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진중권의 미학 에세이
[진중권의 미학 에세이] 우리가 잃어버린 것
진중권(문화평론가) 일러스트레이션 정원교 2013-01-11

<레미제라블>과 혁명과 사랑

“민중의 노랫소리가 들리는가? 성난 사람들의 노래가. 그것은 또다시 노예가 되지 않으려는 사람들의 음악이다. 너의 심장소리가 북소리가 되어 울릴 때, 내일이 오면 시작되려는 삶이 있다. 너는 우리의 십자군에 동참하려는가. 누가 강한 의지로 내 옆에 서겠는가? 저 바리케이드 너머 어딘가에 우리가 보고 싶은 세상이 있을까? 그럼 이 싸움에 동참하라. 이 싸움이 네게 자유로울 권리를 주리라.”

대선 결과에 낙담한 자들에게 유일한 위안이 되어준 것은 영화 <레미제라블>이었다. 두 시간 반이 훌쩍 넘는 부담스러운 러닝타임, 어딘지 어설퍼 보이는 컴퓨터그래픽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이 흥행 돌풍을 일으킨 것은 영화 속 상황이 묘하게 우리의 것과 중첩되기 때문이리라. 젊은이들의 순수한 혁명의 열정에 파리 시민들은 냉담하게 등을 돌렸다. 그 참상에도 불구하고 왜 파리의 민중은 봉기하지 않았을까?

민주주의의 자살

“제 나라 임금의 목을 쳤다”는 민중의 자부심은 또한 우리 것이기도 하다.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독재정권을 전복하고, 1979년 부마항쟁으로 박정희 독재정권의 몰락을 이끌어내고, 1987년 6.10 항쟁으로 군사독재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 한국의 민중. 과거 식민통치를 경험했던 나라들 중에서 자력으로 시민혁명을 성공시킨 최초의 나라가 바로 한국이 아닌가. 그때 그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프랑스혁명도 순탄하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자유, 평등, 형제애의 이념이 국가의 정체성을 이룰 때까지 프랑스사회 역시 수없는 반동과 복고의 시절을 거쳐야 했다. 바리케이드의 사람들의 언동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반왕정주의(antimonarchism), 반교권주의(anti-clericalism) 사상은 프랑스인 모두가 공유하는 정서가 아니었다. 그것이 사회적 상식이 될 때까지 거기서도 지난한 싸움이 있었을 것이다.

자유, 평등, 형제애의 이념은 나폴레옹의 제정, 왕정 복고, 여러 차례의 공화정을 어지럽게 오가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완성되어온 것이다. 확립된 공화정도 파리 코뮌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시민계급 중에서 오직 가진 자만을 위한 정권이었다. 게다가 민주주의에 대한 그 모든 얘기도 식민 종주국인 프랑스 내에 국한됐을 뿐, 자기들이 식민지로 거느린 나라에까지 자유, 평등, 형제애를 나눠준 것은 아니었다.

“독재자의 딸이 인권변호사를 이기다.” 이것이 다른 나라에서 한국의 대선 소식이 보도되는 방식이다. 지금 외국에 체류하는 이들은 ‘어떻게 그런 일이 있을 수 있냐?’는 주위의 질문에 대답하기 바쁠 것이다. 우리의 사정을 알지 못하는 그들의 눈에 한국에서 벌어진 일은 ‘민주주의의 자살’로 보일 것이다. 박정희는 이번에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돌아왔다. 이는 민주주의가 그저 제도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박정희 탄신제에 참가하여 영정에 절을 하거나 관광버스를 타고 옥천의 육영수 생가를 방문하는 이들은 실은 이 사회의 지도층이 아니다. 박근혜 후원 모임에 나가 “꽃 중의 꽃 근혜님 꽃”을 부르던 어느 음치 교수가 한국의 지성계를 대표하는 것도 아니다. 이들보다는 훨씬 더 세련되었음에 틀림없는 한국의 지배층이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이 정치의식의 후진적 층위와 동맹을 맺었다고 보는 게 더 정확할 거다.

제도의 차원에서 민주주의는 제법 자리를 잡았지만, 그 민주주의가 사회적 의식의 차원에까지 깊이 뿌리를 내린 것은 아니다. 민주주의가 실질적으로 관철되려면, 진보와 보수의 차이를 넘어 독재에 대한 향수만은 그 어떤 이유에서도 정치적으로 다시 소환해서는 안된다는 에토스가 사회적으로 공유되어야 한다. 다른 나라에서 한국의 대선 결과를 의아하게 바라보는 것은 이 에토스의 부재에 대한 놀라움이리라.

