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Report > 기획리포트
[시네마테크 살리기 캠페인] 위기의 시네마테크를 구하라

위기의 시네마테크를 구하기 위한 특별한 행사가 지난 1월18일 수요일 밤 종로구 낙원동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있었다. 18일부터 26일까지 개최될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기자회견 및 서울아트시네마 후원의 밤이 함께 열린 것이다. 먼저 영화제 기자회견에는 박찬욱, 김지운, 오승욱, 류승완 감독 등이 단상에 올라 이 행사에 참여하게 된 계기와 의의 등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뒤이어 영화배우 권해효의 사회로 열린 후원의 밤 행사는 최정운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대표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김수정 한국시네마테크 협의회 사무국장이 향후 서울아트시네마의 계획을 발표하는 시간으로 이어졌다. 설명회가 끝난 뒤에는 버스터 키튼의 <제너럴>을 상영했다. 이날 열린 행사는 침체에 빠진 한국의 시네마테크 문화를 일으키자는 의의에서 마련됐다.

“이곳이 없어지면 영화 볼 곳이 없다”

“감독들 중에서 영화 보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연계해서 힘이 되어보자 해서 출발하게 된 거다. 나 같은 경우 이곳이 없어지면 영화 볼 곳이 없어진다는 위기감 때문에 참여하게 됐다”(오승욱), “우리에게도 이런 시네마테크 공간이 있고, 그게 미래의 유산이 될 수 있었으면 하고, 그래서 이곳이 더 좋은 조건으로 발전했으면 좋겠다”(김지운), “보고 듣는 수준에서가 아니라 영화를 체험한다는 의미에서 이곳은 각별한 의미인 것 같다”(류승완). 각자 감독들은 영화제의 친구들로 이름을 올리게 된 이유와 시네마테크의 중요성을 이렇게 설명했다. 특히 ‘친구들’의 대표를 맡게 된 박찬욱 감독은 “만약 지금 이 공간이 없었거나, 문을 닫는다면 영화광들은 얼마나 많은 불평을 하겠나? 어렵던 시절에 영화를 공부하느라 고전을 보지 못했다. 지금은 진짜 만학도의 기쁨을 누리는 중이다. 한국의 영화광들은 이곳에서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줄 만한 영화를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네마테크의 올해의 ‘친구들’은 총 9명이다. 감독 박찬욱, 김지운, 오승욱, 류승완, 김홍준, 영화평론가 정성일, 김영진, 배우 황정민, 문소리 등이다. 서울아트시네마는 9명에게 보고 싶은 영화를 한편씩 추천하도록 했고, 각각 <킬러> <벌집의 정령> <석양의 갱들> <충격의 복도> <춘몽> <흩어진 꽃잎> <바람 불어 좋은 날> <올댓재즈> <오프닝 나이트> 등을 꼽았다. 행사 중에는 각자가 추천한 영화 상영과 함께 관객과의 대화 시간도 갖는다. 서울아트시네마 김성욱 프로그래머는 “로버트 알드리치 회고전 때 이 감독들이 내내 극장에 오는 것을 보고 감동받았다. 그때가 계기가 되어 이 영화제를 생각하게 됐다. 이들은 시네마테크를 사랑하는 관객이라고 생각한다. 시네마테크는 관객으로서의 친구를 필요로 한다. 2006년 서울아트시네마가 좀더 많은 관객과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되었으면 한다”며 친구들 영화제의 배경이 시네마테크의 대중화를 위한 일환임을 시사했다.

