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스페셜] ‘찍을 수 있다’고 말로 설득하기보다 내가 직접 시범을 보이기도 했다 - <악녀> 정병길 감독 인터뷰

“또라이다, 또라이. (웃음)” 정병길 감독의 서울액션스쿨 8기 동료이자 <악녀>의 스턴트를 진두지휘한 권귀덕 무술감독의 말이다. 여기에는 “농담 반, 진담 반”의 의미가 숨어 있단다. “정병길 감독의 시나리오를 받아 본 사람들은 열이면 열 모두 이런 반응을 보인다. ‘이게 지금 말이 돼? 이게 가능해?’ 그를 오랫동안 알고 지냈으니 나는 이해한다. 정 감독은 정말로 그걸 해낼거라는 걸. 서울액션스쿨 시절부터 그랬다.” <악녀>의 제작기 취재차 인터뷰에 응한 스탭들의 반응도 이와 다르지 않았다. 정병길 감독에 대해 물었을 때 가장 자주 들려오는 단어는 ‘참신함’과 ‘뚝심’이었다. 전작 <우린 액션배우다>(2008)와 <내가 살인범이다>(2012)를 경유하더라도, 이 두개의 단어는 정병길 감독을 설명하기에 여전히 가장 적합하다. 하고 싶은 것을 누구와도 다르게, 끝까지 밀어붙여보자는 정병길 감독의 의지는, 그의 세 번째 작품 <악녀>가 올해 칸국제영화제 미드나이트 스크리닝 부문에 초청되며 국제적으로도 주목받았다. 그와의 만남을 전한다.

-칸에 잘 다녀왔나.

=잘 다녀왔다. <악녀>를 준비할 때 힘들어서 끊었던 담배를 다시 피웠다. 그리고 다시 끊었는데, 칸의 바닷가에서 나에게 상을 주는 의미로 다시 한번 피웠다. (웃음) 칸에 가서 가장 기뻤던 순간은, 길거리에서 어떤 할아버지가 미드나이트 스크리닝 상영 티켓에 사인해달라고 했을 때다. 우리나라에선 액션영화 감독을 알아보고 사인해달라는 할아버지를 만나기가 쉽지 않으니. (웃음)

-여성 캐릭터가 원톱인 액션영화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악녀>의 시작이었다고.

=그런 생각은 어릴 때부터 했던 것 같다. 사실 여성 액션영화뿐만 아니라 여자 원톱 드라마도 한국에는 많지 않은 것 같다. 여성 캐릭터가 서브로만 소비되는 상황에 대한 갈증도 있었고.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시도조차 안 하니 더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라. 이게 달나라 가는 것만큼 어려운 일도 아닌데, 한번 해보자는 마음으로 시작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여성 액션영화를 꼽는다면.

=<에이리언2>(1986)의 시고니 위버와 <터미네이터2>(1991)의 린다 해밀턴. 너무 강하고 멋진 연기를 보여주지 않았나. 초등학생 시절부터 <니키타>(1990) 같은 뤽 베송 영화도 좋아했다. 그렇게 감정에 치우친 액션이 나오는 영화를 좋아한다. <악녀>의 숙희가 태생적으로 니키타와 비슷한 과거를 가지고 있는 것 같은데, <니키타>를 처음 봤을 때 어린 마음에도 ‘사람 마음을 이렇게 갖고 노나?’ 하는 느낌을 받았던 기억이 있다.

-<악녀>를 구상하며 가장 먼저 머릿속에 떠올렸던 이미지는.

=브라이언 드 팔마의 <캐리>(1976)에서 피를 뒤집어쓴 캐리의 모습. 가해자인데 피해자 같은 느낌이 든다는 게 참 묘했다. 겉은 무서워 보이지만 속으로는 상처받은 어린아이 같은 느낌? <악녀>의 숙희가 그런 인물이길 바랐다. 다른 사람의 피를 얼굴에 묻힌 숙희지만, 동시에 그녀가 자신의 피를 뒤집어쓴 것 같은 느낌을 주고 싶었다.

-김옥빈의 어떤 면모가 숙희에 적합하다고 생각했나.

=방금 말한 것 같은 이중적인 면모가 김옥빈 배우에게는 있다. 도시적이면서 어딘가 순박한 느낌도 있고, 어떨 땐 선해 보이다가 어떨 땐 세 보이고. 시나리오를 완성하고 나서 자연스럽게 ‘숙희는 김옥빈이네?’라는 생각이 들더라. 중상 역에 신하균 선배님을 캐스팅한 이유도 마찬가지다. 웃을 때는 선해 보이는데 어떨 때는 섬뜩한 느낌이 있다. 사실 두 배우가 같은 영화에 나왔다는 사실을 전혀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가 나중에 알게 됐는데, 선과 악을 자연스럽게 넘나드는 배우라는 점에서 비슷한 느낌이 있다. 내가 그런 성향의 배우들을 좋아하나보다.

