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죽이고 싶은 의지의 충돌을 흥미롭게 전개한 영화 <죽이고 싶은>
강병진 2010-08-25

뇌졸중 환자인 민호(천호진)는 ‘죽고 싶은’ 남자다. 틈만 나면 자살을 시도하던 그에게 어느 날, ‘죽이고 싶은’ 남자가 나타난다. 같은 병실을 쓰게 된 환자 상업(유해진)이다. 퍽치기를 당해 뇌수술을 받고 살아난 상업은 과거 민호가 사랑했던 여자를 겁탈하려 했고, 결국 그녀를 죽여버린 사람이다. 죽이고 싶은 의지가 죽고 싶은 의지를 넘어서면서 민호는 재활훈련에 힘쓴다. 하지만 여전히 팔 하나를 빼고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민호로서는 제대로 복수할 수 있는 여력이 없다. 병원은 두 남자에게 새로운 신약을 주입하고, 이 때문인지 상업 또한 기억과 몸의 기능을 찾아간다. 결국 상업은 민호의 정체를 기억해낸다. 그런데 상업에게도 민호는 자신이 사랑한 여자를 죽인 그놈이다. 누구의 기억이 진실일까. 그들은 어쩌다 같은 병실을 쓰게 된 걸까.

<죽이고 싶은>의 두 남자는 환자다. 뇌졸중과 뇌수술 후유증을 앓고 있지만, 사실상 <메멘토>의 레너드가 겪었던 질환이 이들의 치료에 충분한 참고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원하는 것만 남기는 기억의 속성은 곧 기억상실을 일으키고, 이는 이들이 서로를 죽이고 싶게 만드는 원인인 동시에 이야기의 반전을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죽이고 싶은>은 기억이란 사고체계의 묘미보다 오히려 ‘죽이고 싶은’ 의지의 충돌을 흥미롭게 전개하는 영화다. 1980년대 초반의 어느 병원을 무대로 설정한 영화는 당시의 병실에서 사용한 물건과 기계들을 복수의 무기로 활용한다. “머리에 탁구공만 맞아도 죽을 수 있는” 상업에게 컵을 던지거나, 그가 자고 있을 때 ‘제리뽀’를 먹여 질식사를 유도하거나, 전기치료를 받고 있을 때 물을 뿌려 감전사로 죽이려 하는 복수의 전개는 상당한 긴장의 리듬과 유머를 동시에 전한다. 천호진과 유해진, 두 배우의 연기가 <톰과 제리> 식의 복수극에 힘을 더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들이 불편한 몸을 격렬하게 부딪치는 막바지 결투 또한 끝까지 밀어붙이는 쾌감을 품고 있다. 문제는 이들의 결투를 끝내버리는 반전이다. 거짓된 기억에 가린 숨겨진 진실, 이들이 같은 병실을 쓰게 된 사연, 그들의 주변 인물들의 정체까지 우격다짐으로 쏟아내는 반전에, 마지막까지 쌓아온 영화의 힘은 단숨에 사라져버렸다. 반전집착증이 좋은 아이디어와 공들인 연출을 무색케 만든 ‘아쉬운’ 사례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