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커버스타
[인터뷰] 아스팔트 위에 핀 장미, <스위트홈> 시즌2 진영
정재현 사진 최성열 2023-12-20

<스위트홈> 시즌2의 뉴 페이스는 배우 진영이다. 그가 분한 이등병 찬영은 괴물화 사태가 터지자마자 괴물 처리를 전담하는 까마귀부대에 자원 입대해 생존자들을 구출하는 정의로운 남자다. 작품을 연출한 이응복 감독이 찬영에 대해 “진영을 두고 만든 캐릭터다”라고 공언했을 만큼, 진영은 그 어떤 배역보다 자신과 높은 싱크로율을 자랑하는 캐릭터를 만나 백방으로 뛰며 쑥대밭 세상 속 미약한 인류를 구한다.

- <스위트홈> 세계관에 새로 합류한 소감은.

= 시즌1을 정말 재밌게 봤다. 당시 시청자로서, 또 배우로서 <스위트홈>을 보며 내가 저 세계 안에 있으면 어떤 모습일까를 그려보기도 했는데, 마침 캐스팅 제안이 와 기분이 좋았다. ‘어떤 캐릭터일까?’ ‘나는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매일 기대하며 촬영을 기다렸다.

- 이응복 감독과 촬영 전 미팅을 가졌다고 들었다.

= 캐릭터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눴다. 찬영이 어떤 삶을 살다 까마귀부대에 입대했는지 들려주며 찬영을 향한 감독님의 기대와 바람을 얘기하셨다. 그날 이후로 캐릭터 빌딩에 들어갔다. 찬영의 외형도 그날 정했다. 가령 찬영은 군복 조끼 속에 휴대용 숟가락과 손전등을 지참하고 다닐 정도로 꼼꼼하고 섬세한 캐릭터다. 이같은 디테일을 통해 찬영의 모습을 내면화해갔다.

- 찬영이 보여주는 친절함이 있다. 생존자들의 손목에 묶인 결박 끈을 풀 수 있도록 조치한다거나, 어둠을 무서워하는 영수(최고)와 함께 소변을 누며 아이의 공포를 달래주는 장면을 보면 자신보다 약한 이들을 절대 그냥 넘길 수 없는 찬영의 모습이 드러난다.

= 찬영의 성정을 한 단어로 요약하자면 인류애일 것이다. 눈앞의 생존자가 괴물일지도 모르는 긴박한 상황에서도 최대한 평정심을 유지한 채 인류를 지켜내야 한다는 신념이 올곧은 사람이다. 찬영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청자들은 위기가 쏟아지는 스토리 속에서도 한숨 쉬어갈 수 있다. 카오스 속에서도 바른 생각을 보여줄 수 있는 캐릭터라 찬영을 ‘아스팔트 위에 핀 장미’라 상정하고 연기했다. 악다구니 같은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다른 캐릭터들과 대비를 보이는 것이 핵심이었다.

- 대비를 염두에 두었다지만, 모두가 드센 연기를 하는 와중에 혼자 다른 톤을 견지하는 일이 우려되지는 않았나. 게다가 극 초반에 등장하는 생존자들은 이미 전작에서 한 차례 호흡을 맞춘 배우들이다.

= 찬영은 다른 캐릭터들과 생존 목적이 다르다. 괴물화 사태에서 사람들을 지키고 이송해야 하는 하나의 목적을 외골수처럼 고수하는 인물이라 홀로 튀는 게 당연하고 맞다고 판단했다. 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이미 <스위트홈> 세계관이 익숙한 시즌1 출연배우들과 내가 잘 섞일 수 있을까를 많이 걱정했다. 그리고 실제로 촬영 초반에 외롭기도 했다. 나를 제외한 배우들은 서로 익숙한 사이인 데다 심지어 시즌1과 동일한 의상을 입고 있다 보니 오히려 내가 출연배우가 아닌 시청자로서 드라마를 보고 있는 듯한 기분도 들었다. 다행히 좋은 배우들을 만나 점차 섞이는 데 문제가 없었다. 은유 역의 고민시 배우는 정말 배려심이 넘친다. 내가 힘들고 외로워할 걸 미리 안다는 듯이 현장에서 많은 부분을 챙겨주었다.

- 고민시 배우를 향한 헌사를 들으니 은유와 찬영의 묘한 케미스트리를 기대하지 않을 수 없다.

= 예고를 하자면 찬영이 형성하는 몇 갈래의 러브라인은 시즌3까지 이어진다. 찬영은 하나의 목표를 향해 돌진하는 성격이다. 그래서 오빠 은혁(이도현)을 찾겠다는 일념을 고집하는 은유에게서 동질감을 느꼈을 것이다. 딱 잘라 이성간의 사랑이라 정의할 수 없는 감정도 둘 사이에 흐른다. 전우애와 사랑의 중간이랄까.

- 전우애는 은유와 함께 흙구덩이에 빠지는 4화부터 쌓였을 것 같다. 동료 배우로서도 말이다.

= 찬영에게 그 신이 정말 중요하다. 은유가 처음으로 찬영에게 의지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배우로서 그 신이 기억에 남는 이유는, 정말 힘들게 찍었기 때문이다. 현장에 가니 실제로 구덩이가 깊게 패 있었다. 구덩이 안을 보니 말 그대로 진흙탕이고, 장면간 연결을 고려하며 얼굴과 몸에 진흙을 잔뜩 묻힌 채 며칠을 연기했다. 실제 찬영과 은유처럼 고생해가며 장면을 만들었고, 서로 수고 많이 했다며 독려했다.

- 결국 <스위트홈> 시즌2에서도 변함없는 주제는 “무엇이 인간을 인간으로 만드는가?”이다. 괴물화로부터 인간을 수호하며 괴물과 인간 모두를 끊임없이 마주해야 하는 찬영도, 그를 연기한 배우 진영도 작품의 주제의식에 부합하는 고민을 했을 것 같다.

= 살면서 어떤 일에 혈안이 돼 미쳐 있는 사람을 보면 “괴물이 됐다”고 표현하지 않나. 그 말과 우리 작품의 주제가 닿아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을 괴물로 만드는 과도한 욕심들이 있다. 나 또한 한번 일을 시작하면 쉬는 법을 잘 모르고 마구 일만 하는 사람이라 ‘적당히’가 잘 없다. 찬영을 연기하며 내 욕망에 잡아먹히지 않아야겠다는 다짐을 수차례 했다. 쉴 타이밍을 잘 확보해 쉬고, 오래 할 취미도 찾아야겠다.

- 입영 전 배우로서 동안 이미지에 한계가 있다는 고민을 토로한 적 있다. 그런데 정작 소집해제 후 <경찰수업>의 경찰대생 강선호, <스위트홈> 시즌2의 이등병 찬영까지 나이 어린 배역을 독점 중이다.

= 이젠 동안 이미지가 나의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성숙한 배역에 눈길이 갔었는데 실제로 나이를 먹다 보니(웃음) 할 수 있을 때까지 어린 배역들을 소화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배우로서 역할의 폭을 넓히고 싶은 마음은 변함이 없다. 늘 이전 작품의 연기에 관해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때 이렇게 연기해볼걸’, ‘지금 이 감정으로 그때 그 배역을 다시 만나면 연기가 달랐을까’ 하는 생각들 말이다. 다양한 캐릭터를 만난다면 배우로서 연기에 접근하는 방법을 늘려갈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든다.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