-전작 <내가 살인범이다>에서도 원신 원컷 액션을 선보였는데, 이번 영화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차용했다.

=관객과 함께 한 호흡으로 갈 수 있는 영화를 만들어보고 싶었다. 롱테이크로 가면 지루하지 않겠냐는 우려의 말을 많이 들었는데, 카메라가 빠르게 움직이면 그런 지루함을 상쇄할 수 있다고 봤다. 사실 <내가 살인범이다>를 찍을 때에는 정말 현장에서 맨땅에 헤딩하면서 원신 원테이크로 촬영했다면 이번에는 철저한 계산을 통해 촬영했다. 주먹구구식 촬영이 아니라 프리비주얼을 만들며 정확하게 동선을 짜고 카메라 위치를 설정했다.

-그렇게 프리비주얼 작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탭들 사이에서는 ‘정말 이런 장면이 가능해?’라는 반응이 많았다고.

=이걸 말로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잘 모르겠지만, 이렇게 하면 될 것이라는 뚜렷한 확신이 내 머릿속에 있었다. 나는 안 된다고 미리 포기하기보다 일단 할 수 있는 데까지 해보는 편이다. 하다가 막히면 다르게 찍는 방법을 고민하면 된다. 그래서 스탭들에게도 ‘이거 찍을 수 있다’고 말로 설득하기보다는 내가 직접 시범을 보이기도 했다.

-1인칭 시점의 액션으로 포문을 여는 오프닝 시퀀스부터 강도 높은 액션을 선보인다. 마치 이런 걸 보여줄 거라고 선전포고하는 느낌이랄까.

=예전에 VR 단편 연출을 제안받은 적이 있었다. 결국 못하게 됐지만 그 작품을 준비하며 했던 VR 공부가 이 장면을 만드는 데 도움이 많이 됐다. 개인적으로는 1인칭에서 3인칭으로 시점을 바꾸는 타이밍, 컷을 나누지 않고 한 호흡에 촬영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깊었다.

-총과 칼, 도끼 등 다양한 무기가 등장한다. 어떤 무기를 쓰는지에 따라 등장인물의 감정도 달라지는 것 같다.

=<악녀>에 등장하는 다양한 무기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건 ‘칼’이다. 그런 얘기가 있잖나. 총은 멀리서 쏘니 죄책감이 덜하다고. 그런데 칼은 무기의 특성상 직접 상대방을 찔러야 하고, 손에 피를 묻혀야 한다. 총보다 훨씬 감정적인 무기라고 생각해서 칼을 선호하게 됐고, 도끼를 통해서는 숙희가 변해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보통 도끼 하면 투박한 남자가 쓸 것 같은 느낌이잖나.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무기이기도 하고. 그런 무기를 숙희가 쓴다면 정말 강하고 절박해 보일 것 같았다.

-액션과 더불어 이 영화의 다른 한축은 숙희와 중상, 현수(성준)간의 멜로다.

=그런 생각이 들었다. 여자가 남자와 제대로 맞붙었을 때 이길 수 있는 힘의 원동력은 무엇일까? 그건 마음가짐이라 생각했다. 사랑하는 상대에게 깊은 배신감을 느낀 누군가가 초인적인 힘을 발휘한다는 설정이라면, 여자가 남자를 이길 수 있다는 게 설득력이 있어 보일 것이라고 생각한 거다. 결국 우리 영화의 멜로는 액션을 기능하게 하는 원동력이다.

-친형(만화가 정병식)이 제작과 각본에 참여했다.

=늘 같이 영화 작업을 하는 사이라 새로울 건 없지만, 형이 입봉을 준비하니 제작사(앞에있다)에 공동대표로 이름을 올리는 게 더 좋을 것 같아서 함께하게 됐다. 우리는 기본적으로 제작보다는 영화 연출을 하려는 사람들이지만, 제작이 필요한 작품도 있는 법이라. <내가 살인범이다>는 두달반 동안 혼자 썼는데, <악녀>는 형과 함께 써서 그런지 2주 만에 썼다. 형과 나는 성격이 굉장히 다르다. 형은 차분하고 선비 스타일이라면, 나는 망나니에 짐꾼 스타일이다. (웃음) 그런데도 영화에 대한 시각은 비슷해서, 큰 이견 없이 시나리오를 집필할 수 있었다. 지금 같이 써놓은 시나리오가 세편 정도 된다. 앞으로도 계속 같이 할 생각이다.

-차기작은. 혹시 <악녀>의 속편 제작 계획도 있나.

=아마 당분간은 다른 차기작을 물색하겠지만 속편을 만들어보고 싶은 생각은 있다. 중상과 권숙(김서형)의 숨겨진 과거. 혹은 보다 스파이 액션영화에 가까운 숙희의 이야기를 해보면 어떨까.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