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내 인생의 영화
영화, 몽상을 배설하는 통로, <트로미오와 줄리엣>
2002-05-29

과거 고시원에서 숙식을 하며 지내던 시절이 있었다. 그때만 해도 글을 쓰는 재미에 푹 빠져 하루종일 글을 쓰거나, 일기를 쓰거나, 책을 읽거나 하는 것이 하루의 소일거리였다. 영감이 안 떠올라 답답하게 되면 가끔 가다 친구랑 제대로 공연 한번 못해보고 밴드를 하겠다고 다녔던 시절이 떠올라 홍대 록카페 스핑글이나 롤링 스톤즈, 프리버드 등에 들러 밴드 공연을 보기도 하였다.

그러나 나는 이후 영감과 감수성을 드러내는 일보다는 기획과 관련된 일을 하게 되었다. 이 종이 한장의 차이로 ‘몽상가’로서의 나를 잠시 접어두어야 했고, 내가 글을 통해 배설했던 ‘몽상’은 영화가 그 자리를 대신 메우게 되었다. 현실에서 볼 수 없거나 이룰 수 없는 몽상의 고리들이 그나마 영화로 사적 배설의 통로가 제공된 것이다.

〈트로미오와 줄리엣〉은 이러한 갈등의 장벽에 놓여 있던 시기에 보게된 작품이다. 답답한 마음에 비디오숍에 들러 비디오를 고르고 있던 중 〈킬러 콘돔〉을 제작한 트로마의 새로운 작품 〈트로미오와 줄리엣〉을 만나게 되었다. 비디오 케이스만 봐도 무언가 긴장감 해소와 내면의 일탈을 실현해줄 수 있을 거 같은 느낌에 들뜬 마음이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놀이공원에서 88열차를 타기 전 맘을 졸이던 기분이라고 할까. 역시나 기존 바즈 루어만 감독의〈로미오와 줄리엣〉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의 파격과 카타르시스로 찌든 피엔 활기의 꽃이 피어났다. 〈트로미오와 줄리엣〉은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과 바즈 루어만 감독의〈로미오와 줄리엣〉을 패러디한 영화이다. 400여년 동안 비극의 대명사였던 이 작품을 희극으로 바꿔놓은 사실만으로도 현실에서의 일탈을 꿈꾸는 자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작품이다. 원수지간인 큐 가문의 트로미오 큐와 카퓰렛 가문의 줄리엣 카퓰렛은 서로 사랑하는 사이지만, 사디스트인 줄리엣의 아버지는 돈만 많은 아버클이라는 어벙벙한 남자와 정략 결혼을 시키려한다. 줄리엣은 얼굴이 괴물이 되는 비약을 먹고 구사일생 그 상황을 모면하게 되고, 알고보니 씨다른 남매였던 트로미오와 아들딸 낳고 잘살게 된다.

이 영화는 사회가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코드에 대해 낙천적이며 자유방임적이다. 우리가 갖고 있는 ‘새로움’에 대한 두려움은 교육과 관습을 통한 절대규율과 사지선다형의 사고제한 때문이다. 행사를 기획하고 지원을 받기까지 ‘새로움’에 대해 경직되어 있는 사람들을 설득하고 달래고 꼬드기는 과정은 머리에 쥐가 날 만큼이나 힘들고 버겁기까지 하다. 그 과정에서 타협의 경계는 항상 상업성과 연관이 되고, 좌절되는 횟수만큼이나 기획문서는 반쪽으로 정리되거나 폐기처분된다. 문화의 다양성을 꿈꾸는 이에게 사회는 냉정하고 완고하다.

사회는 가느다란 밧줄을 타는 곡예사처럼 불안정한 인간의 심리를 이용하여 일률적인 것을 강요하는 절체절명의 이론과 감춰진 폭력으로 연약한 나비일수록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더 짓밟으려 한다. 그것이 생존경쟁이라는 감투에 속해져 있는 것이라면 환상과 몽상으로 일탈을 꿈꿔보자. 내가 아마도 이 일에 매달리는 것은 나 역시 가지고 있는 꿈과 ‘새로움’에 대한 목마름을 영상이라는 가상현실로 실현하고 싶어서일 것이다. 또한 그들과 함께 공유하고 싶어서일 것이다.

괴기스럽지만(?) 숨겨진 인간의 본성과 본능을 유쾌하게 표현한 〈트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사회로의 일탈과 몽상을 한번 실현해봅시다.

관련영화

글: 김연호/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프로그래머. 일명 ‘호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