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진중권의 미학 에세이
[진중권의 아이콘] 너 자신을 알라
진중권(문화평론가) 일러스트레이션 정원교 2011-08-26

철학의 신적 근원

아테네에서 두어 시간 버스를 타고 델포이에 도착. 고대의 문명은 대부분 폐허로 변한 지 오래라 관광상품 파는 책자의 문구만 믿고 갔다가는 실망하기 일쑤다. 델포이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다. 허허벌판에 간신히 서 있는 기둥 몇개로 그 옛날의 영화를 가늠하기란 애초에 불가능했다. 깊은 인상을 남긴 것은 외려 풍경이었다. 폐허 뒤로 깎아지른 듯이 솟아오른 파르나르소스 산의 암벽만이 그곳이 결코 예사로운 곳이 아니라고 말해주고 있었다.

델포이의 신탁

신전으로 들어가는 길목에는 달걀을 반으로 잘라놓은 모양의 돌조각이 세워져 있었는데, 돌아와서 찾아보니 옴팔로스(omphalos), 즉 세계의 배꼽이라고 한다. 신화에 따르면 제우스가 세계의 양쪽 끝에서 두 마리의 독수리를 날렸더니, 결국 델포이에서 서로 만났다고 한다. 한마디로 그곳이 세계의 배꼽, 즉 세계의 중심이라는 얘기다. 세계의 한가운데서 고대에는 신들이 인간들에게 지혜를 주었다고 한다. 그 신성한 지혜를 ‘신탁’(oracle)이라 부른다.

하지만 신의 지혜를 받기가 쉽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가이드의 설명에 따르면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곳을 찾은 방문객들은 신전 아래쪽에 있는 곳에서 먼저 일주일 동안 몸과 마음을 정화시켜야 했단다. 정화 의식을 마친 방문객들이 신전으로 올라오면 델포이의 사제들은 염소에게 차가운 물을 떨어뜨렸다. 만약 염소가 차가운 물에 몸을 떨면 신탁을 받을 수 있지만 염소가 반응을 보여주지 않으면 다음 달 같은 날(매월 7일)에 다시 와야 했단다.

당시에도 빈부의 격차가 있어, 신전에 헌금을 많이 바치는 유력자들은 신들로부터 비교적 자세한 얘기를 들을 수 있었지만 돈이 없는 서민들은 오직 ‘예스’나 ‘노’의 대답만 들을 수 있었다. 유력자들이 모든 질문을 할 수 있었다면 서민들은 오직 ‘예스 노 퀘스천’만 할 수 있었던 셈이다. 방문객이 질문을 하면 무녀가 하얀 콩과 검은 콩이 든 주머니에서 콩을 꺼내는데, 이때 주머니에서 하얀 콩이 나오면 ‘예스’, 검은 콩이 나오면 ‘노’를 의미했다고 한다.

하지만 부자들이라고 해서 더 좋은 결과를 얻었던 것은 아니다. 이 맥락에서 가이드는 연방 ‘메타포라’라는 낱말을 반복했다. ‘메타포라’는 뭔가를 다른 것으로 바꾸어놓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탁을 받더라도 인간은 그 말이 무엇을 가리키는지 알아서 해석해야 했다. 무녀가 도취 상태에서 횡설수설하는 말은 물론 알아듣기 너무 어려워, 신의 지혜를 구하러 왔던 사람들은 외려 오기 전보다 더 헷갈려서 돌아가기 일쑤였다고 한다. 운좋게 해독에 성공한 이도 있었다. 기원전 480년에 아테네인들은 “도시를 떠나 목책으로 방어하라”는 신탁을 받는다. 테미스토클레스는 이를 목선으로 해석해 페르시아의 침입으로부터 그리스를 지킨다. 이것이 그 유명한 살라미스 해전이다. 그런데 아고라 박물관에 전시된 수많은 도자기 조각들에는 이 영웅의 이름이 적혀 있다. 도편추방제의 대상이 된 것을 보니 논란이 많았던 인물인가 보다. 찾아보니, 이 투표로 추방되지는 않았다고 한다.

에필루스의 왕 피로스는 테미스토클레스와는 경우가 달랐다. 그는 로마와 싸우기 전에 델포이에서 “그대는 로마에 이길 것이다. 그대는 가서 돌아올 것이며, 싸움에서 죽지 않을 것”이라는 신탁을 받는다. 하지만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 동시에 “로마가 그대를 이길 것이며, 그대는 가서 돌아오지 못하고 싸움에서 죽을 것”을 의미할 수 있다고 한다. 실제로 피로스는 이탈리아에서 후퇴하던 길에 기원전 272년 아르고스에서 싸움 끝에 목숨을 잃는다.

