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416 프로젝트-망각과 기억

416 project: oblibion and memory

2016 한국 12세이상관람가

다큐멘터리 상영시간 : 207분

감독 : 정일건 태준식 김재영 박종필 손경화 박정미 최종호

"우리는 상실과 애통, 그리고 들끓는 분노로 존엄과 안전에 관한 권리를 선언한다. 우리는 약속한다.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고 진실을 밝히고 정의를 세우기 위한 실천을 포기하지 않을 것임을. 또한 우리는 다짐한다. 이 세계에서 벌어지는 각종 재난과 참사, 그리고 비참에 관심을 기울이고 연대할 것임을. 우리는 존엄과 안전을 해치는 구조와 권력에 맞서 가려진 것을 들추어내고 목소리를 내는데 주저하지 않겠다. 이 선언은 선언문으로 완결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우리가 다시 말하고 외치고 행동하는 과정 속에서 완성되어 갈 것이다. 함께 손을 잡자. 함께 행동하자." - <존엄과 안전에 관한 4.16 인권선언> 중 후문

[416 프로젝트-망각과 기억]

1. <자국> 감독 정일건 | 다큐멘터리 | 한국 | 26분 안산시 와동, 선부동, 고잔동 일대에는 커다란 시간의 간극이 생겼다. 수백 명의 아이들이 사라져버린 공간에는 무수한 기억이 맴돈다. 부모들은 지금의 고통을 견디고 미래를 이야기하고 싶다.

2. <교실> 감독 태준식 | 다큐멘터리 | 한국 | 37분 2016년 3월, 흔한 입학식부터 2016년 1월 9일 안산 단원고에서 벌어진 길고 긴 방학식까지. ‘교실’은 이 시간 안에 놓여진 몇 명의 인물을 쫓아간다. 단원고 희생 학생의 어머니 이영옥 씨. 그리고 4월 출산을 앞두고 있는 세월호 광화문 농성장 지킴이 곽서영 씨. 단원고 졸업생이자 교실 존치를 위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최승원 씨. 정해진 시간 안에 각자의 시간들이 존재하고, 그 사이 ‘4·16교실’ 존치 논란의 사회적 책임자들의 ‘말’들을 삽입한다. 우리들은 세월호참사 희생 학생들의 길고 긴 방학의 한 가운데에 놓여 있다.

3. <도둑>감독 김재영 | 다큐멘터리 | 한국 | 37분 2015년 12월, 세월호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제1차 청문회가 사흘 동안 열렸다. 수사권 기소권이 없는 한계, 지속적으로 활동 방해를 받던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지만 세월호 가족들은 희망을 저버릴 수 없는 마음으로 청문회를 준비했다. 이 영화는 1차 청문회를 짧게 요약한 것으로 도둑맞은 진실이 드러날 수 있는 그 찰나의 순간 앞으로 우리를 초대한다.

4. <인양>감독 박종필 | 다큐멘터리 | 한국 | 35분 세월호의 인양과정에 유가족의 참관을 거부한 해수부. 유가족과 시신수습을 한 민간잠수사, 그리고 자원활동가는 침몰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섬, 동거차도에서 인양 감시활동을 한다. 인양해야 할 건 세월호만이 아니다. 참사초기 “미안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를 다짐했던 우리들의 약속이다.

5. <블루-옐로우>감독 손경화 | 다큐멘터리 | 한국 |16분 일상 속 블루에서 시작해 옐로우로 가는 여정. 세월호참사의 현장, 진상규명을 위한 집회, 1년 6개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세월호를 일상 속에 품고 사는 대구 시민들의 모습이 그 여정을 함께 한다.

6. <살인>감독 박정미(노동자뉴스제작단) | 다큐멘터리 | 한국 | 30분 한국은 참사의 나라이다. 그러나 이제 세월호참사를 마지노선으로 참사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4·16가족협의회와 4·16연대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연대를 만들었다. 안전사회는 먼 미래를 위해 지금부터 그려야 하는 구체적인 그림이다.

7. <선언>감독 최종호 | 다큐멘터리 | 한국 | 22분 지켜지지 못한 사람의 권리들이 단단하게 뭉쳐 4·16인권선언문에 담겼다. 사람들이 선언문을 읽는다. 그들의 여전한 결의이자 싸움의 무기인 '말'들을 읽는다.

[제21회 서울인권영화제]
more

별점주기

0
리뷰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