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진중권의 미학 에세이
[진중권의 미학 에세이] 시각성의 광기
진중권(문화평론가) 일러스트레이션 정원교 2013-02-15

근대의 세 가지 시각 체제

마틴 제이의 <모더니티의 시각 체제들>이라는 에세이를 읽었다. 그가 시각에 ‘체제’(regime)라는 말을 붙이는 것은 우리 시각(vision)이 그저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언제나 역사적/사회적 담론의 산물인 ‘시각성’(visuality)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리라. ‘시각성’은 특정한 시기에 주체와 권력이 형성되는 과정과 하나가 되어, 그 자체가 하나의 ‘체제’를 이루게 된다.

가령 르네상스의 원근법을 예로 들어보자. 거기에서 중세 예술의 토대를 이루던 초월적인 ‘신의 빛’(lux)은 이제 인간의 눈에 지각되는 빛(lumen)으로 대체된다. 중세의 자연이 보이는 것의 바탕에 깔린 신성한 의미를 해독해내야 하는 거대한 텍스트였다면, 원근법에서는 근대적 자연이, 말하자면 수학적/기하학적 공간으로서 자연이 등장한다.

아울러 원근법은 회화의 기법일 뿐 아니라, 동시에 ‘근대적 주체’의 형성에 관한 데카르트의 철학의 상징이자, ‘근대적 권력’의 작동방식, 즉 푸코가 말한 ‘판옵티콘’의 원리이기도 하다. 이는 18~19세기 서구의 제국주의자들이 검은 대륙을 바라보던 식민주의의 시선이기도 하며, 최근에는 폴 비릴리오가 말한 ‘응시=파괴’라는 현대 군사학의 시선이기도 하다.

우리가 근대적 ‘시각 체제’에 대해서 말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하지만 마틴 제이의 에세이에는 이것이 복수(‘시각 체제들’)로 표기되어 있다. 그것은 이른바 ‘모더니티의 시각 체제’가 원근법에 기초한 데카르트적 판옵티콘이라는 단일한 체제가 아니었다는 뜻이다. 마틴 제이에 따르면 근대의 시각 체제는 다소 이질적인 세 가지 체제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한다. 원근법과 합리주의 원근법은 크게 세 가지 전제조건 위에 서 있다. 즉, ‘움직이지 않는’ ‘하나의 눈’(monocular)에 비친 장면을 ‘평면’에 투사하는 것이다. 이는 물론 우리의 일상적 지각과는 상당히 다르다. 일상적 지각에서는 움직이는 두개의 눈(binocular)으로 본 영상이 구면(안구)에 투사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원근법적 시각은 ‘탈(脫)육체화’한 시각이라고 할 수 있다.

탈육체화한 원근법적 시각은 ‘신’의 눈과 같은 것이다. 알베르티는 ‘날개 달린 외눈’을 가문의 문장으로 삼았다. 그 외눈은 물론 세계의 모든 것을 내려다보는 신의 보편적 시각을 상징한다. 하지만 그 외눈은 동시에 원근법을 이론화한 화가로서 자부심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모든 것을 영원의 상(相) 아래서 내려다보는 신의 눈을 이제 인간이 갖게 된 것이다.

탈육체화한 눈은 동시에 데카르트의 눈이기도 하다. 그것은 육체적 감각에 미혹되지 않는 순수한 이성의 눈, 정신의 눈으로, 그 속에서 세계는 이른바 ‘연장실체’(res extensa)로서 철저히 수학적/기하학적 질서 속에 나타난다. 한마디로, 원근법으로 상징되는 데카르트의 시선은 여러 경험적 개인의 시선이 아니라 하나의 선험적 주체의 보편적 시선이라 할 수 있다.

정물화와 경험주의

하지만 네덜란드의 회화에는 이와는 또 다른 시각성이 나타난다. 가령 네덜란드의 회화는 삼차원 공간의 수학적/기하학적 재현보다는 트롱프뢰유에 가까운 정교한 묘사로 개별 사물의 표현에 집착한다. 사변보다 관찰에 기초한 이 자연주의 취향은 프랜시스 베이컨의 ‘경험주의’와 관련이 있다. 네덜란드의 맥락에서 이 ‘비(非)수학적 충동’은 호이겐스의 사상으로 표현된다.

