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커버스타
'안나' 수지, "할 수 있다는 확신"
조현나 사진 최성열 2022-06-22

하고 싶은 것도, 잘하는 것도 많다. 모든 이의 사랑을 받으며 남부러울 것 없이 자란 유미는 어느 순간 자신이 그리 특별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좌절한다. 평범하게 살아가던 유미 앞에 그가 바라는 모든 것을 지닌 현주(정은채)가 나타난다. 유미는 결국 현주의 삶을 훔쳐 거짓된 삶을 살기 시작한다. 핏기 없는 얼굴의 유미로, 잘 가공된 안나(현주의 영어 이름.-편집자)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수지는 매 순간 초연하다. 이 평온함은 아마도 “타인을 속이고 결국 자신까지 속이는 유미”의 그릇된 확신에서 비롯된 것일 테다. <안나>에서 수지는 전작보다 훨씬 진중한 에너지로 스스로를 고르게 다듬는다. 유미와 안나, 상반된 둘을 완성한 그에게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 <스타트업> 이후 오랜만의 드라마 출연이다. <안나>의 어떤 점 때문에 출연을 결심했나.

= 우선 시나리오가 너무 재밌었다. 소설책을 읽는 것처럼 유미가 이다음엔 또 어떤 선택을 할지 조마조마해하면서 페이지를 넘겼다. 유미의 어린 시절을 감안하면 일련의 선택들이 납득이 가는데 한편으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모습이 씁쓸했고, 우리 사회의 단면을 잘 보여주는 것 같았다. 내 주변엔 없었으면 하는 인물이긴 한데 그래도 ‘안 걸리고 잘 좀 살았으면 좋겠다’ 하는 마음으로 응원하게 되더라.

- 안나의 삶을 서서히 훔치는 유미를 보면서 유미가 아주 탁월한 연기자라고 생각했다.

= 그렇다. 처음에는 들킬까봐 걱정하는 과도기가 있지만 자신의 겉모습에 넘어가는 사람들을 보면서 ‘이게 되네? 쉽네?’ 하고 확신을 갖는다. 스스로를 속여 진짜 ‘안나’가 되어가는 동시에 진짜 자신을 잃어버리는 거다. 그 과정이 재밌었다.

- 시나리오를 꼼꼼하게 분석하고 파고드는 배우로 알고 있다. 이번엔 어떤 방식으로 접근했나.

= 대본을 처음 읽었을 때의 느낌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유미가 거짓말할 때 죄책감을 느끼는 모습을 보며 완전한 리플리 증후군은 아니라고 생각했고, 감독님과 같이 심리 전문가를 찾아가 자문을 구했다. 그때 유미가 불안장애라는 걸 알았다. 우울증과의 차이를 깨달은 뒤로 어떻게 유미를 그려나가야 할지 확신이 섰다. 그래서 코너에 몰린 듯한 유미의 불안감을 잘 표현하려고 했다.

- 유미의 10대부터 30대까지의 모습을, 그 과정에서 안나라는 전혀 다른 인물의 삶을 사는 순간까지 연기해야 했다. 나이대별로, 그리고 인물별로 어떤 차이를 주려 했는지 궁금하다.

= 10대 시절의 유미는 마냥 밝다. 세상이 자기 중심으로 돌아가는 여왕벌 스타일이고, 관종이다. (웃음) 마레 소품숍에서 일하는 20대의 유미는 완전히 포커스 아웃된 배경과 다름없다고 생각했다. 마레에서 촬영할 때도 그냥 계속 일만 한다는 감각으로 임했다. 반면 안나는 항상 완벽을 추구한다. 그래서 AI가 연상될 정도로 표정도, 목소리 톤도 절제하고 인간적이지 않은 느낌으로 접근했다.

- 스타일링에서도 분명한 차이가 보인다. 안나가 비교적 화려한 의상을 즐겨 입는다면 유미의 의상은 무채색에 가깝다.

