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국내뉴스
첩보공작은 자신을 위한 게임
2002-03-12

미 중앙정보국(CIA)의 베테랑 공작원 나단 뮈어(로버트 레드포드)는 정년퇴임을 맞아 마지막 출근을 하던 아침, 홍콩 미 대사관의 친구로부터 전화를 한통 받는다. 뮈어가 키운 중앙정보국 공작원 톰 비숍(브래드 피트)이 중국에서 공작 도중 무단이탈했다가 간첩 혐의로 체포당했다는 내용이다. 뮈어는 중앙정보국 최고위층과 정부 요원으로 구성된 대책회의에 불려간다. 대책회의는 비숍의 임무를 감춘 채 뮈어로부터 비숍의 무단이탈 동기를 캐려 한다. 이때부터 양편의 팽팽한 두뇌싸움이 시작된다. 토니 스콧 감독의 <스파이 게임>은 모처럼 만나는, 잘 짜여진 퍼즐 같은 오락영화다. 뮈어는 비숍의 극비공작에 대해 전혀 모르고, 대책회의는 비숍이란 공작원이 어떤 인물인지 잘 모른다. 서로 이가 하나씩 빠진 퍼즐 조각을 들고 사태의 진상을 캐들어가는 게 이 게임의 묘미다. 뮈어는 비숍과의 인연과 그의 성장과정 등 ‘비숍의 모든 것’에 대한 설명으로 시간을 끌며 오감을 다 동원해 비숍이 연루된 공작의 성격을 더듬어간다. 뮈어는 베트남전쟁 때 비숍에게 요인암살이란 특수공작을 맡기면서 그가 ‘뛰어난 보이스카웃’임을 직감적으로 알아챈다. 그는 이 보이스카웃을 세련된 공작원으로 길러내기 위해 냉전시기 공작원들의 집결소이던 베를린과 베이루트를 전전한다. 비정할 정도로 냉철한 공작원 뮈어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임무의 완수’다. 임무의 완수에 필요하다면 동료 공작원조차 수단이 될 수 있다. 뮈어가 비숍에게 가르친 건 가령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공작원이 둘 다 위험에 빠졌을 때, 한 사람을 포기해야 한다면 너 자신이 살아남아라. 남을 위해 목숨 걸지 말아라. 만년을 위해 돈을 모아라. 그걸 오로지 너 자신을 위해 써라.” 그러나 영화 속에서 이런 원칙들은 대개 발언자가 어기기 위해 등장하는 법. 비숍은 “사람의 목숨이 달린 이 모든 공작이 무슨 게임인 줄 아느냐”고 반발하고, 뮈어는 “그럼 이게 게임이 아닌 줄 알았느냐”고 답한다. 감독은 뮤직비디오처럼 경쾌한 발걸음으로 몇 가지 에피소드를 교차편집해 보여주며, 스파이 `사제'가 겪은 갈등과 우정을 크로키처럼 그려낸다. 냉전시기 미국이 동유럽과 중동에서 행한 정보 공작은 추악하게 그려지지도 미화되지도 않은 편이다. 냉전이 막을 내린 1991년을 배경으로 삼은 이 영화는 첩보전이란 껍질 아래 ‘말로 설명하는 대신 행동으로 보여주는’ 두 사내의 우정과, ‘목숨을 건 사랑’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 모든 걸 대사로 설명하는 대신, 영화의 이야기를 따라잡은 뒤 생각해보면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한 점이 이 ‘게임’의 또 다른 미덕이다. 15일 개봉. 이상수 기자lees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