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이상한 남자에게 던지는 질문
장영엽 사진 최성열 2015-02-24

<무뢰한> 오승욱

<무뢰한>

출연 전도연, 김남길, 박성웅 / 제작 사나이픽쳐스 / 배급 CGV아트하우스 개봉 2015년 중

Synopsis 강력계 형사 정재곤(김남길)은 박준길(박성웅)을 뒤쫓고 있다. 한때 박준길이 몸담았던 조직 역시 복수를 위해 그의 행방을 추적 중이다. 박준길은 조직 보스의 정부 김혜경(전도연)과 눈이 맞아 돈까지 횡령하기도 했다. 정재곤은 박준길이 분명 김혜경과 접촉하고 있을 것이란 생각에, 그의 옛 감방 친구로 위장하여 김혜경에게 접근한다. 그러면서 두 사람은 점차 가까워지고, 드디어 박준길이 나타난다.

“남자를 망가뜨리는 것은 사랑과 암이다.” 비극적으로 세상을 떠난 토니 스콧을 추모하며, 오승욱 감독은 언젠가 <마지막 보이스카웃>의 한 장면을 인용한 글을 <씨네21>에 보내온 적 있다. <무뢰한> 시놉시스를 보며 그 구절이 다시금 떠올랐다. <킬리만자로> 이후 15년 만에 돌아온 오승욱 감독의 관심은 비정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다가 사랑이란 늪에 빠지는 한 남자에 머물러 있다. 사랑 때문에 망가지게 될 줄 알면서도, 파국을 향해 질주하는 ‘무뢰한’의 마음을 오승욱 감독은 어떻게 풀어냈을까.

-지난 인터뷰 당시에는 캐스팅을 진행 중이었다. 촬영과정에서 짐작과 달랐던 변화가 있다면.

=김남길이라는 배우가 합류하며 많은 것들이 달라졌다. 남길씨가 굉장히 섬세하고, 감정이나 표현의 결이 다양한 배우더라. 때문에 그가 연기하는 정재곤은 선 굵고 힘이 넘치는 주인공이라기보다 섬세하게 감정을 재단하는 느낌의 캐릭터가 된 것 같다. 결과적으로는 더 나은 선택을 하게 된 것 같다.

-김남길을 캐스팅하게 된 계기가 궁금하다.

=처음에는 국수란 PD의 강력한 추천이 있었다. (웃음) 남길씨를 직접 만나고 나서는 시나리오에 대한 이해도가 마음에 쏙 들었다. <무뢰한>의 재곤은 한마디로 정의하려고 하면 재미없는 인물이 되어버리고 마는데, 남길씨는 어떤 특정한 감정을 잡아 연기하려고 하기보다는 영화 전체를 보는 법을 잘 알고 있었고 그 점이 참 좋았다.

-지난 인터뷰를 보면 주인공 정재곤에 대해 ‘이상한 남자’라는 표현을 자주 썼다. 이 표현을 쓴 의도가 궁금해지더라.

=영화감독으로서 내 역할은 이해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무뢰한>은 이 ‘이해할 수 없는 남자’에 대한 질문의 영화다. 쉽게 말하면 이런 거다. 자기만의 삶의 방식으로 살아왔던 한 남자가 있다. 그 남자가 한 여자를 만나며 윤리적으로 감정적으로 이성적으로 흔들리기 시작한다. 그는 왜 흔들리는가, 그가 흔들리며 하게 되는 행동은 어떤 것인가. 이런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 싶었다. 그래서 <무뢰한>은 재곤의 감정이 관객과 얼마나 심정적으로 ‘링크’되는지가 중요한 영화다.

-전도연이 연기하는 김혜경은 어떤 인물인가. 시놉시스만 보면 ‘팜므파탈’의 느낌도 난다.

=그건 아니다. 팜므파탈도, 남자들의 구원적인 여성상도 아닌, 다시 말해 관념적이지 않은 여성 캐릭터를 만들어보고 싶었다. 편집을 하면서 김혜경이 참 고통스러운 인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는 등장하는 거의 매 장면에서 남자들에게 시달리거나 이용당한다. 아마 배우로서도 고통스러운 경험이었을 텐데, 도연씨가 언젠가 한 말이 잊히지 않는다. 우리(전도연과 김남길)를 늪에 빠뜨려놓고서 정작 감독님은 왜 들어오지 않느냐고. (웃음) 내가 클로즈업 숏을 두려워하고 싫어하는데, 도연씨의 표정 연기가 너무 좋아서 이번 영화에서는 굉장히 깊게 들어가는 클로즈업 숏을 많이 썼다. 이런 말을 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도연씨의 클로즈업 숏을 보고 있으면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의 <잔 다르크의 수난>의 한 장면이 떠오를 정도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이건 ‘멜로영화’다.

=그렇게 볼 수도 있겠지. 다만 자주 보아왔던 스타일의 멜로는 아닐 거다. 남자가 여자를 사랑하고 있다는 직접적인 단서를 주는 장면은 이 영화엔 없다. 시간이 지나 어느 날 문득, 돌이켜보니 이 여자를 사랑하고 있었구나 깨닫는, 서서히 스며들어가는 사랑을 다뤄보고 싶었다. 친절하지는 않지만, 그 거칠고 투박한 사랑의 방식에서 느낄 수 있는 격정이 있다고 생각한다.

-문득 궁금해진다. <무뢰한>은 대사가 많은 영화인가.

=대사 자체가 그렇게 많은 영화는 아니다. 하지만 <무뢰한>을 ‘대화의 영화’라고 부를 수는 있을 듯하다. 이 영화에선 재곤과 혜경이 대화를 나누는 장면들이 굉장히 중요하다. 그래서 말을 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있을 때, 프레임에 누구를 담아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다. 특히 영화의 후반부에 두 사람이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싶어 하는 장면이 있는데, 누군가는 그 장면을 두고 ‘서로 암호를 타전하는 것 같다’고 말하더라. 대화를 나누고 있지만, 각자의 마음을 알아달라는 비명처럼 느껴진다고. 그 장면에서 두 배우가 연기를 정말 잘해줬다.

-강력계 형사를 주인공으로 하는 만큼 액션 장면도 궁금하다.

=화려하기보다는 짐승처럼 싸우는 느낌의 액션 신을 보여주고 싶었다. 두 남자(박성웅과 김남길)가 뒹굴고 주먹질을 하며, 몸의 움직임을 주고받는 ‘개싸움’의 느낌이랄까. 그 장면만큼은 꼭 한번 연출해보고 싶더라.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