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한국영화 블랙박스
[한국영화 블랙박스] 글로벌이면 무사통과?

KDI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낙제점을 받은 부산 국제 영상콘텐츠 밸리 사업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가 추진하고 있는 부산의 국제 영상콘텐츠 밸리에 대한 경제성이 낙제점을 받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경제성(비용 대비 편익)이 0.47로 나온 것이다. 이 점수가 1이 되어야 이른바 ‘똔똔’을 치는 것인데, 0.47은 투자비의 53%를 날려먹는 사업이란 뜻이다. 게다가 이 편익이라는 것이 실제로 벌어들이는 수익뿐만 아니라 이 투자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기여효과를 모두 돈으로 환산해서 계산하는 것이므로, 이 사업을 추진해봐야 영화계나 부산시에 경제적으로 별로 도움이 안 된다는 뜻이 된다. 영진위는 ‘글로벌 스튜디오’라는 이름으로 이 사업을 추진하면서 이미 2011년과 2012년 두 차례에 걸쳐 타당성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당시 경제성 점수가 처음에는 3점이 넘었고, 두 번째는 1점 정도였다. 현재 KDI의 결과가 정확한 것이라면, 당시 용역을 맡은 기관들은 엉터리 숫자를 내놓은 셈이다. 당시 용역기관 중 한곳은 국책연구원이었고, 한곳은 영화 관련 유명 대학과 유명 컨설팅 업체가 결합한 산학협력단이었다. 그 공신력 있는 연구기관들이 어떻게 그런 결과를 내놓았을까? 그만큼 영진위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했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수천억원에 이르는 천문학적인 자금을 왜 굳이 땅 사고 건물 짓는 토목공사에 투자하려는 것일까? 영진위는 남양주촬영소 건립 당시를 이야기하며, 공급이 수요를 창출하고, 대형 스튜디오가 있어야 해외 로케이션 유치가 가능해지고, 한국영화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어 글로벌화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여러분이 판단해보시라. 과연 그럴까? 대통령 공약임에도 낙제점을 받은 이 사업을 영진위와 부산시는 어떻게든 끌고 가려는 것 같다. 부산시 입장에서야 지역 내 수천억원의 공사자금이 쏟아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으니 그럴 만하다. 하지만 한국 영화계의 미래를 고민해야 할 영진위는 도대체 어떤 대의명분을 가지고 이 사업을 추진해나갈지 궁금하다.

곧 영화발전기금 모금이 중단됨에 따라 기금 고갈이 눈앞으로 다가오고 있고, 문화체육관광부는 정부의 영화계 지원 축소가 이미 진행되고 있다고 말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기획재정부는 그동안 기금 모금 연장이 안 될까봐 함부로 쓰지도 못하고 적립해놓고 있는 영화발전기금을 ‘부자기금 top10’ 안에 올려놓고 다른 필요한 곳에 돌려써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영화계의 타격은 물론이거니와 영진위 스스로도 존폐를 걱정해야 할 위기상황이라는 말이다. 글로벌 스튜디오를 짓는 것보다 이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이 영화계를 위해서나 영진위를 위해서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주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