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JIFF Daily > 제 25회(2024) > 2024 전주국제영화제
JEONJU IFF #2호 [인터뷰] '쿨리는 울지 않는다' 감독 팜응옥란, “시간의 절대적 방향성을 존중하고자 했다”
박수용 사진 오계옥 2024-05-04

오랜만에 고국에 돌아온 응우옌(민 쩌우)에게 현대의 하노이는 어색하다. 결혼을 준비하는 조카 반(하 푸엉)의 단순한 삶의 태도는 더욱 이해할 수 없다. 반이 백화점과 지하철을 오가며 오늘을 살아가는 사이 응우옌은 추억이 담긴 장소들을 방문하며 먼 과거를 더듬는다. 영화는 어떠한 사념도 없이 응우옌의 순례에 차분히 동행한다. 옛 노래의 빛바랜 음색을 통해, 흑백의 거친 촉감을 통해, 쿨리의 신비로운 눈을 통해 그녀의 깊은 회한을 감각한다. 팜응옥란 감독은 개인의 기억과 베트남의 현대사를 우아하게 엮어낸 장편 데뷔작 <쿨리는 울지 않는다>를 들고 전주국제영화제 국제경쟁 부문에 초청됐다. 진중한 눈빛으로 시간과 공간을 바라보는 팜응옥란 감독의 이야기를 전한다.

- 공간, 인물, 사건 등에서 이전에 제작한 단편들과 느슨히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 처음 영화를 만들어야겠다 마음먹은 때가 2016년이다. 그때부터 <쿨리는 울지 않는다>의 제작을 준비하며 다른 단편영화 두세 편의 각본을 병행 집필했다. 촬영 또한 장편 제작을 위해 공간을 물색하는 과정에서 다른 단편들을 찍은 것이라 보면 되겠다.

- <쿨리는 울지 않는다> 속 하노이는 응우옌이 거니는 구시대적 공간과 조카 반이 누비는 현대적 공간으로 양분된다. 본인이 실제로 체험하는 하노이의 모습을 반영한 설계인가.

= 영화 속 공간의 설계는 개인적인 경험과 각본상의 필요성을 조합하는 과정이다. 나는 하노이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도시 속 여러 공간에 대한 추억이 많다. 각본을 쓰며 특정 장면의 배경을 상상하면 자연스레 나의 기억 속 장소들 중 하나가 떠오른다. 하노이 바깥의 로케이션도 대부분 이전에 한 번 이상 가본 곳들이다.

- 영화의 차분한 태도와 걸맞은 흑백 연출이 인상적이다. 하지만 초기 기획 단계에서는 컬러 촬영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고.

= 프리프로덕션을 마무리할 때까지만 해도 컬러로 진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촬영을 앞두고 배우가 사고를 당하는 바람에 한동안 전체 진행이 멈출 수밖에 없었다. 정해진 일정을 넘기면 투자금이 사라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세트 등의 제작 비용이 덜 드는 흑백 연출을 선택하게 되었다. 물론 단순히 흑백 필터를 덮어씌운 건 아니고, 흑백의 색감에 맞추어 각본 전체를 재작성했다. 그 과정에서 영화 속 시간의 흐름이 멈춘 듯한 감각을 구현해 보고자 하는 욕심을 갖게 되었다. 더불어 90년 전 베트남의 고전 영화들을 떠올리게 하는 질감도 표현해 보려 노력했다.

- 시간의 흐름을 강물로 은유하는 등 그간 꾸준히 베트남의 역사 속 시간의 유동성에 천착해 왔다. 시간의 개념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있을까.

= 어렸을 적 할머니랑 함께 잔 기억이 많다. 내게 항상 ‘Thiên Thai’(천국)라는 이름의 자장가를 불러주셨는데, 영화에서 응우옌이 방문한 클럽에서 흐르는 바로 그 노래다. 가사에는 두 명의 화자가 나온다. 천국 같은 섬에서 살다가 고향에 돌아왔더니 이전에 살던 세계에 비해 이곳의 시간이 너무 느리거나 빠르게 흘러간다는 내용이다. 영화 속에서도 그런 시간의 상대적 감각을 표현하고 싶었던 것 같다. 영화 속 세계가 실제와 한없이 가까워질 때 시간이 어떻게 흐르는지, 또 꿈과 가까워질 때는 어떻게 감각되는지 양측을 오가며 담아보고자 했다.

