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INTERVIEW
서울환경영화제 이명세 집행위원장, “좋은 사람이 좋은 환경을 만든다”
이주현 사진 최성열 2021-06-03

어느덧 4년째 서울환경영화제 집행위원장으로 일하고 있는 이명세 감독은 최근 자전거 타기를 통한 생활체육을 습관화하고 있다며 자전거를 타는 것이 우리의 몸과 지구에 얼마나 이로운지 한참 이야기했다. 그는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애용자다. 이날도 그의 자리엔 자전거 헬멧이 놓여 있었다. 이명세 집행위원장은 서울환경영화제에 합류한 첫해부터 자신의 중요한 역할은 영화제를 널리 알리는 홍보라 했는데, 탄소 절감과 제로 웨이스트를 위해 노력하는 그의 일상 속 실천이야말로 진정성을 담보한 훌륭한 홍보라는 생각이 든다.

좋은 사람, 좋은 영화가 우리의 환경을 더욱 아름답게 만든다고 믿는 그는 서울환경영화제의 방점이 ‘환경’과 ‘영화’ 모두에 찍히기를 희망하기도 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전례 없는 상황을 마주한 시대, 환경에 관한 혁신적인 사고 전환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담아 ‘에코볼루션’을 슬로건으로 내건 18회 서울환경영화제는 6월 3일부터 9일까지 열린다.

-2018년부터 서울환경영화제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간의 성과를 정리해본다면.

=어느덧 4년째인데, 환경영화제가 참 중요한 영화제라 생각했고 이 좋은 영화제를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야겠다는 생각을 우선적으로 했다. 집행위원장을 맡으면서 제일 신경 쓴 부분이 홍보였고, 조금씩 사람들의 호응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 아니었나 싶다. 지난해의 경우, 물론 온라인 상영의 영향이 있겠지만 관객수가 예년에 비해 많이 늘었다. 환경문제를 주도하는 영화제, 축제로서의 영화제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 한두해 정도 더 서울환경영화제에 힘을 보태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영화제 집행위원장으로 지내보니 어떤 점이 재밌고 어떤 점이 힘든가.

=영화제에 작품을 들고 참여하거나 심사위원으로 참여할 때와는 달리 책임감이 크다. 책임을 져야 하는 호스트의 자리다 보니, 책임의 무게가 다른 것 같다. 영화를 만들 때도 내가 만든 영화를 사람들이 많이 봐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내가 맡은 서울환경영화제도 사람들이 관심을 많이 가져줬으면 하는 바람이 크다.

-서울환경영화제 집행위원장이 되고 나서 친환경적으로 바뀐 생활습관이 있나.

=요즘 자전거를 많이 이용한다. 출퇴근할 때나 이동할 때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자주 탄다. 탄소 절감에도 도움이 되고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예전에는 바쁘고 힘들면 택시를 탔는데 요즘은 웬만하면 자전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려고 한다. 그래서 늘 자전거 헬멧을 가지고 다닌다. 사람들에게도 많이 추천한다. 자전거 타면 참 좋다고. 영화를 하면서 몸이 많이 망가졌다. 영화가 체력을 요하는 작업이라 운동을 해야겠다는 생각은 늘 했는데 따로 시간을 내서 운동하는 게 쉽지가 않더라. 그래서 걷거나 자전거 타는 걸 습관화하는 생활체육을 하기로 했다. 서울 사대문 안쪽에 자전거 길을 잘 만들어 사람들이 자전거를 더 많이 탈 수 있도록 하면 어떻겠냐는 얘기도 서울시에 한 적이 있다. 고 김수근 건축가도 1970년대에 이미 서울 도심의 인도를 넓혀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현재 파리를 비롯한 세계의 주요 도시들이 차도를 줄이고 보도와 자전거도로를 늘리는 추세다. 서울 역시 인도와 자전거도로를 늘리는 방향으로 가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서울환경영화제의 역할도 더 확대될 수 있다고 보는데.

=서울환경영화제에선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시네마그린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에 신청하는 젊은 친구들이 상당히 많아서 깜짝 놀랄 때가 있다. 고무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또 영화제에서 영화 한편 보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서울환경영화제가 환경문제를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장이 되면 좋겠다. 그 일환으로 영화제 기간에 다양한 토크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언제든 환경에 관심 있는 이들이 모여서 의견을 나누고 관련 영화 이야기도 나눌 수 있는 실질적인 장이 되면 좋겠고, 이를테면 환경카페 같은 상설 공간이 있어도 좋을 것 같다. 여기서 말하는 환경이란 자연, 자연보호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2018년에 영화제의 영문 명칭을 GFFIS(Green Film Festival in Seoul)에서 SEFF(Seoul Eco Film Festival)로 바꾼 것도 자연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의 환경, 일상의 환경까지 삶과 밀접한 환경의 이야기를 전방위로 얘기할 수 있는 영화제여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환경영화제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고 본다.

-올해의 에코프렌즈로 팟캐스트 <씨네마운틴>을 함께 진행하고 있는 방송인 송은이장항준 감독을 선정했다.

=좋은 사람이 좋은 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근본적인 문제는 사람에게 있다. 자연이 뭘 잘 못하고 환경이 스스로 뭘 잘 못하는 게 아니다. 사람이 그러는 거다. 좋게 말하면 편의와 실용을 추구하는 거고 달리 말하면 개인의 이익과 욕망을 좇으며 살아가는 거다. 사적인 이익을 위해서, 기업의 이익을 위해서 아무렇지 않게 환경을 훼손한다. 그걸 바꿀 수 있는 것도 결국 사람이다. 그런 점에서 송은이씨나 장항준씨가 선한 영향력을 가진 좋은 사람들이라 생각했다.

