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세 남녀의 치정극 <미인도>
강병진 2008-11-12

그림 보는 재미 지수 ★ 김홍도의 마초 지수 ★★★ 하악하악 지수 ★★★★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까지가 허구일까. 팩션에서 이 질문은 곧 호감의 표현이다. 흥미로운 팩션은 실제를 향한 궁금증을 자아낸다. <다빈치 코드>의 열풍이 일으킨 루브르 박물관의 순례행렬만 봐도 그렇다. 하지만 ‘신윤복은 여성이었다’는 가설에서 출발한 <미인도>는 이 호감어린 질문을 갈구하는 영화가 아니(었을 것이)다. “영화 속의 이야기는 사실과 다를 수 있다”는 오프닝 크레딧의 자막이 무색해 보이는 <미인도>는 세 남녀의 치정극이란 설명만으로도 충분한 영화다.

이야기는 ‘타고난 재능’에 얽힌 비운의 사연으로 시작한다. 가문의 영광을 되찾으려는 그림쟁이 아비는 아들의 입신양명을 통해 자신의 뜻을 이루고자 한다. 그러나 아들은 그림에 아무런 재능이 없다. 타고난 재능은 딸에게 있다. 재능을 추구하는 아버지에 대한 죄책감과 수치심에 아들은 자살을 택하고, 아비는 딸에게 아들의 역할을 강요한다. 그래서 딸은 ‘신윤복’(김민선)이란 이름을 가진 젊은 청년으로 자라고 당대 최고의 화가인 단원 김홍도(김영호)의 제자로 들어간다. 스승은 거문고를 연주하고 제자는 그에 맞춰 그림을 그리며 사제지간의 두터운 정을 쌓던 어느 날, 이들 앞에 난전에서 청동거울을 파는 강무(김남길)란 청년이 나타난다. 젊은 두 남녀는 함께 풍속화를 그리러 다니던 도중 연정을 느끼고 함께 밤을 보내며 사랑을 쌓기에 이른다. 하지만 그 순간 그들을 지켜보던 김홍도는 질투심에 눈이 멀고, 세 남녀의 엇갈린 사랑은 비극으로 치닫는다.

영화는 신윤복의 작품 <미인도>가 그의 자화상일 것이란 가설에서 출발했다고 한다. 스승인 김홍도와 신윤복이 연인관계가 아니었을까란 질문도 뒤따랐을 것이다. 하지만 <미인도>는 굳이 신윤복과 김홍도란 실제의 인물을 가져오지 않아도 됐을 법한 이야기다. 영화는 신윤복과 김홍도의 작품에 숨겨진 사연을 상상하는 데 인색하다. <단오풍정> <이부탐춘> <서당도> <씨름도> 등 영화에 등장하는 그들의 그림은 오로지 그들이 눈으로 본 것을 옮긴 것에 지나지 않는다. 아비가 남장을 시켜서 궁에 들여보낼 정도로 뛰어난 그림 실력을 가진 윤복의 재능을 드러내는 부분도 인색하긴 마찬가지. 팩션으로서의 흥미로움을 드러내는 대신 <미인도>는 한 여장남자를 둘러싼 남자들의 욕망이 부대끼는 갈등을 그려냈다. 하지만 폭력적인 섹스로 나타나는 김홍도의 윤복을 향한 집착이 그의 슬픈 사랑을 대변하는 것도 어색할뿐더러 그런 홍도에게 몸을 던지는 윤복의 행동도 이해하기 어렵다. 다만 흥미로운 부분이 있다면, 극중 윤복의 눈을 통해 묘사되는 당대의 성풍속일 것이다. 청나라의 체위교습서를 시연하는 기생들의 과도한 몸짓과 야사모음집에서나 봤던 승려와 세도가 여인의 정사 등은 분명 여타의 사극에서는 볼 수 없었던 모습이다. 영화가 신윤복을 필요로 했던 이유는 혹시 풍속 에로티시즘의 대가라는 그의 수식어 때문이 아니었을까. 신윤복의 그림을 만끽하기에는 너무 작은, 사랑의 치열한 감정을 경험하기에는 덧칠이 많은 화폭이다.

tip/ 제작진은 극중에서 청나라의 체위를 시연하는 기생들을 캐스팅하면서 고충이 많았다. 무용선수나 시도할 법한 고난이도 체위를 구사해야 하는데다 적나라한 노출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제작진은 찜질방을 찾아다니며 몸짱 일반인을 찾아 헤매는 한편, 레이싱걸과 누드배우, 에로비디오 배우 등을 수소문해 2명의 배우를 찾아냈다. 영화에 나오는 연기는 약 4주간 일주일에 2번씩 전문가의 트레이닝을 받은 결과물이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