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한국영상자료원의 모든 것 [4] - 숨은 일꾼들
사진 오계옥오정연 2006-04-27

‘한국영화 아카이브’ 꿈 하나로

해외 자료수집

연구교육팀 정혜연

2004년부터 2년간 해외 자료수집 업무를 진행한 정혜연씨는 특정 자료가 존재한다는 제보를 받은 뒤, 이메일과 전화연락을 통해 소장자에게 보유 여부를 확인한 다음, 현지 출장을 통해 자료를 실사하고, 별도의 협의를 통해 실제 필름을 구입하거나 기증받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선 영어능통은 필수, 고령의 개인수집가들은 영어에 능하지 않기에 일본어 등 해당 외국어 실력까지 겸비한다면 금상첨화다. 당시 스페인에 수출됐다는 문헌 자료를 발견하고 스페인 아카이브에 문의했고, LA에 존재한다는 제보를 받고 연락을 취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으나 끝내 찾을 수 없었던 <만추>(이만희) 등의 작품은 아직도 아쉬움으로 남아 있다. 현재 연구교육팀에서 근무 중이다.

“최초의 연락부터 필름을 건네받기까지 1년 정도가 걸리는 경우가 허다해요. 최종 확인을 위한 출장 전에는, 단 한번 주어지는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만반의 주의를 기울여요. 막상 그 영화가 눈앞에서 상영되고, 해당 영화임이 확인될 때가 가장 뿌듯하죠.”

필름자료 점검 및 복원

영상자원관리팀 김영미

프린트만 존재하는 필름을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듀프 네거를 만들고, 오래된 네거필름의 편집된 부분에서 발생하는 수축현상을 확인·복원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필름의 상태에 따라 편차가 크지만 영화 한편을 작업하는 데 3시간 정도 소요된다. 일일이 필름을 넘기면서 지문이 묻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기에, 김영미씨가 네거를 만지고 있을 땐 아무도 이를 방해하지 못한다고. 2000년에 입사하여 지난해까지는 이 방대한 업무를 혼자서 소화했으며, 현재 네거필름을 직접 만질 수 있는 사람은 자료실에 그를 포함하여 두 사람뿐이다. 7월 출산휴가를 앞두고 있다.

“무거운 필름을 날라야 하고, 각종 필름 처리 약품 냄새에 둘러싸여 근무를 해야 하고, 업무량이 많아서인지 사람을 뽑아도 1년을 못 채우고 그만두더라고요. 여태껏 6명이 연달아 그런 식이었어요. 고되긴 해도 <미몽> 같은 희귀영화를 들여와서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놓을 때는 보람을 느끼죠.”

필름자료 관리

영상자원관리팀 이석휘

1990년 자료원에 입사하여 16년 동안 필름을 다뤄온 이석휘씨는 필름자료를 관리감독한다. 만신창이가 되어 수집된 필름을 활용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것 못지않게 보유한 필름의 상태를 점검해서 세척하고, 상태를 점검하는 등의 수선(?) 작업도 중요하다. 각각의 필름을 어느 정도로 수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그의 몫이다. 오래된 영화라고 무조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기보다는, 들여오기 전의 보존환경과 상태가 중요하다. 프린트만 보유하고 있는 필름의 듀프 네거를 만드는 것에 집중하느라 창고 속에서 복구를 필요로 하는 옛날 영화필름을 일일이 손대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고.

“요즘에는 유난히 디지털을 강조하는 시대인데, 아날로그를 노상 만지고 다듬는 입장에선 그런 사회 분위기 자체가 왠지 서운하게 느껴지더군요.”

비필름자료 관리

영상자원관리팀 권영택

시나리오, VHS, 포스터, 스틸, 문헌 등 필름이 아닌 모든 자료를 관리하는 것이 권영택씨의 일이다. <만추>처럼 아직 필름을 발견하지 못한 스틸은 어마어마한 가치를 지닌 연구자료가 될 수 있기에 비필름자료 역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스틸 역시 빛이나 먼지에 쉽게 변질되기에 각종 약품처리를 거쳐 특정한 환경 속에 보존하며, 포스터 역시 표면에 약품처리하여 중성지 사이에 낱장씩 정성껏 보관하고 있다. 감독이나 작가가 손으로 집필한 시나리오의 관리 역시 마찬가지다. 스틸을 공책에 풀칠해서 붙여놓은 <돌아오지 않는 해병> 같은 영화의 자료처럼 훼손이 염려되어 손도 대지 못하고 아무런 처리를 하지 못하는 것이 마음에 걸린다. 문헌정보학을 전공했으며, 자료원 최초의 비필름 전문 담당자로, 해외 아카이브 등을 견학하며 현재의 비필름자료 보관 시스템을 구축한 주인공이다.

“비필름자료에 대한 개념은 더욱 없다보니 누가 봐도 쓰레기 상태로 자료가 들어오는 경우가 많아요. 이걸 웬만하게 정리했을 때 정말 속이 시원해요.”

