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마릴린 먼로 사망 40주년,먼로는 시대를 어떻게 반영했나 (2)
2002-08-16

그리고 할리우드는 먼로를 창조했다

컬러와 와이드 스크린이 제조한 스타먼로가 영화계에서 활약하기 시작한 그 시기에 할리우드는 컬러와 와이드스크린이라는 기술적 혁신으로 TV에 대항하려 했다. 이미 1947년에 대량생산되기 시작한 TV는 1948년에 100만 세트가 보급되고 1960년에는 전 가구의 90%가 TV 수상기를 갖게 된다. 늙고 지쳐 보이는 직업 정치인 닉슨이 젊고 지적인 케네디를 당할 수 없었던 것도 다 TV 토론 때문이라는 것은 이제는 상식에 속한다. 먼로는 바로 이 시기에 스타덤에 올랐다. 먼로의 시대에는 아직 베트남 전쟁도, 뉴 레프트도, 히피도, 대중적인 우먼 리브(여성해방)도 존재하지 않았다. 여성운동의 성과를 10년이나 후퇴시켰다고 마돈나가 비난받게 되는 것은 먼 훗날의 얘기다. 먼로가 살았던 미국의 당대는 그 이후인 60년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안정된 번영기였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땃벌레니 백골단이 하는 우익 깡패 집단이 국회의 해산을 요구하면서 폭력을 휘두르고 있었다. 그리고 먼로의 죽음에 못지않은 의문사들이 숱하게 생겨나서 80년대까지도 끊이지 않았고 지금에도 그 의문은 풀리지 않고 있다. 이런 식으로 먼로의 시대를 읽는 것은 너무 거친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우리가 먼로를 핀업 걸로 직접 소비한 것이 아니라 섹스 심벌이라는 ‘풍문’으로만, 그것도 대개 사후에 추수적으로 수용했다는 점이다. 한국전쟁 직후에 먼로가 한국을 방문했다지만 먼로에게 열광한 이는 미군 G.I.들이었다. 마릴린 먼로가 전세계적으로 유명해진 것은 미국이라는 나라 자체의 힘, 그리고 또 미국 대중문화의 힘 때문이기도 하지만, 일차적으로는 이차대전 이후 전세계에 주둔하게 된 미군 G.I.들 덕분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런 배경에서 먼로는 미국과 전세계 대중문화의 가장 대표적인 아이콘이 된 것이다. 먼로가 우리나라에서 핀업 걸로 수용되지 않은 이유는 우리의 이미지 소비의 전통 내지는 패턴과도 관련이 있다. 우리는 사진이라는 미디어를 통해 섹슈얼리티를 대중적으로 탐구하거나 소비하지는 못했다. 여기서 사진이라고 하면 주로, 고급스런 종이에 제대로 인쇄된 잡지나 캘린더의 사진을 뜻하는 것인데, 우리의 소득 수준이나 검열의 완강함이 사진 이미지의 대중적 소비를 허락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미지의 소비에 있어서 사진을 건너뛴 채 TV로 이행한 것이고, 90년대 초중반의 영화 르네상스를 거치자마자 곧바로 인터넷이 도래한 것이다. 한국만큼 동영상을 선호하는 나라도 없을 것이다. 김지미나 문희가 여전히 최고인 줄 아는 세대와 인터넷의 IJ를 즐기는 세대가 공존하는 우리나라에서 핀업 걸 출신 먼로는 뭔가 비현실적이라는 느낌을 준다. 먼로가 죽자마자 앤디 워홀(1928∼87)은 잽싸게 1952년작 <나이아가라>의 홍보용 사진에서 먼로의 얼굴만을 오려낸다. 1962년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워홀은 계속해서 먼로의 얼굴을 가지고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작품을 제작해냈는데, 제작이라기보다는 대량생산이란 말이 더 적합할 듯하다. 먼로의 얼굴은 때로는 오렌지색으로 때로는 분홍색으로 때로는 흑백이 뒤집힌 채 때로는 수십개의 그리드 안에 복제되어서 작품으로 만들어졌다. 심지어 워홀은 먼로의 입술만을 한번에 200여개나 복제하기도 했다. 워홀이 먼로 얼굴에 주목하기 전에, 팝 아트의 소재는 주로 수프 깡통, 코카콜라, 광고, 만화 등이었는데 먼로 얼굴을 오려다 쓰면서부터 워홀은 세계적으로 잘 나가는 작가가 되기 시작했다. 워홀 이래로 신디 셔먼이나 모리무라 야스마사, 조 레너드 같은 아티스트들이 먼로의 포즈나 이미지를 갖가지로 패러디했다. 먼로는 미술의 오브제로 끈질기게 살아남았던 것이다. 팝 아트의 오브제로 영생을 얻다 먼로를 차용해 대중문화쪽에서 성공한 이가 마돈나다. 섹스 심벌의 이미지를 더 극단으로 밀고 나가는 전략을 채택한 마돈나는 초창기 자기 별명을 스스로 ‘보이 토이’라고 붙였다. 