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후아유
<박열> 최희서 - 푸릇푸릇한 열정
정지혜 사진 백종헌 2017-06-30

1920년대 항일운동을 하던 조선의 청년 박열과 그의 정치적, 정신적 동지이자 연인인 가네코 후미코. 이준익 감독의 <박열>은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한 개인으로서 제 삶의 주체성을 잃지 않으려는 이들의 결기에 대한 영화다. 특히나 후미코는 제국주의 세계뿐 아니라 오만한 제국의 남성들에게 맞서며 굳건히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강건한 여성이다. 10여년간 단편영화와 연극 무대를 통해 탄탄한 연기 근력을 다져 온 최희서가 결기의 후미코를 완성해냈다. <박열>은 최희서의 첫 번째 장편 주연작이다.

-개봉을 앞두고 수많은 인터뷰를 소화하고 있다.

=지난 한주간 50여명의 기자들을 일대일로 만났다. 난생처음 해보는 경험이라 얼떨떨할 뿐이다. 그래도 후미코를 스크린에서 보는 데 아쉬운게 하나도 없더라. 정말 내 모든 걸 쏟아부었던 것 같다.

-<동주>(2016)의 윤동주를 조력하던 쿠미 역에 이어 또 한번 이준익 감독과 작업하게 됐다.

=감독님께서 <동주> 후시녹음 때 처음으로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에 대해 아느냐”고 물으셨다. 그길로 서점에 가서 후미코의 자서전 <나는 나>를 찾아 읽었고 마음이 뜨거워졌다. 감독님께서 “시나리오 회의를 하려고 하는데 관심 있으면 와라. 와서 네가 이해한 후미코에 대해서 말해주면 좋겠다”고 하셨다. <박열>이 만들어지던 초기부터 함께하게 된 거다. 그러다 캐스팅 시기가 되자 내색하지는 않으려 했으나 조바심이 났다. 마음을 비우려고 제주에 갔는데 조감독님의 전화를 받았다. “네가 가네코 후미코 역으로 결정되었어.” 정말 눈물이 핑 돌았다.

-자서전 속 후미코는 어떤 사람이었나. 영화에서는 어떻게 표현하고 싶었나.

=후미코는 어릴 때 조선에 팔려왔고 극심한 학대를 받았으며 자살 시도까지 했다. 그러면서도 ‘이렇게 죽으면 억울하다, 무슨 수를 써서라도 나를 괴롭힌 이들에게 복수하겠다’는 독기를 품고 살아간다. 우물쭈물함 없이, 강인한 생활력을 지녔다. 감독님께서는 “후미코는 순진무구해야 돼, 우울하면 안 돼”라고 하시더라. 통통 튀고 밝은 후미코의 면모는 감독님이 그리고자 한 방향이었다. <길>(1954)의 젤소미나(줄리에타 마시나), <길버트 그레이프>(1993)의 어니 그레이프(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브루클린으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1989)의 트랄라(제니퍼 제이슨 리) 등의 캐릭터를 참고했다. 여기에 내 안의 에너지를 더해가며 만들었다.

-영어, 이탈리아어를 구사할 뿐 아니라 초등학교 시절을 오사카에서 보내서 일본어에도 능하다고. <박열>의 일본어 대사를 직접 번역했다.

=<동주> 때와 마찬가지로 김인우 선배(재일동포 3세 출신의 배우로 <동주>에서 고등형사, <박열>에서 내무대신 미즈노를 연기했다.-편집자)와 일본어 대사를 번역했고 감독님과 최종 조율해나갔다. 이번엔 오사카에서 오랫동안 산 하쓰요 역의 윤슬 배우가 일본 자료 관련 저작권 검토를 맡아줬다.

-후미코가 어눌하게 조선말을 발음하는 게 상당히 그럴듯하다. 혹자는 일본 배우가 아니냐는 얘기도 하더라.

=후미코는 7년간 조선에 살았지만 조선 학교를 다니진 않았다. 한글은 몰랐을 것 같고 듣기 정도는 가능하지 않았을까. 들리는 대로 조선어 발음을 히라가나로 써보자 싶더라. ‘동거합시다’는 ‘동거하프시다’가 되는 식이다. 이거다! 싶었다. (웃음) 기술적으로 가장 고민이 많았던 부분인데 평가가 나쁘지 않아 마음이 놓인다.

-어린 시절부터 연기에 대한 열정이 남달랐다고.

=오사카 한인학교를 다니면서 연극 <심청전>의 심청 역으로 무대에 처음 올랐다. 그때 느낀 설렘이 상당히 오래갔다. 대학에 입학하자마자 연극 동아리에 들어갔고 그때부터 연극, 단편영화를 꾸준히 해왔다. 특히 영화 속 후미코와 같은 나이인 23살 때 UC버클리로 교환학생으로 가 1년간 4편의 출연작, 한편의 연출작을 무대에 올렸다. 오직 연기만을 생각했던 행복한 때다.

-어떤 역할, 작품을 만나고 싶나.

=선택지가 주어진다면 본인의 의지대로 살아가려는 여성 혹은 의지대로 살 수 없어서 투쟁하는 여성을 맡고 싶다. 넷플릭스 드라마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속 여성들처럼 진취적인. 혹은 이창동 감독님의 영화에서처럼 본인이 삶의 주인이 되고자 하는 여성들의 감정선을 따라가는 드라마도 좋다.

-이준익 감독님과 또다시 작업할 수도 있을까.

=감독님께 “여성배우들이 할 수 있는 역이 진짜 많지 않다. 내게도 다음이 없으면 어떡하나”라는 얘기를 많이 드렸다. 하루는 감독님께서 “여성 캐릭터들만 나오는 영화로 네가 한번 써보라”고 하시더라. 평소에도 박명신, 전혜진, 한예리 선배와 함께해보고 싶었다고 하니 감독님께서 “당연히 하면 좋지! 그런 현장에선 난 모니터만 보면 되겠네”라고 하시더라. (웃음) 오늘부터라도 당장 시나리오를 써야겠다.

영화 2017 <박열> 2016 <동주> 2015 단편 <과대망상자들> 2014 단편 <동心> <야누스> <접점> 2014 <사랑이 이긴다> 2013 <완전 소중한 사랑> 2012 <577 프로젝트> 2012 단편 <난자완스> 2011 단편 <마크의 페스티벌> 2010 단편 <그룹스터디> 2009 <킹콩을 들다> 연극 2014 <의자는 잘못없다> 2014 <사랑이 불탄다> 2013 <데스데모나는 오지 않아> 2011 <하녀들> 외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