자료 분류 및 연구

영상자원관리팀 정종화

2003년 단기 계약직으로 출판사업에 참여했던 인연으로 자료원에 입사한 뒤, 신설된 연구팀에서 근무해왔다. 현재 중앙대학교 영화과 한국 영화사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정종화씨는, 최근 이론을 필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자원관리팀으로 발령받았다. 영화사에 대한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수집, 보존된 자료에 대한 독자적인 판단이 불가능한 자원관리팀을 측면에서 지원하는 것이 그의 일이다. 아카이빙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고, 한국 영화사 관련 자료를 어떤 우선순위로 수집할 것인지도 판단한다. 영화이론을 공부하기 위해 진학한 대학원에서 한국 영화사에 흥미를 느꼈다고.

“처음 이곳에 발령받았을 때는 좌천되는 듯한 기분이었어요. (웃음) 지금은 영상자료원의 진짜 업무는 바로 자원관리팀에서 이루어졌음을 알게 됐어요. 1차적으로 미확인 자료를 분석, 분류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최초의 사람이라는 것이 약간 흥분되기도 해요. 책에서만 접했던 지식을 활용할 수 있어서 행복하죠.”

KMDb 구축

디지털정보화팀 김계영

특정 감독이나 배우, 스탭이 참여한 영화를 검색할 수 있고, 장르는 물론 제작연도와 등급, 심의여부에 따라서 영화를 일별할 수 있는 KMDb가 올해 2월 초 오픈했다. 이를 기존 영상자료원이 운영하던 DB를 개보수한 결과물이라 말하기엔 들어간 노력과 성과가 제법 크다. 2년 동안 작업을 총괄한 김계영씨는 자료원이 보유하고 있고 1960년대 이후 개봉된 모든 극영화 필름의 프린트를 실사하여 크레딧을 디카로 촬영한 뒤, 문서로 옮겼고, 필름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개봉했던 영화나 프린트로 크레딧을 확인할 수 없는 영화의 정보는 도서나 기사 등 2차 문헌을 통해 항목을 채웠다고 말한다. KMDb처럼 영화의 풀크레딧을 제공하는 아카이브 DB는 없다는 것이 그의 자랑. 그는 KMDb가 이후 IMDb처럼 이용자의 참여와 제보로 더욱 업그레이드되길 바라고 있다.

“오픈할 때는 뿌듯함보다도 걱정이 앞섰어요. 영화 크레딧의 인명이 개별 정보와 웹상에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면 어쩌나, 특히 한국 영화인들 중에는 유난히 동명이인이 많은데, 이건 제대로 연결됐는지. 그래도 주기적으로 자신이 보유한 애니메이션 정보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분처럼 고마운 분들이 많아서 힘이 돼요.”

고전영화관 프로그램 진행

연구교육팀 김한상

월요일을 제외하면, 영상자료원 지하 1층 고전영화관은 쉴 틈이 없다. 여기서 상영되는 모든 영화 프로그램을 홍보하고 진행하는 것이, 지난해 5월 입사한 김한상씨의 일이다. 현재 자료원이 보유하고 있는 35mm 극장편영화 중 프린트 상영이 가능한 모든 영화를 연대순으로 상영하면서 필름 보존 상태 확인까지 겸하고 있는 ‘클래식 한국영화 릴레이’(지난해 2월 1946년작 <자유만세>로 시작하여 4월4일 현재 1965년작 <민며느리>까지 상영했다. 앞으로 198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매달 특정한 주제로 대중적인 영화를 소개하는 ‘주말의 명화’, 한국영화를 조금은 다른 주제로 해석 분류하는 ‘한국영화의 새로운 시선’, 영문자막이 있는 프린트를 상영하는 ‘외국인을 위한 고전영화 감상회’ 등 다양한 고정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110석 규모 시사실이 연일 매진되는 게 꿈이에요. 지금 시사실은 너무 환경이 열악하지만 내년에 상암DMC로 이전하면 좀 나아지지 않을까요?”

이만희 전작전 준비

연구교육팀 조준형

오는 5월로 예정된 이만희 전작전은 규모로 보나, 영화사적 의미로 보나 영상자료원 회심의 행사다. 자료원이 보유한 이만희 감독의 영화 중 영사 가능한 22편을 모두 상영하는 이 행사는 지난해 연구팀원들의 대화에서 시작됐다. 여기 주도적으로 아이디어를 냈던 조준형씨는 현재 이만희 전작전과 관련해서 자료집 발간과 심포지엄을 준비 중이다. 이만희 감독이 유현목, 신상옥, 김기영 감독에 비해 떨어질 이유가 없다고 믿는 그는 이번 행사가, 장르영화의 틀 안에서 작가영화를 만들었던 이만희 감독에 대한 선입견을 깰 계기가 되어주리라 기대한다. 이후 임권택, 김기영 감독의 전작전도 생각 중이다. 그는 이러한 전작전이 특정영화를 선정함으로써 가치부여하는 시네마테크와 달리 관람을 통한 재발견의 기회를 주는 아카이브 본연의 자세를 드러낼 수 있는 행사라고 자부한다.

“내실있는 심포지엄을 위해 발제자와 토론 패널을 섭외 중인데, 마땅한 사람이 너무 없어요. 사랑하는 감독이니만큼 과거의 정리나 평가를 반복하지 않고 새로운 시각을 보여줄 수 있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