’는 생소한 것이었다. 친지와 이웃을 집으로 불러 한상 차려내는 ‘잔치 문화’가 지배적이었다. 명월관은 “구한말 왕실의 몰락으로 궁중 연회의 주인공들이 궁 밖으로 나와 설립한 특급 요릿집”이었다. 악공, 기생이 배석하여 흥을 돋우는 가운데 최고 특권층이 비싼 값을 치르고 임금님 수라상을 받았다. 전국 각지에 명월관을 ‘카피한’ 고급 요릿집이 생겨났다. 고급 요릿집은 다시 중하위 계층에 맞춤한 요릿집과 유흥시설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남들과 구분되는 배타적 공간에서 특별한 음식과 음악을 즐기며 성적 긴장까지 해소하는 명월관의 콘텐츠는 서울 밤문화 100년의 고갱이다. 2007년 서울의 밤거리에서 사람들은 똑같은 것을 찾아 헤맨다. 통금 해제는 명월관 문화의 현대식 버전을 밤새 즐겨도 좋다는 나라님의 허가였다. 서울 시민들은 더 강렬하고 더 기발하며 더 대담한 욕망의 출구를 궁구하기 시작했다.

이후 25년여 동안 서울의 밤거리가 주조됐다. <골목에서 서울찾기>(랜덤하우스 펴냄)는 서울 거리의 구석구석을 뒤져 맛과 멋의 알짜배기 정보를 모아놓은 책이다. 모두 18개의 거리를 소개했는데 그 대부분이 1980년대를 기점으로 형성되거나 변모한 곳이다. 임금 행차를 피하기 위해 만들어진 피맛골은 80년대부터 대폿집과 해장국집이 들어섰고, 새로 형성된 도심인 홍대 앞길, 신사동 가로수길, 삼청동 역시 80년대부터 예술가들이 조금씩 모여들어 90년대부터 만개한 경우다. 서울의 밤이 시작되면서, 사람들은 특별한 무엇인가를 찾아 길을 나섰다.

2005년 10월1일, 청계천

화려한 길, 비루한 길을 따라

청계고가도로를 걷어낸 지 2년여 만에 청계천 복원공사가 끝났다. 1958년 시멘트로 하천을 덮어버린 때로부터 40여년 만의 일이었다. 풍수지리상 명당수이나, 현실에서는 하수로였던 하천이 ‘산책길’로 거듭났다. 이제 청계천변은 연인들이 서울의 습기 어린 밤을 즐기는 코스다. 청계천변은 애초 축제와 일탈의 공간이었다. 조선시대 청계천에서는 정월 대보름의 다리밟기놀이, 사월 초파일의 연등행사가 열렸다. 조선의 임금은 이 두날에 한해 밤 10시였던 통행금지를 풀었다. 청계천은 ‘조선식 통금 해제’가 열어놓은 해방구였고, 백성은 청계천변에서 밤의 서울을 만끽했다.

카니발의 길은 이후 비루함의 길로 쇠락했다. 50년대 청계천변에는 서울의 최하층이 몰려들어 판잣집을 짓고 살았다. 70년대 청계고가도로 아래서는 영세상인들이 터를 잡았다. 근대화는 청계천에 하수와 가난한 사람들을 몰아놓고 시멘트와 고가도로로 덮어버렸다. ‘돌아온’ 청계천을 두고 여전히 말이 많은데, 근대화의 폭력인지 카니발의 복원인지에 대한 논란이다.

<서울생활의 발견>(현실문화연구 펴냄)에 한 꼭지로 실린 ‘천변시대’는 청계천과 황학동을 따라 걷는다. 서울을 음미하기 위해 왜 거리로 나서야 하는지 말한다. “도시의 생명은 움직임이다. 사물의 이동뿐 아니라, 법과 제도에 이르기까지 도시 자체는 흐르고 떠다니고 변경된다.” 서울의 일상을 톺아보는 문화적 시도인 이 책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이동하며 변하는 것들에 대한 감성이다. 뒷골목, 산책길, 대로 등을 따라 다양하게 변하는 서울은 일상과 일탈을 기묘하게 갈라친다. 서울은 거리마다 근대의 억압과 축제의 해방을 함께 품고 있다.

어느 길을 택할 것인지는 어느 욕망에 충실한 것인지에 달려 있다. <서울 도심에서 만나는 휴식 산책길>(넥서스 펴냄)은 근대의 아스팔트로부터 탈출하려는 이들을 위한 것이다. 서울 25개 구별로 녹음이 우거진 산책길을 소개했다. <골목이 있는 서울, 문화가 있는 서울>(경향신문사 펴냄), <골목에서 서울 찾기>(랜덤하우스 펴냄)는 먹고 마시고 입고 자는 욕망의 해소를 거든다. 인사동, 종로, 홍대 앞, 삼청동, 장충동, 북창동, 이태원, 청담동 등을 누빈다. 여름밤, 서울의 카니발을 찾는다면 이 세권의 책으로 어지간한 만족을 볼 수 있다.

세책의 공통점이 있다. 서울의 골목길을 힘주어 강조하고, 그 역사를 소상히 소개한다. 맛집, 멋집에 대한 정보는 액세서리에 불과하다. 이 책들에 따르자면 서울은 때를 밀듯이 돌아다녀야 하는 곳이다. 구석구석 들쑤셔야 새로운 것, 재미난 것, 진정한 것이 드러난다. 서울의 문화와 공간을 소개하는 책들은 예외없이 일상의 공간을 일탈의 메스로 헤집는 방법을 일러주는 데 전력을 기울인다.

‘흐르고 떠다니고 변경하는’ 서울의 거리들은 저마다 나이테를 갖고 있다. 박정희, 통금 해제, 88올림픽, IMF 등이 대표적이다. 이 시기를 중심으로 무엇인가 변했다. 옛사람이 떠난 자리에 새사람이 들어왔다. 사람들이 몰려들다 곧이어 다른 곳으로 몰려간다. 근대의 여러 국면은 서울의 밤거리에 작은 파동을 일으키며 변화와 변신을 이끌었다.

<서울, 골목길 풍경>(북하우스 펴냄)은 서울 거리에 새겨진 나이테를 ‘미분’하여 음미하는 책이다. 서울 거리의 미묘한 매력을 극한까지 밀고 간다. 이 책에 등장하는 길은 답사, 산책, 감상, 오락의 길은 아니다. 삼선동, 한남동, 이태원, 북아현동, 청파동, 삼청동의 산동네 골목길을 안내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이태원, 한남동, 삼청동은 맛집, 멋집의 공간이 아니다. 한남동은 공터의 묘미, 이태원은 골목길의 중첩된 켜 구조, 삼청동은 휴먼 스케일의 축대길이 각각 돋보이는 곳이다. 이 골목길에서 지은이 임석재는 “울트라 휴먼 스케일의 선험적 폭력이나 거대담론의 허구적 유토피아 강박증이 개입하지 않은” “서민들이 실생활의 차원에서 경험과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이룬 ‘사실적 근대화’”의 현장을 발견한다. 옹색한 근대화의 뒷길에서 소수자적 특별함을 길어올려 나만의 미적 만족을 만끽하는 순간이다. 서울의 길을 음미하는 노하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