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제54회 베를린국제영화제 결산 [1]

베를린, 젊은 영화를 껴안다

영화적 혁신성에 중점둔 평가

금곰상은 터키계 독일 감독 파티 아킨의 <헤드-온>

>> 장편영화 본상

황금곰상(최우수 영화상)  파티 아킨의 <헤드-온>(Gegen die Wand)

은곰상(심사위원 그랑프리)  데이비드 부르만의 <잊혀진 포옹>(El Abrazo Partido)

은곰상(최우수 감독상)  <사마리아>의 김기덕

은곰상(최우수 여우주연상)  <몬스터>(Monster)의 샤를리즈 테론, <마리아의 은총>(Maria, llena de gracia)의 카타리나 산디노 모레노

은곰상(최우수 남우주연상)  <잊혀진 포옹>(El Abrazo Partido)의 다니엘 엔들러

은곰상(예술공헌상)  비요른 룽에의 <데이브레이크>(Om Jag Vander Mig Om)

은곰상(최우수 영화음악상)  <첫사랑>(Primo Amore)(감독 마테오 가로네)의 반다 오시리스

알프레드 바우어상(베를린영화제 창설자 기념상)  조슈아 마르스턴의 <마리아의 은총>(Maria, llena de gracia)

블루엔젤상(AGICOA가 뽑은 최우수 유럽영화상)  비요른 룽에의 <데이브레이크>(Om Jag Vander Mig Om)

>> 단편영화 본상

황금곰상(최우수 단편영화상)  크리스티 푸이우의 <담배와 커피>(Un Cartus de Kent Si Un Pachet de Cafea)

은곰상(심사위원상)  카린 융어와 브리짓 힐레니우스의 <멋있어!>(Vet!)

독일 언론은 “올해 베를린영화제 수상 결과는 문자 그대로 센세이션”이라고 결론내렸다. 독일 기자들은 베를린영화제 집행위원장 디이터 코슬릭이 “황금곰상은 <헤드-온>(Gegen die Wand)에 돌아갔습니다”라고 발표한 순간, 미처 독일어 제목을 알아듣지 못한 타국 기자들을 앞질러 환성과 박수를 보냈다. 그러나 그 수상은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것이었고, 쓸쓸하게 돌아간 거장 테오 앙겔로풀로스와 켄 로치, 일찌감치 황금곰상 후보로 떠올랐던 <친밀한 이방인> <비포 선셋>에 비해 부족하다는 느낌이 없지 않았다. 아킨이 “내 영화가 베를린영화제에서 상영될 수 있기를 바라기는 했지만, 황금곰상을 타리라고는 결코 기대하지 않았다”고 말한 건 승자라면 누구나 보일 법한 겸손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헤드-온>은 독일영화지만, 함부르크와 이스탄불을 오가면서 찍었기 때문에 독일의 변방영화라고 할 수 있는 작품. 아킨은 “단지 자신이 살아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스스로에게 고통을 가하는 이들에 관한” 영화 <헤드-온>이 독일의 터키 공동체에 관한 편견을 바꿔놓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콜드 마운틴> <파이널 컷> 등 전혀 어울리지 않는 할리우드영화를 전시해 비판받은 올해 베를린영화제는 수상 결과에 있어서만큼은, 센세이션이라고 평가받았을지라도, 정치적 입장을 중시해온 영화제의 전통에 충실했다. 은곰상 심사위원 그랑프리를 받은 <잊혀진 포옹>은 홀로코스트를 피해 아르헨티나로 탈출한 유대인 가족의 자손이 그 뿌리에 다가서는 영화였고, 그 주변에 아르헨티나를 구성하는 다양한 이민족을 배치했다. “서로 멀리 떨어져 있던 아버지와 아들이 그 관계를 회복해가는” 이 영화는 비슷한 주제를 가진 미국영화 <뷰티풀 컨트리>가 지루하고 향수어린 풍경으로만 일관했던 것과 비교되어 더욱 높은 점수를 받았다. 베를린영화제가 경쟁부문 상영작을 발표하면서 밝힌 원칙 “고립과 이질감과 절망”이, <헤드-온>과 <잊혀진 포옹>을 비롯한 수상작 전반의 공기를 설명해줄 수 있을 것이다. 여우주연상과 알프레드 바우어상을 받은 <마리아의 은총>은 몸 안에 마약을 넣어 운반하는 콜롬비아 소녀들을 담았고, 감독상을 받은 <사마리아>는 너무 늦게 화해와 용서의 가능성을 찾은 부녀를 따라가는 영화였다. 반면 소재에서만은 역사와 정치를 결합한 듯 보였던 <뷰티풀 컨트리> <컨트리 오브 마이 스컬> 등이 젊고 반항적인 영화들 등 뒤에서 한숨을 쉬어야 했다.