네덜란드의 경험주의적 시각성은 “해석 가능한 공간 내에서 대상들의 배치보다는 오히려 대상들의 표면, 즉 색채들과 질감들”(S. 앨퍼스)에 관심을 기울인다. 르네상스의 원근법은 시각을 탈신체화했으나, 북구의 회화에서는 시각의 신체성이 복귀한다. 가령 네덜란드 정물화의 생선에서는 촉촉한 ‘질감’(촉각)이 느껴지고 비릿한 ‘냄새’(후각)까지 나는 듯하다.

하지만 북구 회화의 자연주의가 물론 원근법적 시각성을 전복시키는 데에까지 이른 것은 아니다. 서구의 과학이 수학적 형식화라는 합리주의적 절차와 관찰과 실험이라는 경험주의적 절차의 결합을 통해 발전해온 것처럼, 르네상스 원근법의 합리주의적 시각성과 북구 회화의 경험주의적 시각성은 차라리 근대적 시각성 내에서 상보적인 역할을 해왔다고 보는 게 옳을 것이다.

명제의 일반적 형식은 S(주어)+P(술어)로 이루어진다. 르네상스 원근법이 실체(S)에 집착한다면, 북구의 자연주의는 술어(P)에 집착한다. 철학에서 ‘실체’는 불변적인(constant) 것으로, 속성은 우연적인(accidental) 것으로 여겨진다. 근대의 시각성은 이렇게 사유의 보편성에 집착하는 합리주의와 개별적 경험의 우연성을 존중하는 경험주의의 두축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보다 더 이질적인 시각성은 아마도 바로크 회화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원근법이 모든 것을 투명하게 하려는 인식의 의지를 드러낸다면, 바로크 회화에는 “실재의 불투명성이나 불명료성, 그리고 해독 불가능성의 매혹”이 나타난다. 또 원근법이 수학적/기하학적 시각으로 상승하는 가운데 탈성애화한다면, 바로크 회화에는 성애적인 측면이 노골적으로 나타난다.

마틴 제이는 바로크 회화의 “촉각적 혹은 촉감적인 성질”을 지적한다. 사실 이 어법은 뵐플린의 것과는 배치되나, 그가 지적하는 것은 뵐플린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바로크 회화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우리 ‘눈에 비치는 대로’ 보여준다. 따라서 시각이 본질적으로 주관적이라는 사실을, 다시 말해 지각이 신체적으로 결정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원근법적 회화가 평면거울이라면, 바로크 회화는 왜상(anamorphosis)의 곡면거울이다. 왜상은 ‘시각적 이미지가 그것을 반영하는 매체의 물질성에 의존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물론 ‘이 바로크 회화에 상응하는 하나의 철학 체계를 찾아볼 수는 없다’. 하지만 ‘철학적 관점에서는 단자(monad)의 시점들이라는 라이프니츠의 다원주의’가 바로크적 시각과 연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

시각의 광기

여기에 의거하여 마틴 제이는 이렇게 선언한다. “우리 시대에 마침내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된 시각 체제를 하나 골라야 한다면, 그것은 아마 뷔시-글룩스만이 바로크와 동일시한 ‘시각의 광기’일 것이다.” 하지만 마틴 제이의 제안은 적어도 나를 설득하지는 못했다. 바로크의 시각성이 과연 데카르트의 시각성과 그토록 대립되는 것인지 적이 의심스럽기 때문이다.

바로크 회화가 원근법적 공간 자체를 철폐한 것은 아니다. 윤곽들이 어둠에 묻혀 사라져도 원근법은 그 안에 늘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틴 제이가 바로크 회화에 상응하는 철학 체계를 발견하지 못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가 바로크의 철학적 표현으로 거론한 라이프니츠의 철학도 실은 합리주의 철학이다. 거기서 단자들의 다양성은 여전히 예정조화의 질서에 묶인다.

북구 회화나 바로크 회화의 시각성이 데카르트의 시각성과는 다소 이질적인 시각성이라는 지적은 옳다. 하지만 ‘체제들’이라는 복수를 사용할 정도로 그것들이 자립적이었는지는 의심스럽다. 그것들은 차라리 데카르트적 시각성을 전제하고, 그 안에 머물면서 그것의 일면성을 보완하는 기능을 해왔다고 보는 게 옳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