델포이의 신탁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아마 테베의 왕 라이오스가 받은 것이리라. 그는 자신의 아들이 자기를 죽이고 자기 아내와 결혼할 것이라는 신탁을 받고, 이 운명을 피하기 위해 어느 목동에게 자기의 아기를 산에 내다버리라고 명하나, 자신의 아들 오이디푸스에게 살해당하고 만다. 버스 안에서 가이드가 절벽 아래 보이는 세 갈래 길이 라이오스와 오이디푸스가 만난 장소라고 알려준다. 이런 신탁이라면 차라리 모르는 게 나을 뻔했다.

무지의 지혜

델포이의 신탁과 더불어 널리 알려진 또 하나의 이야기는 소크라테스와 관련이 있다. 카이레폰이라는 이는 델포이에서 “그리스 전체에서 가장 현명한 사람이 누구냐?”는 질문에 “소크라테스”라는 답변을 얻었다고 한다. 카이레폰은 그 이유를, “적어도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무지하다는 사실을 안다”는 사실로 설명하려 했다. 플라톤은 자신의 <대화편>의 여러 곳에서 이 일화를 언급하는데, 여기서 우리는 철학과 신탁 사이의 은밀한 관계를 엿볼 수 있다.

“너 자신을 알라” 우리가 소크라테스의 말로 잘못 알고 있는 이 말은 원래 델포이의 신전 입구에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신탁이 아무리 중요할지라도 외적인 문제의 해법은 결국 네 안에서 찾아야 한다는 얘기다. 아울러 신전의 입구에는 “지나치지 않게”라는 격언도 새겨져 있었다. 한마디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그토록 강조했던 ‘중용’이라는 덕목도 근원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결국 델포이의 신탁에 이르게 되는 셈이다.

이 두 가지 격언과 함께 델포이의 3대 지혜를 이루는 것이 “그대는 존재한다”는 격언이다. 원래 이 말은 “너 자신을 알라”는 신의 인사말에 대한 인간의 답변이었다고 한다. 한마디로 올림포스의 신들에 대한 신앙의 고백이라고 할까? 하지만 후세에 이게 신이 인간에게 던지는 말로 와전된 것이다. 지식과 존재, 다시 말하면 사유와 존재의 문제야말로 서양철학의 가장 중요한 주제가 아닌가. 지금은 잊혀졌지만 철학은 이렇게 신적 근원을 갖고 있었다.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신적 근원을 잊어버린 철학의 대표적 형태가 바로 근대철학, 특히 데카르트의 철학이 아닐까? “너 자신을 알라”는 델포이의 격언은 원래의 맥락에서 떨어져나와, 올바른 지식을 위해서는 너 자신의 인식기관(정신)부터 알아야 한다는 근대 반성철학(Reflexionsphilosophie)의 원리가 되었다. 그 철저한 반성의 결과로 도달한 최초의 결론은 “나는 존재한다”는 것이었다. 신과 인간이 신전에서 주고받던 응답이 원형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형된 것이다.

하이데거의 어법을 빌려 근대철학의 ‘존재망각’을 한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이데거는 그리스어 개념들이 훗날 로마인들의 손으로 라틴어로 번역되는 가운데, 그리스어로만 가능했던 존재의 체험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비판한다. 그의 말대로 근대철학은 로마시대로부터 내려오는 이 존재망각의 결정판이리라. “너 자신을 알라.” “그대는 존재합니다.” 이 신성한 문답을 근대철학은 인간이 제 의식으로 제 존재를 증명하는 형식으로 바꿔놓았다.

미셸 푸코의 어법을 빌려 이렇게 말할 수도 있을 거다. 푸코에 따르면 그리스인들에게 “너 자신을 알라”는 명법은 자기 목적이 아니라, “너 자신을 배려하라”는 명법의 하위원칙에 불과했다고 한다. 하지만 근대철학은 자기 인식을 철학의 자기 목적으로 만들어버리는 가운데, 정작 중요한 최상위 원칙, 즉 “자신을 배려하라”는 실존미학의 원리(가령 “너무 지나치지 않게”라는 미학적 존재의 테크네)를 망각해버렸다는 것이다.

진정한 신탁은 땅의 갈라진 틈에서 흘러나오는 가스를 마신 무녀가 황홀경에 빠져 입으로 흘리던 횡설수설(메타포라)과는 별 관계가 없을 것이다. 외려 신전의 벽에 새겨져 있던 세 가지 격언이야말로 신적인 지혜가 아닐까? ‘외부의 모든 문제의 해답은 결국 네 안에 있다. 따라서 먼저 네 자신을 알라. 그리고 매사에 지나치지 않게 행동하라. 그리고 늘 신이 존재함을 명심하고, 늘 경건하게 살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