민주주의적 에토스

처음부터 기대가 너무 컸던 것일까? 1987년 6월 항쟁 직후에 치러진 선거에서도 노태우 후보는 무려 36.6%의 득표를 했다. 김대중 후보는 김종필 세력과 손을 잡고 이인제 후보가 여당표를 갈라주는 바람에 간신히 당선됐다. 노무현 후보는 자신의 정체성과는 상반되는 정몽준 후보와의 단일화를 통해 겨우 당선될 수 있었다. 냉정하게 보면 이것이 대한민국의 진보, 개혁세력의 현주소인지도 모른다.

그래도 한 가지 위안이 있다면, 이번에는 보수 세력에 손을 벌리지 않았고, 또 단일화가 그렇게 매끄럽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절반에 근접한 지지를 얻었다는 것이다. 총선에 이어 대선, 이길 수도 있었던 선거를 두번이나 놓쳤다는 허탈감이 커서 그렇지 성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보수의 견고한 벽을 실감했지만, 그 속에서도 동시에 진보와 개혁 세력 역시 보수에 단독으로 맞설 만큼 성장한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위안 못지않게 필요한 것이 이른바 진보 혹은 개혁 세력의 자기반성이다. 우리 자신은 과연 민주적 ‘에토스’를 우리 몸 안에 얼마나 체현했을까? 선동에 선동으로 맞서고, 음모에 음모로 맞서고, 배제에 배제로 맞서는 게 과연 민주적 에토스일까? 적어도 사람들이 독재자의 딸에게 표를 던지는 것은 민주적 에토스 자체를 불신하기 때문일 거다. 그리고 에토스에 대한 불신은 실은 그것을 주창하는 이들에 대한 불신일지 모른다.

바리케이드 너머

진보와 개혁을 말하자고 하는 자라면 낡은 질서를 고집하는 이들보다 지성과 미감과 도덕성 측면에서 우월해야 한다. 하지만 감히 민주주의자를 자처하는 우리는 지성, 감성, 도덕성 면에서 사회적 평균보다 딱히 나을 것도 없으면서 그저 보수주의자들에 대해 근거없는 ‘우월감’만 갖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되물어야 한다. 바로 그 얄팍한 위선에 대한 반감이 민주적 에토스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 것인지도 모른다.

우리가 다시 세워야 할 것은 우리 바깥의 바리케이드가 아니라 우리 내면의 에토스인지도 모른다. 그 추위에 지팡이를 짚고 투표장에 나서는 노인들은 경멸이 아니라 존경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비록 그들이 나라를 사랑하는 방식은 우리와 다르지만, 나라를 사랑하는 그 열정만큼은 우리의 것보다 더 뜨거울 것이다. 그들 역시 우리처럼 ‘비천한 자들’(les miserables)이다. 왜 우리는 그들을 우리의 협력자로 생각하지 않았을까?

영화의 마지막에 그 혁명가(<민중의 노래가 들리는가?>)가 반복된다. 하지만 이번에는 가사가 살짝 바뀌어, 바리케이드 위의 사람들은 이제 ‘혁명’ 대신에 ‘사랑’을 노래한다. 배배 꼬인 눈에는 이것이 정치적 문제를 슬쩍 도덕적 문제로 환원시키는 가증스러운(?) 부르주아 이데올로기로 보일지 모르겠다. 하지만 혁명은 사랑으로 완성되어야 한다는 메시지에는 분명히 어떤 깊은 울림이 있다. 혹시 우리가 잃어버린 것이 바로 그것이 아닐까?

바리케이드 저 너머에도 연대해야 할 민중이 있다. 그저 바리케이드 저쪽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우리가 그들을 너무나 쉽게 적으로 돌려놓은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선거의 패배를 통해서 우리가 뼈저리게 배워야 할 것은, 우리가 바리케이드를 세우면서 기대했던 자유, 평등, 형제애의 세상은 바리케이드의 이쪽과 저쪽의 민중이 서로 연대할 때에만 비로소 가능하다는 사실이리라. 혁명은 사랑으로 완성되어야 한다. 혁명 없는 사랑은 공허하고, 사랑 없는 혁명은 맹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