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투덜군 투덜양
[투덜군 투덜양] 열받는 걸 열받는다 하지 못하고…

투덜양, <보랏…> 때문에 상처받았을 카자흐스탄 사람들을 생각하다

갈수록 영화를 ‘즐감’하기 어려운 세상이다. 영화가 보여주는 대로 보면서 웃었다 울었다 하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언젠가부터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각성이 스크린과 관객 사이에 필터처럼 끼워지더니 이제는 그 ‘정치적 올바름’의 상투성이나 위선까지 감식함으로써 불경하기 짝이 없는 영화의 ‘전복성’을 끄집어내 열광할 수 있어야 진정 수준있는 관객으로 거듭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이건 타르코프스키 영화를 보면서 감동의 눈물을 흘리는 것만큼이나 난이도가 높은 작업이다.

그래서 내가 <보랏: 카자흐스탄 킹카의 미국 문화 빨아들이기>를 보고 곤혹스러웠냐 하면 그런 건 아니다.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이거 참 웃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모르겠다”는 내 말에 “선배가 제일 많이 웃던데요”라고 옆의 후배가 대꾸했으니 피해갈 도리가 없다. 그렇다고 이 영화의 전투적인 풍자정신과 전복적 성향에 환호했다고 둘러댈 만큼 내가 ‘위선적’인 건 아니다. ‘정말 그렇게 많이 웃었나, 내 웃음소리가 그렇게 튀었나’ 전전긍긍하던 나는 이 영화를 지난해 개봉작 10대 영화에 꼽았다는 <AFI>의 뉴스를 보고야 안도의 급한 숨을 내쉬었다.

고백하자면 내가 이 영화에서 가장 좋아했던 장면은 홀딱 벗은 두 남자가 엎치락뒤치락 싸우다가 아즈맛의 거대한 엉덩이가 보랏의 얼굴을 깔고 앉았던 장면- 아직도 눈에 선하다, 보랏의 코 바로 아래서 갈라지던 엉덩이 중앙부의 실루엣- 이었다. 헤어졌다가 다시 만난 아즈맛에게 보랏이 던진 “아직도 내 입에서 네 똥구멍 냄새가 가시지 않아”라는 대사와 쌍을 이뤄서 말이다. 이 영화를 격찬한 외지들의 리뷰를 보니 이 장면을 언급하는 사람은 하나도 없군. 사샤 바론 코언이나 평론가들이 무엇을 봤건 나는 이 영화에서 슬랩스틱코미디와 궁극의 화장실 유머에 열광했던 것이군. 그럼 나는 저질 관객이고, 이 영화에서 풍자와 전복성을 읽은 관객은 수준있는 관객이 되는 것인가? 그럴지도 모르겠다.

어디까지가 매너고 어디부터가 진심이며, 어디까지가 불경이고 어디부터가 전복인지 가늠하는 게 얼마나 가능할까. 내게 <보랏…>이 그저 농담이 아닌 의미가 있다면 이런 질문을 던지게 하는 것이다. 지난해 <가디언>에서는 이 영화가 공격하거나 놀리는 부류의 사람들- 유대인 작가, 학자, 흑인 저널리스트 등 근데 다 엘리트다, 물론 영국인이고- 을 대상으로 이 영화의 논란에 대해서 인터뷰했는데 모두들 여유있고 너그러운 답변을 해줬다. 반면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이 영화의 상영에 반대하기 위해 부시 대통령 면담을 요청했다가 서구인들의 너그러운 반응에 한발 물러나 “코언을 카자흐스탄에 초청하고 싶다”는 말을 했다. 카자흐스탄 대통령이 계속 화를 냈다면 웃겼겠지만 입장을 선회하니 슬퍼졌다. 이 영화가 공격한 미국인들의 이중성과 교만함을 비웃기보다 상처받고도 별거 아니라고 웃어야 하는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카자흐스탄 사람들을 위로하고 싶어졌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