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톡톡톡
[안네 린젤] 무용은 아이들을 변화시킨다, 바우쉬의 철학처럼
김성훈 2011-01-19

<피나 바우쉬의 댄싱 드림즈>의 안네 린젤 감독

피나 바우쉬를 단순히 ‘현대무용의 대명사’라는 수식어로 부르는 것은 실례다. 정확한 안무, 신체의 움직임, 움직임으로부터 나오는 아름다움을 중시했던 기존의 무용과 달리 피나 바우쉬는 항상 ‘과연 인간을 움직이게 하는 건 무엇인가’를 연구했고, ‘움직임에 내재된 감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피나 바우쉬의 전성기 때부터 세상을 뜬 2009년까지, 오랫동안 그의 옆에서 함께한 친구가 있다. 안네 린젤이다. 독일의 문화 전문기자로, 생전 피나 바우쉬와 그의 작품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책을 써왔다. 안네 린젤 감독과의 서면 인터뷰를 통해 다큐멘터리 <피나 바우쉬의 댄싱 드림즈>와 거장 피나 바우쉬에 대한 이야기를 좀더 들어봤다.

-피나 바우쉬를 처음 만난 건 언젠가. 그때 첫인상이 기억나나. =1973년 피나 바우쉬가 독일 부퍼탈발레단 단장으로 있을 때 처음 만났다. 첫인상은 다소 소극적이었지만 매우 친절했다. 큰 눈에 섬세한 얼굴이 빛나더라. 첫눈에 반했다고나 할까. 이후 기자로서 늘 그와 함께했다.

-작품을 구상하게 된 계기가 궁금하다. =바우쉬의 대표작인 <콘탁트호프>는 남성과 여성의 사랑을 신체 움직임을 통해 묘사한 이야기로, 1978년에 초연했던 작품이다. 당시 공연이 끝난 뒤, 그는 자신의 팀원들에게 ‘우리 발레리나들이 60살이 넘어서 나이 든 사람들이 느낄 수 있는 감성을 표현할 수 있을 때 이 작품을 다시 해보자’라고 말했다. 그런데 그때까지 기다릴 수 없었는지, 2000년 바우쉬는 65살 이상의 아마추어 무용수들과 함께 <콘탁트호프>를 다시 무대에 올렸다. 그에게 새로운 실험이었는데, 이 작품은 당시 전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점에서 바우쉬는 청소년들과 작업하려고 했다. ‘삶의 긴 여정의 출발점에 선 아이들이 이 작품을 표현하면 어떤 느낌이 나올지’를 그는 항상 궁금해했다.

-아이들을 실질적으로 가르치고 연습하는 데 도움을 준 두명의 여선생님은 누군가. =오랫동안 바우쉬의 무용팀에서 활약한 세계적인 발레리나들이다. 특히 조 앤 엔디콧은 <콘탁트호프> 초연 때 주인공이었다. 두 사람이 아이들에게 무용에 대해 제대로 된 표현과 해석을 가르칠 수 있었던 것도 그래서일 것이다. 독일의 한 영화평론가가 두 사람에 관해 이렇게 쓴 적이 있다. ‘이들이 아이들에게 사랑으로 다가가는 동시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태도는 매우 인상적이었다. 현재 독일에서 청소년 성범죄, 폭력 등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들은 청소년과의 관계를 어떻게 교육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지를 보여줬다.’

-다큐멘터리는 단순히 ‘무용을 배우는 아이들’을 그리지 않는다. 무용을 통해 아이들과 그들의 삶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준다. =무용에 대한 바우쉬의 유명한 말이 있다. ‘나는 사람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게 아니다. 무엇이 사람들을 움직이게 하는지에 관심이 있다.’ 이처럼 그는 사람들의 움직임과 언어에 내재된 감성에 더 흥미를 보였다. 이는 바우쉬가 창안한 무용극 예술이 기존의 전통 발레보다 새로울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다.

-피나 바우쉬와 오랫동안 함께했다. 혹시 그에 관해 기억나는 인상적인 일화가 있나. =피나 바우쉬가 에센에서 발레를 공부하던 시절, 장학금을 타기 위해 한 재단에서 솔로로 춤을 추게 됐다. 그는 무대에 올라가서 준비를 마치고 음악이 나오기를 기다렸는데, 연주하기로 한 약속을 깜빡 잊은 피아노 반주자가 한 시간 넘게 나타나지 않았다. 겨우 반주자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었다. 그런데 심사위원들과 당시 자리에 있었던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했던 것은 피아노 반주자가 오기까지 한 시간 이상 피나 바우쉬는 준비자세로 꼿꼿하게 무대 위에 그대로 서 있었다. 대단한 에너지와 집중력,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는 여유야말로 그가 세계적인 무용수와 무용안무가가 될 수 있었던 비결이 아닐까.

-피나 바우쉬를 그린 당신의 또 다른 작품이 있다고 들었다. =피나 바우쉬의 파트너였던, 지금은 은퇴한 얀 미나릭을 그린 <어느 위대한 무용가에 대하여>(1987), 바우쉬의 인도 공연을 담은 다큐멘터리 <인도의 카네이션>(1994), 바우쉬가 갑자기 세상을 떠났을 때 독일의 여러 방송 프로그램에서 방영된 <피나 바우쉬>(2006) 등 생전 바우쉬에 관한 여러 영화들을 만들었다. 특히 <피나 바우쉬>는 생전 바우쉬가 매우 좋아했던 긴 인터뷰가 수록되어 있다.

-차기작이 궁금하다. 그리고 신년 목표는 뭔가. =현재 <피나 바우쉬의 댄싱 드림즈>에 관한 책을 쓰고 있다. 울리 바이스라는 사진작가가 찍은 피나 바우쉬의 마지막 사진들도 함께 싣는다. 바우쉬 개인의 삶에 대한 책을 하나 쓰려는 계획도 있다. 부퍼탈 지역에 세계적으로 유명한 조각가인 토니 크랙이 살고 있는데 이 사람과 관련한 작업을 해볼까 생각 중이다.

관련영화

관련인물

사진제공 안네 린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