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이정향 감독, <집으로...>가기까지 (1)
2002-03-29

영화와 할머니와 함께한 백일 동거 이야기

<집으로…>는 사랑한다는 이야기를 “미안해”라고 말하는 천진하고도 사려 깊은 영화다. 누군가는 “미안하다는 말이 세상에서 가장 하기 힘든 말”이라고 노래하기도 했지만, 이정향 감독과 <집으로…>의 제작진처럼 수고롭게 미안하다는 표현을 완성한 사람도 없을 터다. 2001년 6월13일부터 11월1일까지 충북 영동군 깊숙한 자락의 지통마 마을에서 그 애틋한 한마디를 관객에게 전하기 위해 많이 울고 많이 웃고 많은 것을 떠나보내고 다시 많은 것을 얻었던 그들의 이야기를 이정향 감독의 기억을 빌려 여기에 옮기기로 한다. 편집자

2001년 4월4일 오후 튜브픽처스 사무실. “그냥 마을을 정하고 나면 그곳에 할머니가 기다리고 계실 것 같아요. 그러면 그 할머니 집에서 영화를 찍을 생각이에요.” “아! 그러면 되겠네요.” 3년 만에 두번째 영화 <집으로…>를 막 시작하는 이정향 감독의 구상이 어찌나 호기롭던지 기자는 하마터면 “그러네, 간단하잖아?”라고 생각할 뻔했다. 하지만 잠깐. 그러니까 일곱살 꼬마와 말 못하는 칠순 할머니 이야기만 해도 녹록지 않은데, 그걸 팔도강산 어디선가 사이좋게 짝지어 이정향 감독 오기만 기다리고 있을 진짜 벽촌, 진짜 시골 할머니를 찾아내 찍는다는 말인가. 자동차 뒷좌석의 강아지 인형처럼 고개를 연신 끄덕이면서도 도무지 남의 일 같지 않은 걱정이 밀려왔다.

충무로의 누구라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스펙터클한 액션이나 청춘 스타가 없는 정도가 아니라 숙련된 배우도 실내 세트도, 하다못해 플래시백 같은 장식음 하나 없는 영화. 실제로 <집으로…>의 구상을 듣고 눈앞이 캄캄해지지 않은 사람은 <집으로…>의 제작자 ‘황 브러더스’ (황우현 대표, 황재우 이사) 정도였다. 행여 놓칠세라 쫓아다니며 계약을 조른 것은 물론 당시 미혼이던 황 대표는 서명된 계약서를 봉투에 넣는 순간에야 자신의 결혼식 날짜를 이정향 감독에게 통보하는 치밀함(?)을 보이기까지 했다. 돌아간 외할머니를 애틋하게 사랑했고 그분께 못 다한 말이 목에 걸려 슬퍼해온 이정향 감독은 <집으로…>를 대부분의 사람이 체험한, 그래서 공감할 수 있는 ‘러브스토리’라고 여겼고, <미술관 옆 동물원>과 다를 바 없는 힘있는 상업영화로서 의심치 않았다. 그리고 제작자는 그녀의 믿음에 동조했다.

촬영원칙: ‘자연을 거스르지 말자’

젊은 스타와 액자구조의 아기자기한 시나리오를 가진 <미술관 옆 동물원>과 훈련받지 않은 ‘노약자’ 연기자에 개울물처럼 조촐하게 한 줄기로 흐르는 스토리를 가진 <집으로…>는, 마치 프라이드 치킨과 백숙처럼 본질은 통하지만 다른 조리법을 요하는 영화다. ‘할머니=자연’이라는 단순한 공식을 세운 이정향 감독은 제작사와 스탭에게 대원칙부터 엄숙히 밝혔다. “자연을 거스르지 말자. 조작하거나 윤색하지도 말자. 마을 주민에게 민폐나 상처를 결코 주지 않아야 하며 사후에도 촬영지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촬영도 가능한 한 드라마 순서대로 하자.”

연분을 찾아가는 막연한 여행과도 같았던 헌팅과 캐스팅은 <사라져가는 오지마을을 찾아서>의 저자 이용한씨의 길잡이로 방문한 충북 영동군의 지통마 마을에서 단번에 해결됐다. 한눈에 전신을 드러내지 않고 모퉁이를 돌아설 때마다 다른 얼굴을 보여주는 지통마의 가파르고 꼬불꼬불한 길은 “할머니의 삶처럼 굽어지고 휘어지고 실체를 한눈에 확연히 드러내지 않는” 자태가 일품이었다. 그리고 그토록 그리던 <집으로…>의 ‘우리 할머니’는 지통마에서도 이정향 감독을 첫눈에 사로잡은, 맵시있는 호를 그리며 휘어진 길목 끝에 살고 계셨다. 100그루의 호두나무를 돌보면서 홀로. 김을분 할머니는 감독 일행의 첫프로포즈를 “일어서면 운신 못한다”며 사양했다. 그러나 풀이 죽어 터벅터벅 걸어나오던 마당 끝에서 돌아본 일행은 툇마루 위를 재게 오가는 할머니의 민첩한 몸놀림을 목격하고야 말았으니 어쩌랴. 이튿날 장터에서 벼르고 있던 이정향 감독에게 붙들린 할머니는 별 수 없이 그러마 손가락을 걸었다. “처음부터 확신했어요. 할머니께 연기 테스트 같은 건 할 생각도 안 했어요.” 할머니가 혹시 <집으로…>를 위해 강림한 천사가 아닐까 싶은 상상은 할머니의 서울 사는 아드님이 경영하던 칼국수집이 알고보니 이정향 감독의 단골집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더욱 그럴싸해졌다. 자기들의 사랑을 운명으로 설명하고 싶어하는 연인들처럼.

