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막장드라마의 모든 것] 쪽대본 모르면 말을 마~
이화정 2009-01-20

막장드라마 범람 낳은 드라마 제작 환경 변화

‘이대로 가다간 연속극만 보게 될지 모른다.’ 드라마계 내부에서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진다. 2006년 한류 붐을 타고 드라마들이 대형화됐지만, 정작 시청률과 해외수출은 준 상태다. 경기침체로 광고 단가가 동결되면서 참신한 기획의 미니시리즈는 제작에서 1순위로 제외되고 있다. 시청률을 담보하는 독한 일일드라마, 이른바 막장드라마의 범람은 지금 드라마 제작 환경의 결과물이다.

1. 눈먼 돈들의 도시

<태왕사신기>

일조를 한 건 역시 한류라는 ‘거품’이다. <겨울연가>와 <대장금>의 성공사례는 방송가에 장밋빛 미래라는 신기루를 낳았고 일종의 투기성 자금을 유입시켰다. 한류 부가가치를 노린 각계의 ‘눈먼 돈들’이 유입되면서 드라마의 덩치가 점점 커졌다. 대표적인 경우가 ‘욘사마 열풍’을 등에 업고 제작된 <태왕사신기>다. 그러나 400억원의 제작비를 쏟아부은 이 대형프로젝트는 그저 상징적인 존재에 그쳤다. 제아무리 욘사마가 나온다 해도 ‘남의 나라의 고대사’까지 신경 쓸 한류팬들은 없었다. <겨울연가>에 열광했던 시청자가 등을 돌렸다. 수출부진으로 제작사인 김종학 프로덕션의 부도설이 나돌았고 스탭과 배우들의 임금체불이 가시화됐다.

<이산>과 <베토벤 바이러스>의 선전으로 위기가 일단락됐지만, 지난 한 해 김종학 프로덕션의 손실은 74억원에 이른다. 비단 김종학 프로덕션뿐만 아니라 초록뱀 미디어, 예당엔터테인먼트 등 외주제작사들이 적자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한류드라마 최대 수출국이었던 중국의 경우, 2005년 전체 드라마 수입 중 31%를 차지하던 한국 드라마의 비중이 지금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태왕사신기>의 실패가 한국 드라마에 끼친 영향은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이 한국영화에 끼친 해악과 같은 수준이다”라는 한 방송관계자의 말은 한국 드라마의 위기를 잘 표현해준다.

2. 시청률에 희생당하는 드라마 퀄리티

<베스트극장>

최근 지상파 3사의 드라마 편성축소는 지금 드라마가 처한 위기를 잘 보여준다. KBS2는 일일드라마를, MBC는 주말특별기획드라마를, SBS는 금요드라마를 폐지했다. 단순히 드라마 세편에 불과하지만 1년에 10편 정도의 드라마 제작이 줄어든 셈이다. 외주제작자들에게는 경영악화를 불러오는 직격탄인 셈이다. 뉴스와 다큐멘터리 등 공익방송으로서의 뚜렷한 가치를 인정받는 프로그램들과 달리 오로지 수익성으로만 평가받는 드라마는 불황의 그늘에서 제 목소리를 내기가 힘들다. <MBC 스페셜>이 없어지면 공영방송의 위기를 논하지만, <베스트극장>이 없어지는 것은 그저 드라마 한편이 없어진 정도로 치부하는 것이 현실이다. 광고비를 벌어줄 드라마가 시청률에서 부진을 면치 못한다면 얼마든지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지금의 논리다.

방송 40년 역사상 최악의 불황이라는 시기, 방송사들이 택한 방식은 적극적인 개선이 아닌 ‘대응’에 불과하다. “존폐에 위협이 왔는데 퀄리티만 고수할 수는 없다. 광고를 늘리기 위해서라면 퀄리티도 포기할 수 있다. 지금은 약을 써야 하는 시기다. 이 약이 아무리 독해도 효과가 있다면 써야 한다. 지금은 살아남기 위해 시청자의 반응을 테스트하는 단계다.” SBS 구본근 드라마국장은 시청률을 담보한다면 막장드라마의 양산도 지금의 위기에서는 어느 정도는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막장드라마는 경제위기, 강퍅해진 시청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극약처방인 셈이다. 회당 5천만원이면 제작하는 단막극이 참신한 기획을 낳고, 장르의 개발과 신진 PD 배출의 장이 되는 드라마 제작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지만 드라마 미래를 위한 투자는 무시되는 것이 지금의 드라마 제작 현실이다.