= 어떤 의상을 입느냐에 따라 다른 캐릭터가 몸에 장착되는 느낌이었다. 잘 갖춰진 안나의 옷을 입을 땐 걸음걸이부터 달라졌다. 유미의 코트엔 의상팀에서 보풀까지 만들어주었는데 그래서인지 몰입이 더 잘됐다. 유미를 연기할 땐 메이크업 없이 다크서클 같은 걸 그대로 살렸는데, 그랬더니 다소 고단해 보이는 유미가 자연스레 나오더라. (웃음) 안나는 외관에 신경을 많이 쓰기 때문에 늘 부자연스러울 정도로 세팅이 되어 있다. 감독님은 특히 안나의 머릿결에 신경을 많이 써주길 바라셨다.

- 샤넬 트위드와 크리스찬 루부탱 구두는 안나를 상징하는 아이템으로 등장한다.

= 그래서 구두 타이트숏이 많은데 나는 그게 유독 불안정해 보였다. 분명 똑바로 걸었음에도 높은 굽을 신은 발만 잡혀서인지 위태로워 보이는데 그게 오히려 좋더라.

- 모니터를 꼼꼼히 하는 편인가보다.

= 그렇다. 이번 작품을 찍을 땐 다행히 시간 여유가 있어서 더 주의 깊게 살폈다.

- 여성 캐릭터들과의 관계도 흥미롭다. 명예와 부에 대한 유미의 동경심, 열등감이 현주에게 그대로 투영된다. 지원(박예영)에게도 단순히 좋은 선배라는 감정 이상의 부러움을 느낀다는 인상이다.

= 열등감은 유미가 치열하게 살아갈 수 있는 동력이다. 자신과 너무도 다른 삶을 사는 현주를 만났을 때 부러워하면서도 현주의 빈틈을 우습게 여긴 것 같다. 그래서 기꺼이 현주처럼 행동하며 살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 거다. 지원은 유미가 많이 믿고 의지하는 존재다. 그가 곁에 없었다면 유미가 살아갈 수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그럼에도 ‘이 사람은 진짜구나’ 생각하며 유미가 스스로를 초라하고 부끄럽게 여기도록 만드는 인물이다. 의도치 않게 사건의 빌미를 제공하기도 해서 우리끼리 장난으로 “지원이 문제”라고 말하기도 했다. (웃음)

- 지난 2월에 발표한 <Satelite> 뮤직비디오에선 댄서 모니카와 협업했다. 노래와 안무를 전체적으로 고려해 완성된 그림을 내놓는 디렉터로서의 면모를 발휘한 프로젝트였다.

= 사전에 모니카의 안무와 영상을 많이 찾아봤다. 내가 원한 건 미리 짠 안무를 쓰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노래를 듣고 모니카가 프리스타일로 연출해주는 거였다. 부담감을 느끼셨을 법도 한데 흔쾌히 알겠다고 하시고 자신만의 스타일로 재해석해주셔서 정말 감사했다.

- 그 밖에 싸이의 <Celeb>, 강승원의 <널 사랑하니까> 등 최근 컬래버레이션 작업을 많이 했다.

= 시기적으로 잘 맞물렸다. 이벤트성 작업이라 즐거운 마음으로 재밌게 했다. 이런 컬래버레이션 작업을 할 땐 대개 상대가 내게 원하는 이미지가 있기 마련이고, 또 대중이 내게서 어떤 이미지를 읽어내고 좋아하는지를 느끼게 되는 순간이기도 하다.

- <안나>에선 대중이 생각하는 수지와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줄 예정인데.

= 그래서 이 작품에 끌린 것도 있다. 새로운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강박은 없지만 <안나>의 시나리오를 본 순간 재밌겠다, 내가 성장할 수 있겠다, 그리고 내가 잘할 수 있겠다는 묘한 확신이 들었으니까. 나 역시 유미에게 빠졌던 거지. (웃음)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