“누구나 어느 정도의 연기는 할 수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어떤 그릇을 갖고 있느냐다”라 믿는 이정향 감독은 차곡차곡 연기자들을 모았다. 사진 속에서 째려보는 눈빛이 마음에 꽂혀 만난 상우 역의 유승호군은 CF 경험은 있지만 연기에 관해 ‘아무 생각’이 없는 무구한 아이였고 ‘스테이지 마더’는커녕 우리 아이 뽑으면 고생하실 거라고 진심에서 우러나는 걱정을 들려주는 엄마를 갖고 있었다. 철이 역의 경훈은 감독의 이상형인 에드 해리스를 닮은 정의로운 생김새와 의지할 수 있는 의젓한 성격을 좋아하는 감독을 매혹시켜 오디션을 유유히 통과했다. 할머니와 상우는 5월6일 지통마 할머니네서 처음 만났다. 할머니는 예쁜 승호를 쓰다듬고 싶어하시는데, 마당에 뻘쭘히 선 승호는 할머니가 무섭고 툇마루는 더럽다면서 엄마가 호통을 칠 때까지 할머니 가까이 가지 않겠다고 고집을 피웠다. 외할머니를 밀쳐내던 상우의 그 볼멘 얼굴로. 서울서 소식을 전해 들은 이정향 감독은 쾌재를 부르며 “촬영 전까지 못 만나게 하라”는 지시를 전했다.

영화 <집으로…>는 엄마와 상우가 벽촌 할머니댁으로 내려가는 기차장면을 시작으로 6월13일 촬영에 들어갔다. 기차여행을 즐거워하는 승호에게 이정향 감독이 “재미있으면, 8월에 있는 네 생일에 다시 찍을까?”라고 말하자, 설마 그때까지 촬영이 끝나지 않으랴 싶었던 스탭들은 웃었다. 하지만 이정향 감독과 스탭들은 크랭크인한 지 한달여 만에 <집으로…>와 시한부 별거하는 몸살을 앓아야 했다. 삐걱대는 진행으로 급기야 프로덕션이 중단된 것이다. 넘어져 무릎을 깨본 기억을 갖고 있지 않은 이정향 감독에게도, 대부분이 영화제작이 첫경험이었던 젊은 스탭들에게도 통증과 혼란은 깊었다. “제가 실수했고 오만했어요. 내가 할 연출만 신경 쓰느라 연출부의 화합과 다른 팀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살피지 않았습니다. 준비가 미흡한 당일치기 촬영으로 열흘쯤 버티다가 이러다 죽을 것 같아 폭탄선언을 했어요.” 이정향 감독은 제작사에 보름의 재정비 시간을 주거나 감독을 교체하라고, 그게 아니면 영화를 접으라는 독한 제안을 했다. “누구보다 제가 잘 찍을 영화일 거라고는 믿었지만 제게는 이미 고집부릴 자격이 없었으니까요.” 내년이나 후년에 재개하면 어떻겠냐는 회사쪽의 안은 재고의 여지가 없었다. 이유는 할머니와 승호, 특히 한해가 다르실 할머니 때문이었다. 이정향 감독에게 <집으로…>는 이미 김을분 할머니 없이 생각할 수 없는 프로젝트였던 것. 그런데 김을분 할머니는 촬영이 중지된 연유를 말씀드리러 간 이 감독을 기어이 울리고 말았다. “내 다 알어! 내 때문에 그렇지. 내가 못해서 다 철수하는 거지. 괜히 나를 써서 힘든 꼴 당하고 돈 다 쓰고 망친 거야.” 제작사는 결국 몇년 뒤 다시 찍을 거라면 <집으로…>는 지금 다시 찍는 게 현명한 작품이라는 감독의 의견을 받아들였고 이정향 감독과 일행은 초장에 뇌우를 만났던 <집으로…> 가는 길에 8월25일 다시 오를 수 있었다. ▶ 이정향 감독, <집으로...>가기까지 (1)

▶ 이정향 감독, <집으로...>가기까지 (2)▶ 이정향 감독이 김을분 할머니께

▶ <집으로…>에서 배우 된 지통마 마을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