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캠퍼스 씨네21 > 캠퍼스 씨네21 > 컬쳐
[겨울방학특집] <정글만리> 조정래 작가

중국은 왜 강한가

<정글만리>는 비록 세권짜리이긴 해도 국내소설로는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2008) 이후 5년 만에 판매 100만부를 넘어서는 밀리언셀러로 등극했다.

2013년 여름, <태백산맥>의 작가 조정래는 14억 인구의 거대 시장 중국을 무대로 각국 상사원들의 시장 쟁탈전, 경제 발전의 저변을 이루고 있는 중국의 역사와 문화, 한·중·일 세 나라의 과거사와 지금의 관계 등을 다룬 세권짜리 장편 <정글만리>를 내놓았다. 인터넷 포털 네이버에 2013년 초부터 6개월 동안 연재했던 소설이다.

“머지않아 중국이 세계 유일 초강대국이 되리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우리에게는 더구나 멀리 있는 미국이나 유럽보다 가까이 있는 중국이 21세기 삶의 조건을 이룰 것이 분명합니다. 이 새로운 상황에 어떻게 슬기롭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우리 후손들의 삶이 결정될 것입니다. 그런 문제의식을 작품에 담고자 했습니다.”

2013년 7월 출간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조정래 작가는 “<태백산맥>을 쓰면서 억눌리고 감추어진 진실을 드러내고자 했던 것과 똑같은 마음으로 이 시대에 작가로서 써야 할 것을 쓰려 했다”고 말했다.

정글 논리가 지배하는 비즈니스 현장 <정글만리>에는 한국과 프랑스, 일본의 상사원들과 중국 기업인 및 관료, 한국 유학생과 의사 등이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이 가운데서 가장 비중이 큰 두 인물이 40대 중반의 한국 상사원 전대광과 그의 조카이자 베이징대 유학생인 송재형이다. 전대광이 그의 동료인 김현곤과 함께 14억 시장을 놓고 치열한 쟁탈전이 펼쳐지는 현재의 중국을 보여준다면, 송재형은 한국과 중국 관계의 미래를 위한 포석으로 구실한다.

소설은 전대광이 상하이 국제공항에서 한국에서 온 성형외과 의사 서하원을 맞이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유능한 의사였으나 뜻하지 않은 의료사고로 타격을 입은 서하원은 전대광의 든든한 ‘관시’(關係)로서 그의 뒤를 봐주는 세관 고위관료 샹신원의 의뢰로 중국 성형시장에서 재기를 노린다. 전대광과 김현곤은 샹신원의 후원 아래 크고 작은 비즈니스에서 성공을 거두지만 허를 찔리는 배신을 겪기도 한다.

소설 <정글만리>는 피상적으로 알고 있기 십상인 중국의 실상을 상세하게 담고 있다.“짝퉁, 더럽다, 게으르다, 이 세 가지 선입견으로 중국에 대해 다 아는 척 하는 이들도 있지만 그건 정말 심각한 오해입니다. 저도 소설을 위한 취재를 하면서 더 확실히 알게 됐지만 중국은 정말 대단한 나라예요. 1인당 GDP(국내총생산)가 우리의 4분의 1 수준인 5천달러 정도라고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평균 수치이고, 2만달러 선을 넘는 인구만 2억입니다.”

조정래 작가는 그런 중국이 한국에는 엄청난 기회의 땅이라고 강조했다. “우리의 대외무역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머잖아 30%를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이 국민소득 5만달러 시대로 가기 위한 지름길이 바로 중국입니다. 70년대 중동의 오일머니보다 더 큰 기회가 우리 앞에 펼쳐져 있어요. 두 나라는 애증이 엇갈리는 역사를 거쳐왔지만, 다행히도 한중 수교 20년은 비교적 성공적이었습니다. 중국의 일반 대중과 지식인들이 한국을 보는 시선이 호의적이라는 점도 고무적입니다.”

풍부하고 맛깔난 서술 소설은 상하이와 베이징은 물론 시안과 난징, 칭다오, 광저우, 홍콩 등을 오가며 한국 상사원들과 함께 중국 기업인 리완싱과 일본 상사원들, 미모의 중국계 미국 기업인 왕링링 등을 등장시켜 적자생존과 약육강식의 정글 논리가 지배하는 비즈니스 현장을 실감나게 그린다. 검은 돈을 탐하는 관리들, 헐값에 노동력을 착취당하는 농민공, ‘얼나이’로 불리는 첩과 최대 1억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매매춘 종사자등 중국 경제 발전의 그늘 역시 가감 없이 묘사된다. 그런가 하면 한국 유학생 송재형과 중국 여학생 리옌링이 연애 관계로 맺어지는 이야기는 한국과 중국 두 나라의 장래에 대한 작가의 상징적 장치로 읽힌다.

“소설 <아리랑>을 위해 취재차 1990년 중국에 갔을 때 한 가지 확인한 것이 있습니다. 소련은 몰락했는데 중국은 어떻게 해서 건재하게 되었는가 하는 의문에 대한 답이었습니다. 그때의 발견과 함께 중국을 무대로 한 소설을 써야겠다고 마음먹었죠. 그러니까 이 소설은 20여 년을 준비한 작품인 셈입니다.”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시장으로 바뀌어 가는 중국 경제의 근본적인 변화, 14억 인구가 보장하는 무궁무진한 잠재력, 그런 경제적 성취를 저변에서 받치고 있는 역사·문화적 배경을 강조하느라 작가는 자주 설명과 교육적 서술을 동원한다. 전대광이 상하이에 처음 도착한 서하원에게 중국 사회에 관해 이런저런 설명을 하는 대목, 소설 말미에서 역시 전대광이 후배 상사원 강정규를 데리고 다니며 교육시키는 장면이 대표적이지만, 그밖에도 작가의 설명과 교육은 소설 전편에 걸쳐 줄기차게 이어진다.

매서운 비판, 샘솟는 열정 <정글만리>에는 난징학살이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 ‘항복’이라는 단어가 한번도 나오지 않는 일본 국왕의 항복문서 전문을 인용함으로써 현재 일본 정치인들의 일그러진 역사 인식의 연원을 파헤치는가 하면, 일본 상사원들끼리 나누는 대화를 통해 그들의 적반하장격 반중·반한 감정을 드러내는 장면에서는 <아리랑>의 작가다운 매서운 일본 비판을 만날 수 있다. 일본 상사원들의 이름조차도 침략을 주도했거나 역사 왜곡을 일삼는 그 나라 정치인들의 이름을 따서 붙이는 등 일본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태도가 다각도로 투영되어있다.

“소설 한편을 끝내면 다시는 소설을 쓰지 않겠다는 다짐을 하기도 하지만, 조금 지나고 나면 다시 새로운 소설에 대한 의욕이 샘솟는다”는 작가는 “앞으로 10년 동안 세권짜리 장편 둘, 한권짜리 장편 둘, 단편집 하나 그리고 산문집 하나를 낼 생각”이라고 의욕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