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이창
서문을 읽는 즐거움
2001-06-20

정윤수의 이창

서문의 즐거움을 아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틀림없이 책을 몇권 훔쳐본 자다. 책을 자주 읽지 않는 사람, 그럴 의지와 필요성이 결여된 사람은 책을 훔치지 않는다. 이따금 책이 필요할 때 그들은 훔친 사람의 것을 빌리거나 아니면 제 돈 들여서 살 뿐이다. 책을 훔치는 자는 읽으려는 마음이 앞서는 바람에 다소간의 절차를 무시하거나 잊어버린 사람이다, 라고들 변명한다. 그러나 솔직히 책을 훔치며 살아간다는 것은 약간의 악취미와 더불어 빈곤한 호주머니, 그리고 독서욕보다는 소유욕이 앞서는, 그렇게 하기 위해 도서관보다는 서점을 자주 찾고, 실질의 숭상을 위하여 일단 그것을 들고 튀는 확신범일 뿐이다.

책을 훔치는 사람들은 봄가을의 짧은 시간을 아쉬워한다. 반팔 셔츠의 여름은 책을 은닉하기가 어렵고 겨울은 그 반대로 몸놀림이 둔하다. 물론 대단한 공력의 전문가들은 전지구적인 냉온방 시스템의 발전을 핑계로 어떤 계절이든 가벼운 점퍼 차림으로 슬슬 운동 삼아 큰 서점을 한 바퀴 돌지만 그래도 춘추의 호시절은 책을 훔치려는 자, 아니 책을 진정으로 음미하는 자에게 더없이 즐거운 계절이 된다. 당신 얘기 아니냐고 윽박지를 사람을 위하여 미리 권한다면 미문의 칼럼니스트 고종석이 쓴 소설 <기자들>을 읽기 바란다. 아, 물론 내 얘기가 아니라는 건 아니다.

책을 많이 훔쳐본 사람들은 출판사와 저자, 그리고 서문과 발문을 기막히게 기억한다. 아무리 변명해도 몰염치한 도둑질임에 틀림없으니 담대한 마음과 용의주도함을 두루 갖추지 않으면 안 되는데 그 노력을 들여 한권 달랑 들고 나올 수는 없어서 이책 저책을 두루 살핀다. 남아도는 게 시간이지만 내용까지 다 읽지는 않는다. 그렇게 될 경우 훔칠 이유가 영영 사라질 뿐만 아니라 읽고 싶은 책이 많아서 단 한권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서문과 발문에 대한 탐사를 통해 최종의 목표량을 정한다. 그러다보면 결국 두세권의 획득물에 지나지 않음에도 수십권의 서문, 발문, 편집자주, 해설 따위를 두루 섭렵하게 되는데 이 바람에 내공이 약한 치들은 읽은 책과 읽지 않은 책, 그러니까 훔친 책과 뒷일로 미룬 책에 대한 기억이 뒤죽박죽 되는 수가 많다. 이제는 먼 일의 기억이 되고 말았지만….

서문이 기막힌 책을 단 한권 추천한다면 당신은 어떤 책을 꼽겠는가. 니체의 <즐거운 지식> ‘제2판 서문’을 떠올릴 수도 있겠다. 방대하고 난삽한 그의 사상에 있어 이 책은 상대적으로 짧고 매혹적인 아포리즘으로 이뤄졌으니 형이상의 파괴자에게 다가가기 썩 수월한 뿐만 아니라 그 서문이 참으로 기막히다. ‘이 책은 한개 이상의 서문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 책은 얼음과 눈을 놀리는 바람의 언어로 씌여졌다’는 식의 에스프리가 맛있다.

어쩌면 장 그르니에의 <섬>을 떠올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아마도 당신은 70년대 이전에 태어났을 것이다. 그 책은 저 80년대의 정본은 아니었다. 위력적인 고딕체의 책들 한편에 물러서 있던 것으로 아마도 최루탄에 뒤범벅이 된 채 도망을 치다 무리와 흩어지는 바람에 잠시, 정처잃은 마음을 정돈하기 위해 들렀던 헌책방에서 당신은 정병규 디자인의 <섬>을 보았는지 모른다. 틀림없이 당신은 그르니에의 기이한 성찰보다는 표지 한구석에 적혀 있는, ‘알제리에서 처음으로 이 책을 읽었을 때 나는 스무살이었다’는 카뮈의 말에 매혹당했을 것이며 곧 표지를 펼쳐 카뮈의 서문에 한참이나 눈을 줬을 것이다. ‘나는 지금도 그 독자들 중의 한 사람이고 싶다. 길거리에서 이 조그만 책을 펼쳐본 후 겨우 그 처음 몇줄을 읽다 말고는 다시 접어 가슴에 꼭 껴안은 채, 아무도 없는 곳에 가서 정신없이 읽기 위하여 나의 방에까지 한걸음에 달려가던, 나는 그날의 저녁으로 되돌아가고 싶다.’

카뮈가 ‘아무도 없는 곳에 가서 정신없이’ 읽느라 책값을 제대로 치렀는지는 의문이지만 아마도 우리의 집단적 기억에 박혀 있는 매혹적인 서문임에 틀림없다. 그의 서문은 그르니에를 위한 것이자 먼 곳을 위한 동경, 아픈 현실에 대한 애증, 작고 나약한 것에 대한 성찰로서 값지다. 기필코 비80년대적이면서 동시에 그 시절의 속살에 대한 환영이기도 한 셈이다.

그렇다면 문학평론가 김윤식의 서문들은 어떤가. 관습적인 정년 퇴임 논총을 사절하자 후학들이 100권을 헤아리는 그의 책 가운데 서문만을 따로 모아 <김윤식 서문집>을 만들었다고 하니 최근의 뼈아픈 일에도 불구하고 서문만으로 또 한권의 초소를 지을 수 있는 그의 놀라운 지적 성채에 대하여 우선 기가 질린다. 그뿐일는가. 서문의 즐거움은 모든 저자들의 세상을 향한 용기백배한 심경을 음미하는 것에 다름 아닐진대 이제는 고전이 된 1973년 <한국문학사>의 초판 서문에서 김윤식은 김현과 더불어 이렇게 적지 않았던가. ‘문학에 대한 경멸과 白手에 대한 조소가 그 어느 때보다도 깊어져가고 있어 보이는 지금, 인간 정신의 가장 치열한 작업장인 문학을 지킨다는 것은 우리에게는 더할 수 없이 귀중한 자기 각성의 몸부림이다. 문학이 없는 시대는 정신이 죽은 시대이다.’ 아멘. 정윤수/ 문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