이처럼 제54회 베를린영화제는 눈에 띄도록 젊은 영화들에 손을 들어주었다. 독일 일간지 <타게스슈피겔>은 1960년과 70년대생 감독들이 점령한 올해 수상작 리스트를 두고 “올해 베를린영화제는 스펙터클이나 장려함보다는 영화적 창조성에 중점을 두었다는 면에서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개막식과 폐막식이 열린 포츠다머 광장 주변을 점령했던 젊은이들도 그렇게 생각했을까? 폐막식이 열린 2월14일, 메인상영관인 베를리날레 팔라스트 주변엔 열흘 전 개막식 때와 마찬가지로 독일 정부의 복지예산 삭감에 항의하는 대학생들이 시위를 벌이고 있었다. 코슬릭 위원장은 행사를 진행하기 위해서 마이크를 들고 젊은이들을 설득해야만 했다. 노장에겐 경의를 표했고, 젊은 감독에겐 미래를 선물했던 베를린영화제. 그러나 식장 주변 추운 거리에선 영화와 삶 사이의 아득한 거리를 발견할 수 있었다.

>> 베를린의 말, 말, 말

“다이앤 키튼? 아주 좋았다. 침대에서 옷도 잘 벗고.”

-잭 니콜슨,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아까운 것들>에서 전신 누드를 보인 파트너 다이앤 키튼과 연기한 느낌이 어땠는지를 질문받고.

“내 목표는 유럽영화제에서 상을 타지 않는 거다. 상을 타는 순간 내 영화는 스탠더드한 것이 되어버릴 것이다.”

-<사마리아>의 김기덕 감독, 감독상을 타기 전 베를린에서 열린 기자회견 도중.

“상을 받은 뒤에 베를린에서 같은 질문을 받았다. 그때 나는 그건 감독상이 아니라 작품상을 말한 거였다고 농담처럼 이야기했다. 지금은 위선적인 발언이 되어버렸지만.”

-<사마리아>의 김기덕 감독, 감독상을 타고 난 뒤 서울에서 열린 기자회견 도중.

“정말 고맙다. 이건 내가 처음으로 받은 공식적인 찬사다. (울먹) …잠깐만, 너무 감정이 복받쳐서… 흑!”

- <뷰티풀 컨트리>의 한스 피터 몰랜드 감독, 이 영화가 매우 많은 이야기를 농축하고 있고 아름답다는 한 기자의 칭찬을 듣고.

“사람들은 내 영화를 보고 나서 맥주를 마시러 가는 대신 집에 돌아가 아이들을 안아주었다고 이야기했다. 나는 바로 그런 영화, 우리 삶을 담은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

-<데이브레이크>의 비요른 룽에 감독, 영화를 만들고 나서 가장 기뻤던 순간을 이야기하며.

“귀벤은 나를 만나게 돼서 정말 기뻤고, 나와 함께 일할 수 있어서 행복했고, 모든 것이 좋았다고 말했다. 진짜다.”

-<헤드-온>의 파티 아킨 감독, 터키 배우가 터키어로 말한 내용을 통역해주면서.

“다른 사람들은 모피를 입지만, 난 내 자신이 모피다.”

-몸에 털이 많기로 유명한 <파이널 컷>의 로빈 윌리엄스, 기자회견에 나와 이런저런 농담 끝에.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