3. 제2의 배용준 만들기

<에덴의 동쪽>의 송승헌

“더이상 거짓된 연기를 하고 싶지 않다.” <에덴의 동쪽>의 혜린 역 이다해가 방향을 잃고 축소되는 캐릭터에 불만을 토로하며 중도하차를 선언하고 나선 것은 지금 드라마 제작현실의 부실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개연성없는 설정과 대사로 혜린은 시청자의 불만을 산 캐릭터다. 캐릭터가 제대로 살지 못하니 배우의 연기 역시 논란에 오르게 되었다.

드라마에 출연할 때 배우들은 영화처럼 시나리오가 완성된 상태에서 연기를 하는 것이 아닌 쪽대본과 씨름을 해야 한다. 캐릭터에 대한 완전한 이해보다 그날 나온 대본에 따라 감정을 잡고 연기를 해야 한다. 다소 설정이 납득이 가지 않더라도 주어진 상황에 따라 연기를 해야 한다. <너는 내 운명>에서 주인공 ‘새벽’의 시어머니로 다소 과장된 악역을 선보이는 양금석은 “캐릭터의 변화를 모두 이해하고 납득하고 찍으려면 촬영하기 힘들다”라며 드라마 연기의 한계를 토로한다.

이다해가 맡은 혜린은 이같은 연속극 속의 캐릭터라는 한계와 더불어 한류스타 양산이라는 또 한 가지 과제와 맞물려 탄생한 변질 캐릭터다. 지금은 배용준을 필두로 한 이병헌, 이영애 등의 한류 1세대 배우들을 이을 제2의 한류스타가 필요한 시점이다. <에덴의 동쪽>의 송승헌은 2세대 한류스타의 탄생을 짊어진 기대주다. <겨울연가>의 순정파 욘사마의 신화를 계승하기 위해서는 송승헌의 애정관계 역시 혜린과의 삼각관계를 배제하고 영란(이연희)을 향한 지고지순함을 확립해야 한다. MBC 연기대상에서 송승헌이 김명민과 함께 공동대상을 수상한 것 역시 한류배우를 키우기 위한 전략적인 장치로 보인다.

4. 미니시리즈 설 자리를 잃다

“최근 3년간 지상파 3사에서 방송한 미니시리즈 84편 중 수입을 올린 작품은 20여편에 불과하다. KBS2가 미니시리즈의 제작 폐지를 운운하는 것도 잇단 시청률 부진에서 비롯된다.” 드라마 PD협회 회장인 MBC 드라마국 이은규 책임프로듀서는 미니시리즈의 제작감소에서 현재 닥친 드라마의 위기를 점친다. 외주제작사의 출현과 함께 PD, 작가, 배우들의 몸값이 올라가면서 드라마 평균 제작비는 배 이상 증가했지만, 광고비는 오히려 감소했다. 방송사로서는 매 작품 편당 30억~40억원에 이르는 적자를 떠안아야 하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방송사들은 이미 기획이 확정된 대형프로젝트들은 제외하고라도 앞으로 제작되는 드라마들의 제작비를 줄이고 있다. 제작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기획 미니시리즈 대신 일일연속극과 사극같이 안정적인 시청률을 보장해주는 드라마가 각광받는 추세다. 그러나 대형사극은 일과적인 장르고, 연속극은 후진적인 장르라면, 장르의 발전을 보여주는 가장 완성된 형태는 미니시리즈라는 것을 고려해 본다면 이는 명백히 한국 드라마의 일보후퇴를 의미한다.

5. 악화된 시스템이 낳은 기형아

<쩐의 전쟁>

제작비 급상승의 주원인은 ‘박신양 사태’에서 붉어진 스타의 몸값이다. 제작비의 60%를 넘는 배우 개런티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제작비 축소 움직임이 일었지만, 박신양은 <쩐의 전쟁>의 편당 출연료 1억7천만원을 고수했다. 결국 드라마제작사협회가 고액 출연료를 빌미로 박신양의 무기한 출연 금지령을 선언하고 나섰다. 2001년 강수연이 <여인천하>에서 편당 400만~500만원의 출연료를 받았다면 <태왕사신기>의 배용준은 회당 2억5천만원, <에덴의 동쪽>의 송승헌은 편당 7천만원, 최지우는 회당 4800만원의 개런티를 받는다. 불과 몇년 사이 개런티가 천정부지로 치솟은 것이다. 방송사로서는 출연료에 대한 부담이 드라마 제작비 급상승의 주요 원인이라고 판단했고, 톱A급 스타를 써야 하는 미니시리즈 대신 잘 알려지지 않은 신인배우들이라도 무리가 없는 일일드라마 형태로 제작비 상승의 위기를 모면하려고 한다. 그 결과 시청자는 ‘발로 연기해도 이것보다 낫겠다 싶을 정도’의 숙달되지 않은 거친 ‘발연기’를 감내해야 한다. 결국 발호세의 탄생은 기형적인 제작시스템이 탄생시킨 최악의 결과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