낙원동 이전 이후 관객 40% 감소

후원의 밤 행사장 입구

2002년 개관한 시네마테크 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가 극심한 어려움에 빠지기 시작한 건 지난해 4월 아트선재센터에서 지금의 종로구 낙원동 자리(구허리우드극장)로 옮기면서부터다. 현 2년제 임대계약에 따른 불가피한 결정이었다. 김수정 사무국장은 “극장은 장소가 가진 의미가 큰데, 장소를 이전해야 하니까 타격이 컸다”고 밝힌다. 장소를 옮기면서 인지도가 약화됐고, 극장 주변 환경이 바뀌면서 그나마도 찾던 관객의 발걸음이 현저하게 떨어진 것이다. 예년과 비교해 지난해 관객 수는 40%나 급감했다. 이전을 하면서 든 비용을 포함, 4천만원의 적자를 낸 한해였다. 매년 영화진흥위원회의 국고 지원이 있긴 하지만, 그것만으로 충당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이 김수정 사무국장의 설명이다. 가령, “영진위에서 지난해 3억6천만원 정도의 지원비를 받았지만, 전용관 이전비용 및 임대료, 기기 구입 등에 1억9천만원이 들어갔고, 나머지 1억7천만원 중에서 (번역자막지원사업과 출판지원사업의 비용을 제외하더라도) 주요 사업인 지역순회상영 사업에만 9천만원이 들어갔다”고 밝힌다. 따라서 행사를 할 때마다 외부 지원 조건을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기본적으로 예산을 갖고 하는 게 아니다. 행사를 하려면 어디에서 지원을 받아야 할까 고민하는데, 일본, 독일, 프랑스 등의 영화를 자주 하는 이유도 그곳의 연계 기관들이 지원을 잘해주는 편이어서 그렇다”는 것이다. 최근에 열린 “일본영화 계승과 혁신:쇼치쿠 110주년 영화제”의 경우도 일본국제교류기금에서 2천만원을 지원받았지만, 결과적으로 총비용 4천만원이 넘게 들어가는 행사였고, 수입은 1200만원에 못 미쳤다. 인건비와 실비를 모두 제하고도 400, 500만원의 적자를 낸 상황이다. 대관 행사까지 포함하면 지난 한해 5만8천명 정도의 관객이 들었지만, 사실 이 수치는 한회 상영에 10명에서 20여명 남짓한 관객이 썰렁하게 앉아 영화를 보는 안타까운 풍경을 의미한다. 개관 이래 4년 동안 1100여편의 영화를 상영한 영화의 전당이 위기에 봉착한 것이다.

대중화와 재정 확보가 시급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마련된 방안은 크게 두 가지, 대중화와 재정 확보다. “아트하우스와 시네마테크를 구분해야 한다. 시네마테크는 이윤 추구를 위한 곳이 아니다. 그것이 아트하우스와의 결정적 차이다. 그래서 우리 주변 사람들을 통해 전체적인 기조를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는 김수정 사무국장의 말처럼, 저명 영화인들이 발벗고 나서 ‘친구들’을 자청한 것은 시네마테크를 친근하게 알리기 위한 방법 중 하나다. 친구들 영화제는 향후 1년에 한번씩 친구들을 새로 선정하여 올해와 같은 방식으로 추천 영화들을 받아 상영하며, 마스터 클래스도 가질 예정이다.

올해 9명의 명단 외에도 ‘친구’가 되기로 약정된 사람들 중 권종관, 김성호, 이현승 감독 등은 후원의 밤 자리에도 참석했다. “여기 친구가 되면 버림받은 걸작 <진짜 사나이>를 틀지도 모른다고 해서 올라 왔다”는 권해효의 재치있는 오프닝 멘트로 시작한 후원의 밤 행사는 서울아트시네마의 향후 주요 사업을 프레젠테이션하는 순서로 이어졌고, “(대표) 안 하면 <달은…>과 <3인조>를 상영해버리겠다는 협박을 듣고 왔다”는 역시 재치있는 박찬욱 감독의 멘트로 끝났다.

이날 주최쪽이 발표한 주요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울아트시네마의 대중화, 후원을 통한 안정적 재정 확보, 공간의 안정화를 위한 노력, 교육사업 확대, 기본적인 영화들의 확보” 등이다. 친구들 영화제와 같은 행사로 관객과의 거리를 좁히는 것, 후원회 제도의 활성화를 통해 재정확보의 틀을 마련하는 것, 확보된 재정으로 지금의 공간을 안정적으로 구축하는 것, 또한 교육 사업과 아카이브 구축에 매진하는 것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상영, 교육, 아카이브가 주기능인 시네마테크”의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쇄신의 의지다. 구체적으로는 개인후원, 기업후원, 영화제 후원 등으로 나눠 후원금을 모집하고, 연령별 청소년 영화교육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며, 기부를 통한 프린트 확보도 추진 중이다.

<씨네21>은 시네마테크의 이런 움직임에 동참하는 차원에서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와 공동 주최로 ‘시네마테크 후원 릴레이 캠페인’을 2월부터 시작한다. 매주 한명의 영화인이 기부의사를 밝히고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금전적 기부를 포함, 프린트, 물품, 강의 제공 등 다양하게 전개할 계획이다. 영화 문화의 활성화를 위해 모두가 동참할 때다.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