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이창
당신의 혈액형은 무엇입니까
2001-07-19

정윤수의 이창

● 21세기가 같은 색깔끼리 뭉치고 단결해서 피비린내 나는 혈투를 벌였던 20세기와는 달라도 한참 달라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을 듯하다. 인종과 이념, 지역과 문화 따위로 편을 가르고 싸우는 것은 그 시대의 명령에 충실한 행위이긴 했지만 그 어떤 가치 척도로도 지금의 현실에서는 부합하지 않는다. 그러니 기든스의 `연대성`이 우리에겐 절실한 것이다. 다른 것끼리 화해하고 악수하고 전진하는 역사, 보기에도 좋지 않은가, 하는 공론이야말로 지금까지 인류가 여기까지나마 `발전`하면서 얻어낸 귀한 교훈이라고 볼 수 있다. 그 때문인지 사회운동단체의 명칭에서도 십여년 전처럼 `민통련`,`전노협`,`전학련`같은 이름에서 무슨무슨 시민연대가 유행인데 심지어는 지하철 변기 위에 예쁘장한 액자 속에서는 화장실문화개혁시민연대라는 명칭을 발견하기도 한다.

물론 우리가 일상정치에 있어 연대성이라는 대의를 제대로 실현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회의적이다. 이 명제를 도덕적 규범이나 시민운동의 당위로만 파악한다면 더욱더 연대성의 일상화는 멀어질 뿐이다. 연대성이란 어떤 목적의식적 명령에 의해 뿌리내릴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이러한 가치의 실현이 엄중한 현실의 명령이란 점을 확인하는 것이 오히려 지금길이다. 아주 저여랗게 말해서, 누군가는 동남아시아 사람들에 대해 혐오감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어제까지는 그게 통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오늘, 서울의 지하철과 경기 북부지역의 소읍에는 동남아 젊은이들이 넘쳐나고 있다. 함께 살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공존하는 법을 제대로 배우지 못한 우리로서는 연대성에 대한 `의식화` 작업을 해서라도 환골탈태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 분명한 현실에서도 최소한의 공존의 논리를 모색해내는 사회적 실천이 상당히 불투명하다는 것을 나는 최근의 언론 세무조사 논쟁에서 문득, 느꼈다. 특히 김동길과 이인화에게서 그랬는데 물론 이 두 사람이 각기 자신의 분야에서 제대로 대접을 못 받고 있으며 그도 그럴 것이 상당한 수준의 지적 관심을 꾸준히 받을 만한 작업을 조금도 해내지 못한 인사라는 점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언제나 그렇듯이, 그들은 이번에도 스스로 진지한 사색과 성찰로 의제를 제출하고 고뇌하는 것이 아니라 급물살을 타고 잇는 핫이슈의 한쪽에 재빨리 등장하여 마치 오랫동안 참았다는 듯 분기탱천하는, 스스로의 자족감과 달리, 대단히 `가벼운` 언행을 일삼았는데 어쨌거나 두 사람의 궤변속에서 나는 이 새대의 집합적 내면을 발견했던 것이다.

그것은 바로 혈통순수주의에 대한 오만과 편견이다. 90년대 초, 민중당의 이우재, 김문수, 이재오가 왜 DJ가 아니라 YS품에 안겼느냐는 물음에 대해 여러 가지 답이 제출된 바 있었는데 나는 그때나 지금이나 그들이 오로지 `경상도` 사람이기 때문이라는 점만을 유일하게 지자하는 편이다. 그 밖에 달리 답이 없다. 노무현도 있지 않은가, 하고 묻는다면 `예외도 물론 있지요`라고 말할 수밖에 없지만, 경북 소백산 골짜기, 전깃불도 안 들어오던 곳에서 태어난 나의 내면을 샅샅이 훑어보건대 그들의 YS 전향은 진실로 `경상도 의식`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내 지독한 편견을 버리고 싶지는 않다. 요컨대 혈통과 가문의 순수성에 대한 이 지역의 근거없는 자만심이란 그 어떤 권위의식보다 앞선다고 보면 옳다. 이번 논쟁의 한 당사자이기도 한 이문열이 정치 단체 가입이나 그에 준하는 활동을 한 바 없다고 밝혔는데 기억을 되살려보면 그는 신한국당 시절 은평구 이재오 후보 정당연설회에 참석한 적이 있다. 나름대로 신중한 그의 처신이나 이재오 후보의 정치적 비중을 살피건대 그의 참석은 어떤 경우로도 설명하기 곤란하다. 하지만 두사람이 동향에 종친이라는 일부의 `설`만큼은 지금도 유력한 이유가 된다.

여성운동 일각의 `철없음을 꾸짖기 위해` 썼다는 소설 <선택>이 정경부인 인동 장씨의 행전이 아니라 아예 퇴계 일문에 속한다는 자신의 웃어른에 대한 헌사로 일관한다는 점, <변경>이 그의 형과 누나에게 바치는 일종의 소설로 쓴 족보라는 점, 그리하여 출처진퇴를 신중히 가렸던 퇴계처럼 사설창작교실을 운영하는 포즈 등은 이문열식 혈통순수주의 파노라마이다. 이에 비한다면 이문열의 `홍위병`이랄 수 있는 이인화의 영남제일주의는 그야말로 코미디 수준의 지적 천박함이 자주 노골화되고 있어 그들의 어법대로 `타이르다보니 입만 부르튼 꼴`이 될 지경이고 방송 토론에서 잠깐 비친 김동길의 가문론은 가히 엽기개그를 보는 듯 간지러운 형편이다. `조선과 동아의 집안이 대한민국에서 어떤 집안이며 그 혈통의 자제들인데 설마 그러하시겠느냐`는 김동길의 궤변은, 솔직히 궤변이 아니라 여전히 혈통순수주의 외에는 달리 내세울 게 없는 이 시대 파시즘의 생생한 단면인 셈이다.

경북 소백산 골짜기 출신이면서 순수 혈통에 대한 이중 심리를 늘 전전긍긍한 탓일까, 며칠 전, 나는 <수요예술무대>를 보다가 깜짝 놀랐다. 김광민, 이은미, 김윤아가 근황과 덕담을 나누다가 군기반장, 선후배, 기수, 서열 따위의 단어를 나눈다. 한양대 임지현 교수의 말마따나 `내면의 파시즘`은 저쪽 사람들 얘기만은 아닌 듯. 이를 과민반응이라고 일깨워둔다면 고마울 따름.정윤수/문화평론가 pragu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