=MBC <다큐 플렉스>에 소개된 송은이씨의 이야기를 봤는데, 콘텐츠 제작사 대표로서 그가 가진 생각이 무척 감동적이었다. 자극적인 것들이 넘쳐나는 시대지만 우리는 무해한 프로그램을 만들겠다, 무해하지만 재밌는 콘텐츠를 만들겠다는 그 생각이 참 멋있었다. 이런 생각이 참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가끔 사람들이 내게 묻는다. 왜 자극적인 영화 안 만드냐고. 왜 피가 나오는 건 싫어하냐고. 자극적이지 않고도 재밌는 게 있다. 그런데 독하고 자극적인 것에 사람들의 시선이 쏠리면 그게 트렌드라 생각하고 너도나도 따라간다. 송은이, 장항준의 팟캐스트 <씨네마운틴>을 재밌게 듣고 있는데, 이들이 보여주는 좋은 사람이 가진 선한 영향력, 그것이 환경을 바꿀 수 있는 하나의 힘이라 생각해서 두분에게 에코프렌즈를 제안했다. 서울환경영화제의 에코프렌즈는 유명하다고 다 되는 게 아니다. 실제로 친환경 활동을 열심히 해야 한다. (웃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극장, 온라인, 방송을 통해 영화를 상영하는데, 아직은 극장보다 온라인 상영의 비중이 크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부터 환경을 생각해 온라인을 활용한 영화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집단 면역이 형성되고 코로나19가 지나가더라도 온라인 운영을 유지하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온라인 영화 상영은 시공간의 제약이 없어 사람들의 영화 관람 접근권을 높이고 탄소발자국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다. 그렇다고 오프라인이 중요하지 않다는 건 아니다. 오프라인에서 사람들이 모이는 것은 너무나 중요하다. 혼자만의 사색의 공간도 필요하지만 광장 역시 필요한 것처럼 교류가 있어야 건강해진다. 사실 아직까지는 극장 상영이 조심스러운 측면도 있다. 집단 면역력이 형성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혹시라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오프라인 상영은 조심스럽게 접근하려 했다. ‘환경’영화제이기 때문에 더 고민하고 더 조심하는 선택을 한 것이다.

-어떻게 하면 영화제 자체를 더 친환경적으로 열 수 있을까 하는 고민도 많을 텐데.

=이를테면 친환경 종이를 이용해 포스터를 만든다든지,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을 통해 현수막이나 아이디카드를 만든다든지, 일회적으로 소비되거나 낭비되지 않도록 영화제 굿즈를 제작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개막식 행사에는 문승지 가구 디자이너가 지난해 갤러리아 백화점에서 전시했던 폐플라스틱으로 만든 의자 등을 사용할 계획도 있다.

-집행위원장으로 있는 동안 환경 친화적인 영화 촬영 현장 만들기 캠페인 같은 것도 추진해보면 좋을 것 같다.

=물 한 모금 마시고 버리고, 종이컵 한번 사용하고 버리고, 장갑 한번 쓰고 버리는 일이 현장에선 비일비재하다. 그러면 나는 얘기한다. 그러지 말고 머그컵을 쓰거나 물병에 이름 써놓으라고. 그런 얘길 하면 스탭들은 나를 꼰대로 생각한다. (웃음) 전반적인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 이런 얘기가 단순히 돈 한푼 아끼기 위해서 하는 잔소리로 받아들여지지 않으려면 우리의 사소한 습관과 실천이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야 한다. 후배 감독들이나 PD들을 만나면 이런 건 현장에서 좀 바꿔야 하지 않겠냐고 얘기하는데, 귀찮은 일이라 현장에선 잘 실행되지 않는다고 한다. 문화를 바꾸는 게 쉽지 않지만 그렇다고 가만히 있어선 안된다고 생각한다.

-올해 특별전에선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영화를 상영한다. 환경의 의미를 확장한 특별전이다.

=2년 전엔 요나스 메카스 영화를 상영했는데, 서울‘환경’영화제지만 ‘영화’에도 방점을 찍고 싶어 이런 특별전을 준비했다. 그때도 요나스 메카스 영화를 누가 보러 올까 걱정했고, 지금도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영화를 누가 보러 올까 하는 걱정은 있다. (웃음) 그럼에도 이런 좋은 영화를 소개하는 것 자체로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소홀히 하고 놓쳤던 것들, 보석 같은 영화를 통해 영화의 힘을 느꼈으면 좋겠다. 그저 일회성으로 소비되는 영화가 아니라 계속 생각하게 되고 얘기되는 영화들이 필요하다.

-올해 영화제 추천작이 있다면.

=우선 개막작 <우리는 누구인가>. 철학자, 경제학자 등 여러 사상가와 과학자들이 현재의 세계를 진단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사안을 총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 해주는 영화다. 기업의 탐욕이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는지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거짓말의 경제학>도 추천한다.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붉은 사막>과 <일식>도 봤으면 좋겠다. <붉은 사막>은 극장에서 보면 좋은 영화인데 부득이 이번엔 온라인 상영만 하게 됐다. 대신 <일식>은 극장에서 상영한다. <일식>에선 모니카 비티라는 매력적인 배우를 만날 수 있다. 틀에서 찍어낸 것 같은 영화들과는 아주 다른 영화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감독으로서의 근황과 계획은 어떤가.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 아시아프로젝트마켓에서 <무심한 듯 시크하게>로 모네프상을 받았다.

=투자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형사영화고, 제목으로 느낌을 설명하면 <인정사정 볼 것 없다> 2편 같은? 돈에 흔들리고 생활에 흔들리는데도 자기 길을 걸어가는 형사 이야기다. 영화는 투자가 중요하니 언제 촬영에 들어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어떤 형식 혹은 어떤 플랫폼이 됐건 빨리 감독으로 영화에 복귀해야 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