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내 인생의 영화
강원국의 <스팔타커스> 장래희망은 바뀌었다
강원국(작가) 2017-08-09

감독 스탠리 큐브릭 / 출연 커크 더글러스, 진 시먼스, 로렌스 올리비에 / 제작연도 1960년

내 꿈은 영화배우였다. 초등학교 3학년까지 생활기록부 장래희망란에 그렇게 기록돼 있다. 그 시절은 그랬다. 한주 동안 <주말의 명화>를 기다렸다. 설날과 추석을 기다리는 이유도 극장에서 ‘특선영화’를 볼 수 있어서였다. <주말의 명화> 시그널 음악인 <영광의 탈출> 주제곡이 흘러나오면 지금도 설렌다. 영화에 관한 기억은 그만큼 강렬하다.

추석과 설날 말고 영화 볼 기회가 또 있었다, 바로 크리스마스다. 아버지가 큰맘 먹고 영화 <스팔타커스>를 보여주셨다. 커크 더글러스가 주연이었다. 로마의 폭정에 맞서 싸웠던 노예 검투사 스파르타쿠스 이야기다. 지금은 유명하지만 당시엔 초짜 감독이었던 스탠리 큐브릭이 연출을 맡았다. 그 시절엔 믿고 본다는 오스카상도 네개나 받았다.

당시 나는 초등학교 3학년쯤이었다. 어리지 않았다. 적어도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그 나이는 어리지 않다. 알 건 다 안다. 우선 여주인공 진 시먼스가 예뻤다. 멋진 대사도 가려낼 줄 안다. “로마 시민은 죽어서 즐거움을 잃지만, 노예는 죽어서 괴로움을 잃을 뿐이다. 따라서 우리는 승리할 것이다.” 커크 더글러스의 말은 지금도 생각날 만큼 인상적이다.

아버지가 내게 물었다. “영화 어땠니?” 나는 아버지의 기대를 알고 있었다. 교훈적인 장면이나 깨달음을 말해야 했다. 나는 이렇게 말했다. “수천명의 노예가 ‘내가 스파르타쿠스’(I’m Spartacus)라고 외친 장면이 감동적이었어요.” 로마 장군이 반란을 일으켰다 잡혀온 노예 앞에서 누가 스파르타쿠스인지 묻는 장면이다. 한명, 두명 ‘내가 스파르타쿠스’라고 외치기 시작해 마침내 모두가 자기가 스파르타쿠스라고 일어선다.

아버지는 감탄했다. 10살 넘은 우리 나이엔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것이었지만, 아버지는 놀란 눈치였다. 그리고 그다음주에 영화를 또 하나 보여주셨다. 헤밍웨이 원작의 <무기여 잘 있거라>. 영화를 보고 나서 아버지가 또 물으셨다. 이 역시 나는 답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왠지 정답을 말하기 쑥스러웠다. 반대로 얘기했다. “군인이 전쟁을 피해 도망치는 것은 비겁해요.” 아버지는 그 뒤로 영화를 보여주지 않았다. <스팔타커스>의 영광(?)이 채 일주일도 가지 못한 것이다. 나는 그렇게 답한 것을 후회했다. 장래희망도 바뀌었다. 아버지를 비롯한 주위 사람들에게 영화배우가 꿈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처지가 못 됐다. <스팔타커스>가 내 인생 최고의 영화, <무기여 잘 있거라>는 최악의 영화로 기억되는 이유다.

얼마 전 아들과 <노무현입니다>를 봤다. 영화배우의 꿈을 이룬 영화다. 아들에게 물었다. “영화 어땠니?” 아들은 ‘노사모’의 역사적 의미를 말했다. 나는 아버지가 내게 한 실망을 알 것 같았다.

아들아, 이렇게 말했어야지. “아버지가 나온 장면이 가장 인상적이었어요.”

강원국 작가. 전 청와대 연설비서관. <회장님의 글쓰기> <대통령의 글쓰기>를 썼고 <강원국의 글쓰기> 출간 예정.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