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해외뉴스
[외신기자클럽] 시스템을 믿지 말라

막강한 마케팅과 배급력을 가진 영화만이 살아남는 글로벌 영화 배급 시스템

칸, 베니스, 베를린 같은 영화제들 역시 할리우드 배급업자들 못지않게 폐쇄적이고 위험부담은 절대 지지 않으려 한다. 사진은 2008 칸 마켓 현장.

내가 좋아하는 감독의 말로 시작해보자. “영화계의 많은 사람들은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영화는 운명을 저절로 이루게 마련이라고 생각하는 운명론자들이다. 모두 미리 정해져 있다는 얘기인데, 이건 전혀 사실이 아니다.”-위트 스틸먼(<메트로폴리탄>(1990), <바르셀로나>(1994), <디스코의 마지막 날들>(1998))

우리가 갖고 있는 믿음 중에는 숙고 끝에 믿게 된 것과 그냥 별 생각없이 믿게 된 것이 있다. 좋은 영화는 많은 관객이 보게 되고 그렇지 않은 영화는 실패한다는 생각은 두 번째 범주의 믿음에 속한다. 어떤 이들은 적자생존의 법칙이 영화산업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서 좋은 영화는 나쁜 영화를 이기고 더 많은 관객이 보게 되리라 믿는다. 그러나 깊이 생각해보지 않아도 이 경우에 적자는 최고의 영화가 아니라 막강한 마케팅과 배급력을 가진 영화다.

일반인이 글로벌 영화 배급 시스템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보통은 그저 ‘유익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테지’ 하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리고 스틸먼이 지적했듯이 대부분의 영화계 사람들이) 사실이 아닌 이런 신화를 그대로 받아들일 경우 그 결과는 참혹할 수밖에 없다.

어떤 사람들은 시스템에 대한 자신들의 믿음을 은연중에 드러낸다. 예를 들어 몇몇 미국인은 흥미로운 한국영화 몇편을 발견하고 “왜 한국인은 미국에서 영화를 개봉하지 않느냐? 개봉만 하면 확실히 성공할 텐데”라고 말하곤 한다. 현실은 물론, 한국 회사들은 미국 관객에게 한국영화를 소개하려고 죽도록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맞서 싸워야 할 상대는 너무 강하다. 결국 영화의 질은 중요하지 않다.

영화광들은 대형 배급회사들이 상업영화 영역을 꼭 쥐고 있으며 그래서 작은 규모의 영화들이 심각하게 타격받는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들 영화광들은 또 다른 신화를 믿는다. 칸, 베니스, 베를린 같은 영화제들이 불공정한 상업 시스템에 저항하면서 대안적이고 우호적인 시스템을 형성하고 있다는 신화. 나는 이것 역시 믿지 않는다. 영화계에서 몇년간 일하면서 나는 이들 영화제의 프로그래머들 역시 할리우드 배급업자들처럼 폐쇄적이고 위험부담은 절대 지지 않으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차이라면 그들은 다른 타입의 영화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뿐. 지난 10년 동안 가장 중요한 한국영화는? 많은 이들이 <살인의 추억>을 꼽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화제들은 이 영화를 그냥 무시해버렸다.

시스템에 대한 미신 때문에, 관객은 정말 볼 가치가 있는 영화는 결국 보게 될 거라 믿게 되고, 그런 영화를 직접 찾아나설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내가 보기에 이것은 비극이다. 이처럼 시스템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유감스러워하는 이유는 첫째, 다른 문화권에서 온 다양하고 뛰어난 영화들이 보는 사람의 마음을 넓혀준다는 낙관주의적 생각과 둘째, 왜곡된 시스템은 사람들이 정말로 자신에게 깊은 영향을 남길 수 있는 영화를 발견할 수 없도록 막는다는 비관적 관점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글로벌 배급 시스템이 어떻게 실제로 작동하는지 그리고 어떤 부분에서 작동하지 않는지에 대한 공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동시에 나는 많은 사람들이 시스템에 대한 믿음을 버리고 영화를 적극적으로 찾아나서길 바란다.

번역 이서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