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스페셜] "드라마와 영화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 <왕좌의 게임> 마이클 엘렌버그
김성훈 사진 박종덕 2016-09-19

“요즘 인기 많은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추천해달라.” “김지운 감독의 <밀정>이 첫 공개됐다는데 어떤가?” 미디어 레스 프로덕션 마이클 엘렌버그 대표는 한국영화와 드라마에 무척 관심이 많았다. 한국 출장길에 오르기 전에 그의 장바구니에는 이미 많은 작품들이 담겨 있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HBO> 드라마 개발부문 수석부사장 시절, 그는 까다롭기로 유명했다. 작품을 선택할 때 고려했던 기준이 “작가를 100% 신뢰하는가”였을 정도니 말이다. 그의 까다로운 감식안을 통과한 덕분에 미드 <왕좌의 게임> <트루 디텍티브> <트루 블러드> <커져버린 사소한 거짓말> 등 많은 드라마가 세상의 빛을 볼 수 있었다. 마이클 엘렌버그와의 만남은 최근 미국 메이저 방송 스튜디오의 흐름을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최근 미국 메이저 스튜디오들은 서사보다는 캐릭터를 우선적으로 본다고 들었다. 얼마나 매력적인 캐릭터인지가 스튜디오의 작품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

=캐릭터를 서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맞다. 한국도 마찬가지겠지만 긴 시간 동안 드라마를 제작할 때 아무리 캐릭터가 중요하다고 해도 스토리를 빼놓을 수 없다. 하지만 사람들을 드라마에 반응하게 만드는 것과 드라마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건 캐릭터다. 스토리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요소지만 말이다. 최근 방영 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기묘한 이야기>(원제는 ‘Strange Things’ )에서도 이런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 드라마의 경우 독특한 스토리와 캐릭터의 궁합이 중요하다. 우리는 인간의 모든 성격을 다룰 수 있는 캐릭터를 찾고, 다양한 캐릭터를 서사에 배치하려고 노력한다. 극한 상황에 처한 캐릭터를 보면서 인간의 본성을 살펴보게 된다. 이것을 보기 위해 사람들은 영화나 연극을 관람한다. 그중 가장 흥미로운 매체가 드라마다.

-<HBO>에서 작품에 그린 라이트를 켤지 안 켤지 결정하는 역할을 맡았다. 당신의 경험이나 노하우에 비춰볼 때 흥행하는 드라마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일단 어떤 작가와 제작자가 작품을 가져오는지가 중요하다. 아무리 아이디어가 좋아도 작품을 제작하는 사람들의 비전이나 제작 역량이 없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아이디어나 소재가 신선해야 한다. 기존의 틀을 벗어난 아이디어를 선정하기 위해 우리 채널에서만 소화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려고 노력했다. 세 번째, 포화 상태에 이른 미국 시장에서 아티스트와 아이디어의 궁합도 중요하다. 네 번째, 좋은 마케팅을 펼쳐 언론으로부터 주목받는 것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관객이 관심을 가질 만한 것을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

-<왕좌의 게임>을 보면 영화 같다. <HBO>에 들어가기 전 당신은 리들리 스콧의 사무실에서 <로빈 후드> <프로메테우스> 제작을 진행했고, 박찬욱 감독의 <스토커>를 공동 제작한 바 있다. 영화 제작 경험이 <HBO>에서 드라마를 기획, 개발하고 현재 프로덕션을 운영하는 데 어떤 영향을 끼쳤나.

=장편영화를 제작했던 경험은 드라마를 만드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최근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벌어지고 있는 가장 큰 변화는 드라마와 영화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는 거다. 과거 드라마나 TV쇼에 참여하지 않던 인기 영화감독과 스타배우들이 TV에 대거 몰리고 있다. 그건 TV가 영화와 다른 매체지만 TV 특유의 리듬과 형식이 있다고 설득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가령 5년이나 10년 전에는 제작이 어려웠던 <워킹 데드> 시리즈 같은 좀비 장르를 안방에서 볼 수 있게 됐다. 유명 작가, 감독, 배우들이 드라마에 참여하면서 TV가 영화의 영역까지 조금씩 빼앗아가고 있다. 지금부터는 TV드라마가 아직 도달하지 못한 장르를 찾아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TV드라마는 독특한 스타일과 관점을 지녀야 한다.

-<왕좌의 게임>과 관련한 질문을 좀더 하자면 <왕좌의 게임> 시즌6는 원작이 없는 상태에서 진행됐는데, 데이비드 베니오프와 댄 와이스 작가를 포함한 제작진에 쉽지 않은 작업이었을 것 같다(당시 <왕좌의 게임> 원작이 시즌5까지만 나왔던 까닭에 시즌6부터는 원작의 내용을 앞질렀다.-편집자).

=꼭 그렇지만은 않았다. 당시 데이비드와 댄이 스토리를 어떻게 전개해야 할지 염두에 두고 있었으니까. 시즌5와 시즌6의 비전이 이미 완성된 상태에서 시즌6 시나리오를 썼던 까닭에 당황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었다.

-최근의 <드라마월드> 같은,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잠깐 볼 수 있는 숏폼 드라마(러닝타임이 15분 내외인 짧은 드라마)도 많이 제작되고 있다.

=플랫폼 환경이 바뀌고 있지만 러닝타임이 30분~1시간 정도인 드라마는 계속 제작될 것이다. 롱폼이 숏폼을 대체할 순 없다. 회사원들이 점심시간을 이용해 숏폼을 즐긴다고 하는데, 숏폼과 롱폼은 전혀 다르다고 생각한다. 아직은 TV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그래서 TV의 미래는 여전히 밝다고 생각한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발을 들이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엔터테인먼트와 아무런 관련 없는 로스쿨을 졸업했다. (웃음) LA에서 어시스턴트 프로듀서로 활동하다가 엔터테인먼트 업계로 이직하면서 운좋게도 리들리 스콧과 일하게 됐다. 그와 함께 <프로메테우스>를 진행할 때 <HBO>로부터 이직 제의를 받고 그곳에 가서 드라마 제작을 총괄하게 된 거다. LA는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에 들어와 일하기가 수월하다는 점에서 개방적인 곳이다.

-범죄, 소송, 재판, 뱀파이어, 좀비, 판타지 등 거의 모든 소재가 드라마로 만들어졌다. 더이상 새로운 게 없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글쎄, 모든 소재가 고갈됐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아직도 TV가 시도할 수 있는 분야는 많다. 청소년 성장기, 뱀파이어, 좀비 같은 특정 장르는 포화 상태에 이르렀지만 어떤 기관을 다룬 이야기는 거의 없다. 같은 소재면 또 어떤가. 기존 드라마와 다른 시각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이끌어낼 수 있다. 물론 의사나 변호사 같은 많은 드라마가 즐겨 사용한 직업에서 새로운 변화를 끄집어내는 건 쉽지 않겠지만 말이다. 그럼에도 TV는 개방되어 있고,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는 게 아직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이번 서울 출장에서 새롭고 독창적인 콘텐츠를 만나게 되리라는 기대가 크다.

-한국 콘텐츠의 어떤 부분이 독창적이라고 생각하나.

=개인적으로 봉준호 감독과 그가 만든 작품에 관심이 많고, 한국영화가 독창적이라고 생각한다. 지난 15년동안 한국 영화산업은 크게 발전해왔고, 그건 독창적이고 신선한 영화들 덕분이다.

관련영화

관련인물