- 자연의 풍경과 소리를 긴 호흡으로 담는 장면들이 마치 다큐멘터리와 같은 인상을 준다. 평소에도 다큐멘터리에 대한 관심이 있나.

= 원래는 건축을 전공했었다. 이후 영화로 전향하는 과정 중 다큐멘터리 제작을 먼저 공부하게 되었다. 다큐멘터리 스타일의 촬영은 대상의 실제 인상을 가장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작법이라 생각한다. 때문에 극영화 속 세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에 요긴하게 활용한다. 영화 속 세계가 내내 개인적이고 상징적인 영역에 치우치는 것도 적절하지 않고, 실생활에 온전히 밀착하는 것도 지양하려 한다.

- 응우옌은 자주 과거를 추억하지만, 영화는 그녀의 전사를 플래시백으로 보여주는 대신 보이스오버로 들려주는 방식을 취한다. 지나친 주관적 감상에 빠지지 않으려는 마찬가지의 이유에서일까.

= 한 번 흘러간 시간은 돌아오지 않는다는 법칙의 절대성을 존중하고자 했다. 때문에 영화는 그녀의 회한에 직접 진입하지 못하고 그저 경청할 수밖에 없다.

- 영화 속 세계가 꿈과 현실 사이에서 중용을 지키는 것처럼, 영화는 각 세대의 가치관의 우열을 함부로 판단하지 않는다. 세상을 바라보는 당신의 중립적이고 관조적인 태도는 무엇에서 기인하나.

= 베트남의 한 자연과학 교수님이 하신 말씀이 있다. 본인은 너무 부유하지도 않고 너무 가난하지도 않은 환경에서 성장했는데 그 덕분에 가난한 자의 마음도 이해할 수 있고 부유한 자들의 생각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로부터 언제나 중간자의 역할을 자처하며 세상을 온전히 받아들이려 노력하는 마음가짐을 배웠다.

- 반에게 왼쪽 손이 없다는 사실은 이야기의 흐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심지어 그녀의 손에 대한 언급조차 찾기 힘들다.

= 우리는 항상 다양한 배경과 계층의 인물을 그리고자 하는 마음으로 영화를 제작한다. 그리고 그들을 최대한 있는 그대로 표현하려 노력한다. 나이 드신 분은 사회적 책임에서 해방되어 자유를 누릴 것이고, 어린아이는 순수한 대사를 읊을 것이다. 그런 자연스러운 풍경 속에서 장애인들도 그들 본연의 모습으로 존재했으면 했다. 캐스팅 때에도 반의 장애 유무는 전제 조건이 아니었다. 반을 연기한 하 푸엉을 처음 만났을 때 그녀는 그저 패션과 연기에 관심이 있는 고등학생이었고, 푸엉이 요가를 하는 모습에서 반의 이미지를 발견했기 때문에 캐스팅하게 되었다. 촬영 시에도 카메라가 절대 반의 손을 의식하지 않도록 했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쇼트들은 반을 여느 사람과 다르지 않게 무심히 바라볼 뿐이다.

- 베트남 정글에 서식하는 야생동물 쿨리가 응우옌의 동반자로 등장한다. 많은 동물 중 어째서 쿨리를 택했는지 궁금하다.

= 쿨리라는 동물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눈이라 생각한다. 동그랗고 초롱초롱한, 풍부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눈이다. 특히 응우옌 역의 민 쩌우 배우의 눈과 쿨리의 그것이 닮았다 느낀다. 어린 시절 민 쩌우 배우가 나오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 커다란 스크린에 담긴 그 분의 눈은 오랫동안 내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후에 영화를 만들며 자연스레 민 쩌우를 캐스팅하게 되었고, 쿨리의 눈을 보면서도 어릴 적 기억을 떠올리지 않았나 싶다.

쿨리는 울지 않는다

쿨리는 울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