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네마 디스패치]
[김민성의 시네마 디스패치] 예술과 문학 섹션: 소설가의 문학 수업
1.
잡지는 요물이라 한번 만들면 자꾸 만들고 싶어진다니까. 시작은 사소한 것에서 출발한다. 다름씨는 함께 잡지를 만들자며 꼬드겼다. 시도, 소설도, 인터뷰 섭외까지 알아서 해야 했고 심지어 돈도 꽤 드는 일이었다. 이것은 초대를 빙자한 영업에 가까워보였고 지역과 여행사를 그만둔 이후에 잡지는 두번 다시 만들지 않겠다고 다짐했지만, 여전히 나는 예술과
글: 김민성 │
2023-09-14
-
[시네마 디스패치]
[김민성의 시네마 디스패치] 예술과 문학 섹션 - 뉴 노멀
1.
2022년 코로나19 시기에 서점에는 아무도 오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와서 뭐라도 사가라고 하는 것조차 눈치 보이는 날들이 이어졌다. 뉴욕의 스트랜드(strand) 북스토어는 정말 망할 거 같다고 뭐라도 사달라는 메일을 보냈고 베를린의 두 유 리드 미?(do you read me?)는 수레에 잡지들을 싣고 근처 테이크아웃 전문 에스프레소 카페에서 잡
글: 김민성 │
2023-08-24
-
[시네마 디스패치]
[김민성의 시네마 디스패치] 지역과 여행 섹션 - 떠나고 다시 돌아오고
지난 주말에는 <홀리데이> 신간을 보았다.
과거에도, 지금도 <홀리데이> 매거진은 지역과 여행을 다룬 잡지로 세계에서 유명한 잡지 중 하나다. 하지만 모든 것이 그렇듯 이 잡지도 사연이 있다. 1946년에 창간한 <홀리데이> 매거진과 현재의 <홀리데이> 매거진은 큰 차이가 있다. 1946년과 1977년 사이
글: 김민성 │
2023-08-03
-
[시네마 디스패치]
[김민성의 시네마 디스패치] 지역과 여행 섹션: 뉴요커의 서울 여행
서울에 다시 왔을 때 모든 것이 좋았다. 트렌드의 첨단을 달린다고 자부하며 길쭉샐쭉 올라간 건물을 조금만 지나면 다큐에서나 나올 법한 고궁과 한옥이 나온다. 현재와 과거가 공존하는 환상의 도시. 그때를 다시 생각해보면 나는 금세 어디론가로 돌아갈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결국 중요한 것은 태도다. 그리고 태도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 관계도, 일도, 사
글: 김민성 │
2023-07-13
-
[시네마 디스패치]
[김민성의 시네마 디스패치] 지역과 여행 섹션: 제주에서
여행 기사를 쓰기 위해 어디론가 떠나는 삶은 일종의 환상이다. 현실은 하나의 기사를 위해 모든 것을 아껴야 한다. 제주에서의 삶도 그랬다. 특별한 것도 없이 나는 취재를 위해 가장 저렴한 숙소를 예약하고, 한잔에 2천원하는 커피를 주는 카페에서 시간을 보내다, 하루 종일 취재를 위해 근방을 돌아다니다 잠이 든다. 이것을 여행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이것은
글: 김민성 │
2023-06-22
-
[시네마 디스패치]
[김민성의 시네마 디스패치] 지역과 여행 섹션: 완벽한 애틀랜타의 하루
영화가 우리를 가끔 어딘가로 이끄는 도구라면, 잡지는 종종 그 도구를 통해 어딘가로 소환된 사람들의 흔적이다. 두 번째 취재를 위해 어디든 가야 했지만 아무 곳도 갈 수 없었다. 마감까지 주어진 시간은 기사를 송고한 후부터 20일 정도밖에 되지 않았고 기한 안에 무엇이든 써내야만 한다는 사실은 인간을 집 안에만 처박히게 만든다. 지역과 여행 기사에서 중요
글: 김민성 │
2023-06-01
-
[시네마 디스패치]
[김민성의 시네마 디스패치] 지역과 여행 섹션: 잃어버린 커피를 찾아서