그러면서 거꾸로 그녀는 길거리의 소년들이나 자신의 백 댄서 보이들을 자신의 성적 노리개로 삼기도 했는데, 먼로와는 달리, 관습적인 성 역할에 편승하는 동시에 이를 거부했다. 마돈나는 결정적으로 뮤직비디오 <머티어리얼 걸>에서 <신사는 금발을 좋아한다>를 패스티시했다. 여기서 마돈나는 한편으로 먼로의 역을 재연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 이 제작 과정을 지켜보는 자기반영적 이미지도 제시한다. 미디어 자체의 포스트모던한 성격을 재현의 과정과 수법에서도 되풀이한 것이다. 포스트모던한 마돈나는 모던한 먼로에 비해 아주 얄미울 정도로 약아빠졌다. 먼로가 세계를 놀라게 했던 순간들 ˝샤넬 N.5만 입고 자요˝ ♠ 49년 촬영한 ‘붉은 벨벳’ 누드 캘린더가 막 인기를 얻고 있던 52년 공개됐다. 먼로의 에이전트는 그 사실을 부인하라고 충고했지만, 먼로는 오히려 공식적인 기자회견을 열어 “50달러가 필요해서” 사진을 찍었다고 고백했다. 이 회견은 위기에 빠진 여배우가 시대를 주도하는 관능의 화신으로 올라서는 계기가 됐다. 당시 “무엇을 입고(have on) 있었느냐”는 질문에 먼로가 “라디오를 가지고 갔는데요”라고 대답한 것은 유명한 일화다. ♠ 잠잘 때 무엇을 입고 자느냐는 질문에 “샤넬 No.5”라고 대답해 보수적인 50년대 미국사회를 충격으로 몰아넣었다. 알몸으로 잔다는 사실을 암시했기 때문이다. 스스로 그렇게 예쁘지 않다고 생각했던 먼로는 자신있는 육체를 과시함으로써 그 불안감을 달래려 했다. ♠ 을 찍으며 원피스가 지하철 통풍구 바람에 휘날리는 장면을 찍었다. 광고 사진작가 샘 쇼가 기획한 이 장면은 한밤인데도 불구하고 2천명 넘는 군중과 사진기자들을 불러모으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천진하게 탄성을 지르는 마릴린의 모습은 관능과 순수함이라는 결합할 수 없는 두 요소가 한 사람에게 집중된 보기 드문 순간이었다. ♠ <왕자와 쇼걸>을 찍을 무렵 열린 기자회견 도중 드레스 어깨끈이 떨어져나갔다. 평론가 주디스 크리스트가 옷핀으로 끈을 고정시켜주는 장면이 전세계에 보도된 것이다. 계획적으로 연출된 이 장면은 순진한 글래머라는 먼로의 이미지를 다시 한번 각인시켰다.먼로보다 한 세대 위인 롤랑 바르트(1915∼80)가 먼로를 글로 다룬 적은 없는 듯하다. 그는 <가르보의 얼굴>이라는 에세이를 “가르보의 얼굴은 이데아이고 헵번의 얼굴은 이벤트다”라는 문장으로 맺고 있다. 바르트는 먼로보다는 디트리히나 가르보와 같이 신화적인 카리스마를 지닌 채 정적이면서도 절대적인 저 너머에 얼음처럼 얼어붙어 있는 고전적인 스타들에게 끌렸던 것이다. 스타덤에 오르기 전의 사진에서 우리는 <플레이보이>가 내세운 ‘이웃집 여자’(girl nextdoor)라는 컨셉에 딱 들어맞는 다소간에 친숙하고도 앳된 모습의 먼로를 읽을 수 있다. 그런 이웃집 여자 중에 섹시한 여성이 <플레이보이>의 센터폴드를 장식하게 되는 것인데, 먼로는 창간호의 히로인이었다. 아무래도 먼로는 바르트의 취향이 아니다. 어쨌거나, 먼로에 필적할 스타는 험프리 보가트, 제임스 딘, 엘비스 프레슬리 정도다. 그런데 김남일이나 장나라를 좋아하는 요즘 10대들에 물어보면 보가트나 제임스 딘을 모르는 경우도 꽤 있을 것이다. 한편, 1977년에 생물학적으로 죽은 엘비스는 군대에 가서 소속부대 지휘관의 딸과 결혼한 1958년에 이미 그 문화-정치적 생명이 끝장나고 말았다. 반면에, 1958년에 태어나 77년에 대학에 들어가서 쭉 B급 학삐리로 살아온 나로서는, 먼로가 이미 죽어버린 지 오래이지만, 이렇게 그녀의 이미지와 아이콘이 시공을 초월해서 의미 작용을 하며 살아 있는 것이 너무 신기하다. 그것들에 대해서 일일이 다 좇아다니면서 제대로 주석을 달기란 내 힘에 부친다. 예컨대, 외계인 내지는 ‘리빙 데드’의 외양을 띤 양성적 이미지를 CD 부클릿에 담은 어떤 밴드가 마릴린 맨슨이란 이름을 달고 나왔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더 가까운 예를 들자면, 얼마 전에 컴백한 김완선의 눈동자 흰자위조차 나는 아직 충분히 감당해내지 못한다. 이주일의 권고대로 담배를 끊고 들뢰즈(1925∼95)보다 더 오래 살아야겠다. 40년 뒤에 보자.

▶ 마릴린 먼로 사망 40주년,먼로는 시대를 어떻게 반영했나 (1)

▶ 마릴린 먼로 사망 40주년,먼로는 시대를 어떻게 반영했나 (2)

▶ 마릴린 먼로가 지상에서 보낸 서른여섯 해 (1)

▶ 마릴린 먼로가 지상에서 보낸 서른여섯 해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