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프레스 리뷰
거장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체인질링> 첫 시사
씨네21 취재팀 2009-01-14

일시 1월7일(수) 2시 장소 대한극장 

이 영화 1928년 미국 L.A. 전화국에서 교환수로 일하는 크리스틴(안젤리나 졸리)은 9살난 어린 아들 월터와 함께 싱글맘으로 살고있다. 그런데 어느 날 직장에서 돌아온 크리스틴은 아들이 실종됐음을 알게 된다. 다섯 달 뒤 L.A. 경찰은 크리스틴에게 아들을 찾았다는 희소식을 안겨준다. 하지만 돌아온 건 아들이 아니라 다른 소년. 크리스틴의 항변에도 불구하고 경찰은 다른 아이를 데려온 자신들의 잘못을 감추기 위해 오히려 크리스틴을 정신병자로 몰아 세워 감옥에 넣는다. 크리스틴은 이제 이 거대 공권력과 맞서 싸우리라 마음먹는다.  

100자평 1928년 미국은 어떤 사회인가? 여성 참정권이 생긴지 8년, 포드 자동차와 GE의 가전제품이 노동계급에게까지 보급되고, 대공황이 오기전까지 최고의 풍요를 구가하던 시대, 그리고 금주법 하에서 범죄와 경찰권이 강화되었던 시대 등등이 연상된다. 그때 그곳에서 참 기막힌 일이 있었다. 경찰이 실종된 소년 대신 엉뚱한 아이를 찾아주고는 내 아들이 아니라는 싱글 맘의 외침을 '미친년'의 소리로 매도하다가 급기야 그녀를 정신병원에 처넣은 사건이 있었다. 영화는 이 사건의 전말을 충실히 보여주면서, 사법권력과 의과학이 얼마나 남성중심의 권력체계이며, 법 앞에 선 여성은 왜 '미친년'이 될 수 밖에 없는지를 밀도있게 보여준다. 그들은 '여자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고, 감정에 휩싸여 횡설수설하는 미친년이거나 자식을 책임지지 않으려는 자유로운 신여성(?) 쯤으로 멋대로 치부한다. 영화는 더불어 발견되는 가공할 사건의 전모와 법정투쟁 그리고 다소 긴 에필로그까지 수록하며 그녀의 '승리'와 '희망'을 응원한다. (P.S 문제는 영화가 전하는 권력의 진실이 1920년대 미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오아시스>, <믿거나 말거! 나 찬드라의 경우> 등에서 보듯이, 지금 이 사회의 법 역시 내국인, 남성, 비장애인의 목소리에만 귀가 열려있으며, 아동실종 사건에 대한 사법당국의 대응은 여전히 행정편의적이고 관료적이다. 권력은 결코 저절로 변하지 않는다. (황진미/영화평론가)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