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Culture > 초이스 > 포커스
단맛 리포트 [1]
사진 정진환 오계옥남은주 2005-05-20

쾌락과 열정을 위한 달콤한 맛에 대한 보고서

오! 달콤한 인생

달콤한 것을 먹을 때 뇌에서는 연애를 할 때와 유사한 신경물질을 퍼뜨린다고 한다. 달콤한 맛은 감정을 고양시키고 힘을 북돋우며 세상을 살 만한 곳으로 만든다. 오죽하면 고대인들은 이 알 수 없는 능력에 흥분한 나머지 벌꿀로 술을 빚어 신에게 바쳤을까? 웰빙 시대를 맞아 퇴출당해 마땅한 가짜 단맛 말고, 진짜 달콤한 맛을 찾아보자. 본래 사람의 것이 아니라 천상에 속한 듯한 달콤한 맛으로 지루한 일상을 견딜 힘을 얻는다.

달콤한 맛을 위한 변명

<초콜렛>

달콤한 맛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세계는 탐미주의자의 세계다. 하얀 소시지처럼 통통한 팔과 다리를 가진 여자들을 숭배하던 시절, 노스트라다무스는 예언서만 쓴 게 아니라 설탕 요리를 연구하느라 바빴고, 루이 13세는 아예 국사는 제쳐두고 직접 부엌에 들어가 설탕 절임을 만들곤 했다. 먹을 수 있는 모든 것, 제비꽃, 장미, 상추, 셀러리에 설탕이 듬뿍 들어갔고, 달콤한 요리를 개발해내는 사람에게는 칭찬이 쏟아졌다.

사실 우리는 설탕이나 꿀 없이도 얼마든지 잘 살 수 있기 때문에 미각에서 단맛은 아주 사치스러운 맛에 속하기 쉽다. 그러나 단맛은 누구나 도달하고 싶어하는 궁극의 맛이고, 욕망이다. 영화 <초콜렛>에서는 100년 동안 아무런 변화도 없이 사는 조용한 한 마을에 초콜릿 가게가 열리는 순간 모든 것이 변한다. 초콜릿은 사랑을 잃은 사람의 아픔을 치료하고, 평생 단 하나의 사랑도 고백하지 못했던 사람의 뱃속에서 용기가 솟아나게 하는 신비의 약이고, 불경한 유혹이고, 끊을 수 없는 마약이다.

요시나가 후미의 만화 <서양골동양과자점>에는 수많은 상처입은 사람들이 제과점으로 모인다. 유괴사건으로 한직에 밀려나 평생 식물처럼 살아야 했던 경찰, 더이상 권투를 할 수 없게 된 전직 권투선수, 가족과 사회에 늘 상처받는 게이. 그들은 제과점에서 만나 붉은 과일과 아몬드를 얹은 타르타, 오렌지 주스와 술을 넣어 만든 초콜릿 케이크 속에 쌉쌀한 초콜릿 무스를 넣어 많든 쇼콜라 오랑제, 캐러멜을 뿌린 달콤한 아이스크림으로 인생의 상처를 극복하고 새로 살아갈 이유와 힘을 얻는다. 영화 <제8요일>의 조르주는 그토록 좋아하면서도 그동안 먹지 못했던 초콜릿을 실컷 먹고는 행복한 웃음을 지으며 건물 옥상에서 뛰어내린다. 달콤한 음식을 오직 우리의 즐거움을 위해 만들고, 숭배하고, 누리는 일은 삶에 대한 탐미와 쾌락을 완성하는 일일지도 모른다.

물론 그 쾌락에는 대가가 따른다. 사실은 영화 <죽어야 사는 여자>의 골디 혼이 삶에 대한 욕구불만을 아이스크림으로 풀다가 결국 비만이 되고 정신병원에 갇히는 장면이 우리의 현실이다. 정제된 설탕은 훌륭한 에너지 공급원이기는 하지만 탄수화물밖에 제공하지 않아 영양부족에 걸리기 쉽고, 지금도 서인도제도에서는 설탕만 먹인 나머지 영양실조로 죽어가는 ‘슈거 베이비’들이 있다. 영국 노동자들은 빵이나 고기가 아니라 설탕으로 영양을 빨리 보충하고 힘이 생겼다는 착각을 갖도록 길들여지며 산업혁명의 고된 노동을 견뎌야 했다. 인류학자 시드니 민츠는 미국 정부가 빈민계급의 인구를 억제하기 위해 남자에게는 고기를, 여자와 어린이들에게는 자당을 주는 정책을 펴왔다고 폭로했다.

그럼에도 가끔 쌉싸름한 진실을 외면하고 달콤한 숟가락을 든다. 단것을 먹을 때면 우리 몸에는 엔도르핀이 흘러넘치고 평온을 느낀다는 신경생물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위안 삼아서. 혹은 진짜 달콤한 초콜릿이 아니라 ‘흐릿한 단맛이 나는 연한 갈색 덩어리’밖에 없는 조지 오웰의 <1984년>을 두려워하고 저주하기 때문에. 마셜 맥루한은 우리가 삶의 진정한 미각에서 동떨어져 음식보다 메뉴 설명을 즐기는 것에 만족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경고했다. 요지는 이렇다. 달콤한 것을 두려워하고, 초콜릿 중독자를 병자 취급하고, 온갖 음식들에 들어 있는 흐릿한 유사 단맛은 모른 척할 때는 또 무엇을 얻을 수 있겠는가? 그럴 바에는 차라리 입과 혀가 녹아들어가고 온몸이 폭발할 것 같은 정통 초콜릿 무스를 마음 편하게 먹어치우고 나서 에피쿠로스의 말로 입막음을 할 수도 있겠다. “그렇다면 인간은 자연의 선물을 거부해야만 하는가? 인간은 가장 쓴 과실을 따기 위해서 태어났단 말인가?”

단맛을 느끼는 미뢰

입에 단 약이 몸에도 좋다?

우리의 혀는 미각 세포들이 꽃잎처럼 겹쳐진 미뢰로 맛을 느끼는데, 흔히 미식가일수록 아주 뜨겁고 자극적인 음식이나 흡연, 음주를 삼가기 때문에 미뢰가 더 예민한 경우가 많다. 또 나이가 들면 이 미뢰도 닳기 때문에 세포들이 제대로 살아 있는 아기 때일수록 더 입맛에 예민하다. 아기들은 단맛을 특히 좋아한다. 오랜 진화과정에서 달콤한 음식은 별 해가 없지만, 쓴 음식은 독이 될지도 모른다는 공포를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단맛을 느끼는 미뢰가 가장 둔한 반면, 쓴맛을 느끼는 미뢰가 가장 예민하다. 일단 독이 될지도 모르는 쓴 음식은 뱉어내고, 달콤한 음식은 오래 씹으면서 즐거워한다. 많은 다른 동물들처럼 우리는 혀끝에서 단맛을 느낀다. 음식을 달게 받아들여 더 많은 영양을 섭취하기 위한 자구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