2023년 1월1일. 전날에 커피를 너무 많이 마셔서 한숨도 자지 못하고 새해를 맞이한 나는 담배를 피우면서 끝내주는 커피 한잔을 마시고 새해를 시작해야겠다고 다짐했다. 이런 마음을 먹은 까닭은 2022년 12월31일에 완벽한 커피를 찾아 2만원짜리 게이샤 원두커피를 포함해 6잔을 때려 마셨지만 그렇게 만족스럽지 않았고, 하지만 이것이 7천원 정도라면 매
글: 김민성 │
2023-05-11
섹션명
- - 전체기사(92,019)
- - 국내뉴스(15,314)
- - 해외뉴스(6,630)
- - 소식(366)
- - culture highway(242)
- - 한국영화 블랙박스(194)
- - culture & life(90)
- - 김성훈의 뉴스타래(37)
- - BOX OFFICE(15)
- - CASTING(46)
- - 씨네스코프(883)
- - 해외통신원(1,636)
- - 기획리포트(686)
- - 영화제(615)
- - obituary(66)
- - 현지보고(219)
- - 경기도 다양성영화 G-시네마(40)
- - 트위터 스페이스(68)
- - 알고봅시다(148)
- - 메모리(33)
- - 씨네21리뷰(8,780)
- - coming soon(559)
- - 케이블 TV VOD(20)
- - 한달에 한편(2)
- - 스트리밍(11)
- - HOME CINEMA(296)
- - 도서(3,091)
- - 정훈이 만화(993)
- - 스페셜1(9,447)
- - 스페셜2(3,726)
- - LIST(70)
- - 커버스타(2,333)
- - 인터뷰(943)
- - 액터/액트리스(285)
- - 후아유(524)
- - staff 37.5(115)
- - trans x cross(149)
- - people(455)
- - INTERVIEW(231)
- - 김혜리의 콘택트(6)
- - 편집장이독자에게(1,061)
- -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279)
- - TVIEW(471)
- - 디스토피아로부터(556)
- - 곡사의 아수라장(37)
- - 김정원의 도를 아십니까(71)
- - 허지웅의 경사기도권(57)
- - 노순택의 사진의 털(42)
- - 이화정의 다른 나라에서(5)
- - 송경원의 덕통사고(5)
- - 김현수의 야간재생(5)
- - 정지혜의 숨은그림찾기(5)
- - 내 인생의 영화(184)
- - 윤웅원의 영화와 건축(21)
- - 정종화의 충무로 클래식(37)
- - 김호영의 네오 클래식(14)
- - 강화길의 영화-다른 이야기(26)
- - music(45)
- - 윤덕원의 노래가 끝났지만(50)
- - 이경희의 SF를 좋아해(32)
- - 오지은의 마음이 하는 일(17)
- - 딥플로우의 딥포커스(8)
- - 곽재식의 오늘은 SF(42)
- - 김세인의 데구루루(8)
- - 시네마 디스패치(8)
- - 슬픔의 케이팝 파티(8)
- - 황덕호의 시네마 애드리브(12)
- - 오승욱의 만화가 열전(32)
- - 한창호의 트립 투 유럽(33)
- - 박수민의 오독의 라이브러리(34)
- - 마감인간의 music(231)
- - 영화비평(632)
- - 프런트 라인(135)
- - 프런트 라인(59)
- - 2021 부산국제영화제(63)
- - 2022 부산국제영화제(121)
- - 2020 전주국제영화제(44)
- - 2021 전주국제영화제(48)
- - 2022 전주국제영화제(43)
- - 2023 전주국제영화제(47)
- - 2021 부천국제판타스틱(38)
- - 2022 부천국제판타스틱(35)
- - 2023 부천국제판타스틱(37)
- - 2021 제천국제음악영화제(23)
- - 2021 강릉국제영화제(35)
- - 2022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25)
- - 대학탐방(239)
- - 입시가이드(199)
- - 학과별 가이드(30)
- - 합격 필승전략(27)
- - CAREER(1)
연재 종료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