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남의 일 같지 않은 씁쓸함 <더 스토닝>

이란의 어느 한적한 마을, 아이를 키우며 소박하게 살아가는 소라야(모잔 마르노)의 일상에 불행이 닥친다. 남편 알리(나비드 네가반)가 14살의 새 신부와 결혼하기 위해 아내를 처단하려는 극악무도한 계획을 세운 것이다. 그는 다름 아닌 스토닝, 즉 돌팔매형을 통해 합법적으로 위자료 없이 아내와 이혼하려 한다. 이에 알리에게 약점을 잡힌 몇몇 이웃이 가세하고, 알리의 모략은 별다른 제동 없이 순조로이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드러난 마을 사람들의 집단적 암묵, <더 스토닝>은 아직 이슬람 세계의 일부 국가에서 벌어지는 스토닝의 악습을 직접적으로 다룬 영화다. 영화는 형벌의 과정을 비교적 세밀히 묘사해 차마 눈뜨고 보지 못할 두려움마저 준다. 하지만 꼼꼼히 연출된 투석형 장면보다 더 끔찍한 것은, 영화가 실제로 일어난 사건에 기반을 둔 데 있다. 극중 사용된 인물의 이름은 본명으로, 영화의 마지막에 소라야는 사진으로 소개되기도 한다.

페르시아어와 영어가 혼합된 이 할리우드영화의 원작은 프랑스의 베스트셀러 <돌팔매질당한 여인>이다. 1986년 기자인 프리든 사헤브잠은 취재차 방문한 마을에서 소라야의 죽음에 대해 듣고, 이후 수많은 증언과 사례 정황을 통해 1990년에 소설을 발간하기에 이른다. 영화에 따르면 사헤브잠이 소라야의 이모 자흐라(쇼레 아그다쉬루)를 만난 시기는 그녀가 사망한 다음날이다. 마을 사람들은 자흐라가 조카의 사망을 외부에 발설하지 못하도록 막는데, 이 노력은 끝내 좌절당한다.

표면적으로 <더 스토닝>은 이슬람 형법에 근간한 비인도적 형벌을 겨냥하지만 이가 영화가 말하려는 전부는 아니다. 이 작품은 여성의 처지, 아들들마저 ‘남성’이라는 이유로 그녀들에게 군림하려 드는 합당치 않은 사회 구조를 의심하고자 한다. 감독이 투석형 자체의 원시성과 더불어 ‘마을 전체가 일심하여 거짓을 방조하는 행위’나 ‘사회 행태의 특권적 체계’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듯 보이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영화의 초반, 소라야의 캐릭터가 순종적이며 불쌍한 이슬람 여인의 전형이 아니라 페미니스트에 가까운 강인한 어머니상으로 그려진 것에 대해 우린 다시금 생각할 필요가 있다. 영화는 변하지 않으려는 일부 기득층의 만행이 사회악의 근원임을 간접적으로 웅변한다.

영화의 인트로, 스크린에 박히는 14세기 시인의 구절 “위선자처럼 행동치 말라. 코란을 큰 소리로 인용하면 마치 죄가 가려지는 것으로 착각한다”는 따라서 확대의 여지가 있어 보인다. 1990년에 발간된 소설이 2008년에 영화화되고, 2012년에 비로소 국내에 개봉된 것은 같은 맥락에서 동시대성으로 순화될 수도 있단 이야기다. 예컨대 작품 속 스토닝의 의미를 이코노그래피로 취급한다면 어떨까? 굳이 스토닝뿐 아니라 그것이 옳은지 아닌지 분간하기 힘든 공공의 선이 개인의 인격을 무시하는 행위, 이것이 지금은 완전히 사라졌다고 당신은 단언할 수 있는가? 당대 지식인들에 의해 이루어졌던 중세의 마녀사냥, 당장 오늘도 벌어지고 있는 인터넷상의 신상 털기, 혹은 정치권을 통해 번지는 특정인에 대한 공격 사태에 대해 영화는 이중적 토론의 소지를 끌어낸다. 물론 이는 일차적으로 소라야에게 일어난 믿을 수 없는 사건에 기반을 둔 것이다. 토론토영화제를 비롯한 다수의 국제영화제에서 이 작품이 관객상을 수상한 이유이다. <더 스토닝>를 지적하는 집단이나 사회의 부조리함에 대한 항거는 세계의 일부이지만, 남의 일 같지 않은 씁쓸함을 안긴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