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민족주의 vs 시민의식

버지니아 공대 총기사건이 발생한 지 꽤 시간이 흘렀다. 미국 현지는 처음의 충격과 흥분과 우려가 애도와 안도와 성찰로 차분히 정리돼가는 인상이다. 애초에 우려했던 한국계에 대한 위해는 없었다. 미국 언론은 이 사건을 ‘한국계의 문제’가 아닌 ‘개인의 문제’, ‘한국의 문제’가 아닌 ‘미국의 문제’로 보도했다. 미국 시민들의 대처도 다르지 않았다. 버지니아 공대 캠퍼스에는 희생자 32명의 추모석과 나란히 범인 조승희의 추모석이 설치됐다. 거기에 ‘도움을 청하는 너를 보살펴주지 못해 미안하다’는 내용의 메모를 남긴 미국 학생도 있었다고 한다. 또 다른 어떤 미국인은 조승희 누나에게 좌절하지 말라는 위로의 메시지를 보냈다는 소식도 들린다. 고통을 슬픔으로 녹여내는 미국 시민사회의 힘이 느껴진다.

물론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닐 수 있다. 미국 언론이 인종갈등을 부추기지 않으려고 자제한 것은 상존하는 문제를 표면화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래서 언론이 비춘 슬픔의 화합이 다한 그 자리에 개개인의 상처만 덩그렇게 남아 인종갈등의 불씨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건 나중의 일이다. 적어도 미국은 ‘한국계 미국인’ 조승희를 ‘미국인’으로 수용했다. 그건 시민의식의 발로다.

그러면 한국사회의 반응은 어떠했나? 범인이 한국계로 밝혀지면서 언론보도는 동포들과 한국에 떨어질 불똥에 초점이 맞춰졌다. 대통령이 세번씩 성명을 발표하고, 주미대사는 32일간의 금식을 제안했다. 보수언론은 한국인들이 사과를 하고 한-미동맹에 금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논조의 사설과 기사를 쏟아냈다. 지성이면 감천이라 했던가? 이 유난한 사죄에 미국의 정론지 <필라델피아 인콰이러>가 한국에 보내는 편지를 사설로 실었다. 그중 한대목이다.

“사과를 멈춰 달라. 버지니아 공대 총기난사사건은 당신들 잘못이 아니다. 우리가 잘못 판단하지 않도록 해달라. 이번 사건 이후 주한 미대사관 앞에서 이뤄진 촛불 추모식과 세번에 걸친 대통령의 충격 표시 등은 감동적이고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용의자는 어렸을 때 미국에 이민 와서 여기에서 키워졌다. 아마도 그를 잘 보살피지 못한 우리가 당신에게 사과해야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사설은 감사와 부담스러움을 동시에 전하고 있다. 그들이 감사하는 건 한국의 사죄를 이웃의 위로로 해석했기 때문일 것이고, 부담스러워하는 건 위로가 죄인의 사죄처럼 과도했기 때문일 것이다. 미국은 이번 사건을 미국인에 의해 저질러진 미국의 고통으로 규정했는데, 어떻게 해서 한국 정부와 보수언론은 한국인 모두를 가해자로 상상하는 그런 오버를 하게 됐을까? 국가적 동원을 위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가 여전히 의식의 기저를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이라는 상대의 힘에 지레 짓눌려버렸기 때문이 아닐까? 다급하면 악습이 튀어나오는 법이니까. 여기서 이런 질문을 던져보자. 이번에 또다시 불쑥 튀어나온 ‘민족주의’가 과연 민족주의라고 불러도 좋은 것인가? 민족주의는 최소한 구성원에 대한 애정과 공유하는 가치에 대한 지향이 있어야 한다. 과연 그랬던가? 조승희에 대한 혈연 확인은 살아남은 한국인의 안전을 위한 집단적 방어 행동으로 이어졌을 뿐이다. 조승희는 한국인에 위해를 가한 존재로 철저하게 배제됐다. 조승희를 미국의 구조적 문제가 낳은 희생자로 보려는 시각은 초기에는 한국이 아닌 미국 언론 일부에서만 찾아볼 수 있었다. 한국의 경우 일부 진보언론을 제외하면 조승희를 ‘정신이상자’로 부각시키는 데 집중했다. 거기에는 이 사건이 한 정신병자의 우발적 충동으로 정리됐으면 하는 욕망, 즉 조승희를 정상적 한국인의 범주에서 배제하려는 욕망이 담겨 있다. 이건 민족주의가 아니다. 미국 신문의 사설이 상기시켜주듯이, 조승희가 정신이상과 범죄로 가게 된 과정에는 미국사회가 져야 할 책임도 크다. 여기에 대한 최소한의 질문이 한국 내의 공론장에서 제기됐어야 했다. 그랬으면 한국인의 민족적 감정이 상처받지 않고 온전한 시민의식으로 발휘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이번 사건에 대한 한국의 반응은 민족주의를 혈연주의와 동일시한 전근대적 인식과 여기서 비롯된 공포와 죄의식이 서둘러 방어적 집단주의로 달려간 것에 다름 아니다. 중요한 건 민족주의가 아닌 시민의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