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Culture > Enjoy TV > TV 가이드
공공의 ‘도움’인가, 공공의 ‘참견’인가, <실제상황 토요일>
강명석 2005-09-29

가정-사회 시스템 문제는 놓쳐버린 아이 바꾸기

요즘 TV에서 ‘평온한 가정’이란 말은 곧 ‘무언가를 숨기고 살아가는’과 같은 의미다. <위기의 주부들>의 출연자들은 평온한 가정 속에 살인, 매춘 등의 범죄를 숨기며 살고, <장밋빛 인생>의 남편 성문(손현주)은 아내에게 이혼을 요구하며 ‘피 토할 때까지’ 아내에게 폭력을 휘두른다. 하지만 이들은 자신의 ‘죄’에 전혀 다르게 반응한다. <위기의 주부들>의 출연자들은 그들의 죄에 법적, 윤리적 문제로 고민하는 반면, <장밋빛 인생>의 아내 순이(최진실)는 폭력 남편이 자기에게 돌아오자 음식을 차리며 웃는다. <위기의 주부들>의 폭력은 ‘위법’이지만, <장밋빛 인생>의 폭력은 ‘집안일’이다. 그러나, 그건 한국에서도 가장 자극적인 드라마의 이야기일 뿐이다.

<실제상황 토요일>의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는 가정문제에 공공의 힘이 개입한다. 험한 욕을 하는 아이, 가족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쌍둥이 형제 같은 아이들은 교육 전문가들을 통해 ‘교정’된다. 물론 교정은 성공하고, 대신 아이의 부모들은 그들의 교육방식을 포기하고, 전문가의 교육법을 따라야 한다. 내 집안일이라도 공적인 판단에 따라 부모가 보호자이자 ‘피해자’가 될 수도 있다.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는 가정문제를 ‘객관적’인 가치관과 연결시키는 요즘의 의식을 반영한다. 그러나, 그것은 법적·제도적인 것이 아니라 시청자에 의한 것이다. 시청자가 보기에 아이들이 문제여야 교정의 명분이 서고, 그것은 곧 시청률과 연결된다.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는 상당시간을 교정 전 아이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데 할애하고, 그들의 충격적인 모습은 이슈를 생산하며, 아이/전문가-가족의 대립구도를 형성, ‘흥미진진’한 드라마를 만든다. 때론 ‘지금까지와는 다른’이라는 자막까지 넣으며 아이들을 ‘문제아’로 만들 정도다. 그 결과로 공적인 교정대상은 공공의 ‘흥밋거리’가 되고, 정말 사적으로 보호받아야 할 아이의 사생활은 모조리 공개된다. 그 ‘미션 임파서블’식 아이 바꾸기 속에서 정말 문제를 해결해야 할 가정-사회 시스템에 관한 문제제기는 보이지 않는다. 물론 아이는 ‘착한 아이’가 되고, 가족은 화목해진다. 그러나 그 웃음을 보면 다행이다 싶다가도 그것이 공공의 ‘도움’이라기보다는 공공의 ‘참견’과 아이는 그저 교정의 대상일 뿐인 한국 특유의 시선이 뒤섞인 결과 같아 왠지 씁쓸하다. 미국 주부인 <위기의 주부들>의 리넷도 행동발달장애를 겪는 아이들에게 약물을 투여하라는 권유를 놓고 고민하다 결국 그것을 거부한다. 공적인 도움과 사적인 자유의 경계선은 딱 거기까지 아닐까.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